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순훈 Jul 21. 2016

좋은 글은 왜 어려울 때 나오나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시를 통해 배운다

이색 李穡은 고려말의 대학자입니다.

임금이었던 우왕의 사부였으며, 대사성을 지낸 분이죠.


고려를 지키려 했던 충신 정몽주나 조선을 세운 정도전, 조준, 권근, 하륜이 모두 그의 제자입니다.  


그의 호는 목은(牧隱)으로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와 더불어 충절을 지킨  '고려의 3은'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사학자 이병도는 도은 이숭인을 길재대신 3은으로 넣기도 했습니다.  


 이색의 글에서 가장 알려진 건 , 흔들리는 고려 앞에서 충신은 사라지고 이성계라는 현실권력에 따라다니는 어제의 동료와 후학들에 대한 세태를 한탄했습니다.  시조는 교과서에도 실릴 정도로 유명합니다.   


                  

백설이 자자진 골에 구름이 머흐레라

반가온 매화는 어느 곳에 피었는고

석양에 홀로 서서 갈 곳 몰라 하노라



이색 선생의 글을 보다보니 눈에 들어오는 글이 있습니다. 옛글에서 배우는 것도 괜찮습니다.                                                       

                                                                                         

   


유감 有感  

                                                       

                           이색 李穡      




非詩能窮人                                          

시가 사람을 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窮者詩乃工                                          

궁한 이의 시가 좋은 것이지

我道異今世                                          

나의 길 지금 세상과 다르니

苦意搜鴻濛                                          

괴로운 마음은 홍몽을 더듬는다

氷雪砭肌骨                                          

얼음과 눈이 살가죽과 뼈를 찔러도

歡然心自融                                          

오히려 마음은 평화로웠다


始信古人語                                          

비로소 옛사람의 말을 믿겠네

秀句在羈窮                                          

좋은 글은 떠돌이 궁인에있다는 그 말을

和平麗白日                                         

마음이 편할 때는 뜨거운 태양도 곱게 보이지만

慘刻生悲風                                          

참혹할 때는 가만히 있어도  슬픈 바람이 일어나지


觸目情自動                                          

눈에 닿으면 정은 절로 생기는 것이니

庶以求厥中                                          

많은 것 중에서 그 중도를 구해야 하네

厥中難造次                                          

중도를 어찌 갑자기 만들겠는가

君子當用功                                          

그래서 군자는 마땅히 자신을 닦아야 하네


시를 써서 시인이 가난한 건 아닙니다.

좋은 시는 가난한 시인에게서만 나오기 때문입니다.


좋은 글은 어려움 속에서 느낀,  절실한 마음이 만들어 낸다는 것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이색 선생의 글 중 좋은 것은 고려가 망한후 어려움 속에서 나왔기에, 그의 말을 더 실감하게 합니다.


선생은 친구인 이성계가 그의 재능을 아껴 출사를 거듭 권해도 끝내 출사를 하지 않으며 이렇게 말합니다.


"뼈는 옛산에 묻는 게 좋네."라며
뜻을 굽히지 않아, 결국은 임금이 보냈다는 술을 먹고 죽습니다.

  

선생의  글 중 책을 읽으며 느끼는 것,  '독서讀書'에는 이런 말도 나옵니다.


"독서란 산을 오르는 것과 같다.  
깊고 얕은 것,  모두 스스로 얻어야지."

讀書如遊山  深淺皆自得


"큰 길은 가시덤불에 덮여있다"  


사람은 가도 그 뜻은 남나 봅니다.

선생의 뜻과 정신은 충남 서천의 문헌서원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추신

대문과 본문 사진은
소나무 작가로 유명한 사진가,
배병우 선생의 작품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후회의 십계명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