brunch

매거진 BRIK 소식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우현수 Oct 11. 2021

혼자지만 여럿이 일하기

일인기업이 일하는 법

대부분 일인기업의 출발이 그렇듯 처음부터 혼자 계속 일하려고 출발한 경우는 많이 없을 겁니다. 사업 초기 자본이 부족해서, 여력이 안돼서, 주어지는 일이 있을지  몰라서 혼자서 시작하게 돼죠.  역시 그랬습니다. 그런데 어느 정도 매출과 수주가 안정기에 접어드는 시점이 되자 고민이 시작되더군요. 채용할만한 여력은 생겼는데, 이제까지 해온 것처럼 혼자서 갈지 아니면 함께할 분을 찾아야 하는지를요.


그러다 드는 생각이 상시 직원이 아니라, 프로젝트가 있을 때마다 함께 할 수 있는 파트너를 모아 보는 건 어떨까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혼자서 일하는 것에 대한 만족감이 상당했기 때문에 어떻게든 지금의 상황을 유지하면서 가고 싶었거든요.


사업하는 분들의 가장 큰 고민이 고용과 인력의 운용이라는 걸 귀가 멍해질만큼 들을 때가 많았고 저 역시 작은 팀의 장을 하면서 겪었던 일들이 만만치가 않았기 때문입니다. 거기에 쓸 에너지를 조금 떼어내 차라리 회사에 꼭 필요한 분들과의 커넥션을 만드는 일에 쓰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프로젝트의 성격에 맞는 분들을 선택해 그때 그때 유연하게 인력을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도 하구요.


그런 방향으로 생각이 많이 기울자 그때부터는 각종 플랫폼이나 SNS에서 눈에 띄는 디자이너나 일러스트레이터, 캘리그라퍼, 기획자, 마케터 등 각 분야의 창작자들을 눈여겨 봐두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일하듯이 시간을 내서 파트너로 모시고 싶은 분들을 리서치하고 관련 자료들의 리스트를 모아 놓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1년 정도 지켜보거나 관계를 맺어 온 분들이 현재 디자인 파트너 다섯분, 기획 및 마케터 두분, 네이미스트 세분입니다. 각각의 영역에서 저처럼 혼자 일하는 이 다양한 색깔의 분들과 파트너쉽을 맺고 있습니다. 서로의 심정과 처지를 더 잘 알기 때문에 그런지 한층 더 빠르게 가까워지는 느낌을 받습니다.


일이 생길 때마다 매번 함께할 수는 없지만, 일의 성격에 맞는 일이 생겼을 땐 망설임없이 연락을 하는 편입니다. 때론 한명과 할때도 있고 좀 더 큰 프로젝트가 생기면 두세명과 팀을 이뤄 일하기도 합니다.


사실 처음에는 일을 넘긴다는 생각으로 했는데, 제 기대만큼 다 넘어가기가 쉽지는 않더군요. 내가 하는 일의 양이 획기적으로 줄지는 않았습니다. 좋은 결과를 위해서는 처음부터 프로젝트를 세세하게 브리핑하고 파트너들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깊이있는 커뮤니케이션을 이뤄내야하는데 여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들기 때문입니다. 사실 그렇게 하더라도 서로의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할 때도 있고 오해할 때도 많죠. 신경 쓰지 않으면 너무 다른 결과물로 서로가 당황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이 모든 과정이 시간이 들어가는 일이므로 혼자 해결할 때보다 오히려 더 늘어날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분명 좋은 점은 혼자 해결해야하는 심적 부담감은 확실히 줄어들고, 무엇보다 함께 일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파트너들에게 브리핑이 끝나면 각자가 알아서 다른 아이디어의 씨앗을 심고 키워가는데 이 시간을 기다리 게 무엇보다 즐겁고 기대됩니다. 기한이 되어 거둬들인 아이디어는 제가 모아서 선별합니다. 가장 좋을 것 같고 프로젝트의 성격에 맞는 아이디어들만 선별하고 재가공해 고객사에 보고합니다. 아무래도 고객과 직접 소통하는 제가 프로젝트의 맥을 더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역할을 맡을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 파트너가 제 역할을 할 수 있을 정도가 되고 그 팀이 여러팀이 된다면 그 게 제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모습이겠습니다.


하지만 사실 아직까지는 팀을 만들고 운용하는 비용과 시간에 비해 뚜렷한 성과를 내고 있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희망적인 건 협업의 횟수가 늘어날수록 점점 손발이 맞는 팀으로서의 형태를 갖춰가고 있다는 겁니다. 주니어들의 성장이 눈에 띄고 소통도 훨씬 수월해졌습니다. 각자 혼자 일하고 멀리 떨어져 있지만, 같은 마음으로 같은 생각을 가지고 일을 하고 있다는 느낌도 받습니다. 대부분이 직접 만나 본 적이 없는 팀원들인데, 그런 정서적 유대감이 나온다는 게 신기할 때도 많습니다.


이미 기업에서는 테스크포스(TF) 형식으로 협업하는 게 익숙한 방식이죠. 정규 조직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새로운 프로젝트가 생길 때 어김없이 만들어지는 팀의 한 형태이기도 합니다. 이제는 이 방식을 일인기업들에서도 도입해야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한 사람이 모든 걸 다 잘할 수 없습니다. 한 분야 안에서조차 전문성이 존재하는 시대입니다.


저는 이렇게 혼자서 일하는 개인들이 연대해 일하는 방식이 미래의 일하는 방식이 아닐까 싶습니다. 프로젝트의 성격에 맞는 전문가들이 모여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내고 다시 각자의 길로 흩어지는 거죠. 영화 하나를 찍기 위해 새로운 제작팀, 연출팀, 촬영팀, 조명팀, 예술팀, 음향팀이 꾸려지듯 새로운 프로젝트를 위해 거기에 딱맞는 일인 기업들이 모이는 방식입니다.


영화 제작 방식으로는 너무나 익숙하지만 사실 아직까진 혼자서 일하는 사람들간에는 익숙하지 않죠. 저는  부분의 장점을 일인기업들에게 적용하기 위해 실험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어떻게든 개인들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서로의 전문성이 더해지는 인력 시스템을 꿈꾸고 있습니다. 일인기업이 가진 재능과 전문성의 조각들을 선별하고 맞추고 조립해가는 역할하면서  또한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일인기업으로 진화하고 싶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수양하는 마음으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