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rowne Mar 17. 2018

성폭력, 성폭행, 성추행, 성희롱...

이게 다 무슨 말?

난 오래전부터 저 말들의 구분이 궁금했다. 그래서 찾아보았다. 성폭행은 쉽게 말해서 강간이고, 성추행은 성적불쾌감을 유발하는 신체접촉, 성희롱은 성적 불쾌감을 유발하는 헛소리, 개소리, 농담 따위 ..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을 통칭해서 성폭력이라고 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나는 '성폭력'이나 '성폭행'이라는 표현은 (본의든, 본의 아니든) 그 사태의 본질을 은폐하고 더 나아가 순화한다고 생각한다. '위안부'라는 말이 '일본군에 의한 성노예'를 순화시키고 그 행위의 잔학성을 은폐시키듯이 말이다.


언젠가부터 우리사회에서 범죄 행위로서의 '강간'이라는 말이 쓰이지 않고 있다. 여성 자신도 그 말이 무겁게 느껴진다고 했다. 하지만 무겁고 가벼운건 행위와 그 결과이지 그것을 지시하는 말이 아니다. 강간은 무거운 범죄행위다. 그렇다면 그것을 표현하는 언어도 무거워야 하지않을까. 무거운 범죄행위를 왜 가볍고 순화된 말을 써서 표현할까. 말이 가벼우면 그 말이 가리키는 사태/대상에 대한 관념도 가벼울 수 밖에 없다. 강간을 무거운 범죄행위로 받아들이고 각성하길 바란다면 순화된 표현을 써서는 안된다. '강간'은 '강간'이다. 그 말이 불쾌감을 유발할 이유도 없고 그렇게 느껴서도 안된다. "성폭행을 당했다"와 "강간을 당했다"는 분명히 어감과 느낌이 다르다. 강간은 그 행위가 선명히 지적되지만 성폭행은 그렇지 않다.


행위는 바꾸지않고 그 행위를 지칭하는 언어만 바꾸는 사회는 비겁하다. 불편한 것을 불편하게 드러내야 변화가 생길 것이지만 불편한 것을 언어로 순화해버리면 관념적 퇴행만 일어날 뿐이다. 비유와 은유가 난무하는(혹은 그 자체인) 예술적 언어와 다르게 사회적 언어는 직설적이고도 선명한 언어로 표현되어야 한다고 나는 믿는다.


물론 나의 이런 주장이, 순화시켜서 표현해야 할 경우가 있고 그런 사태가 있을 수 있음을 부정하는건 아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순화된 표현은 결국 그 말이 가리키는 사태의 본질을 은폐/호도하기 십상이다. 이게 얼마나 웃기냐하면 '우리말 곱게 쓰기'도 공무원들은 ''국어순화운동'이라고 표현한다. 개나 고양이를 대상으로 행해지는 '중성화 수술'이라는 말도 마찬가지이다. '거세한 의한 불임수술'이 왜 중성화인가. 불임수술을 받으면 남자, 여자가 중성이 되는가. 어느 말이 사태의 본질을 드러내고, 감추는가.


그런 의미에서 '미투'라는 외국말 대신 '나도 당했다'라는 말은 어떨까.

매거진의 이전글 대한독립만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