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우성 변호사 Sep 26. 2015

일정한 거리, 그 아름다움

우리나라에서 쓰는 궤간(레일 사이의 간격)은 표준궤라고 하며 1,435mm의 간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보다 넓으면 광궤, 좁으면 협궤라고 합니다.     

정확한 이야기인지 모르겠지만, 궤간이 저렇게 정해진 이유는, 로마시대 쌍두 말이 끄는 전차 바퀴의 간격이 1,435mm 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불편할 만도 합니다. 큰 물건을 나르기 위해서는 더 넓은 폭의 기차가 필요할 수도 있으니까요.     

기차 바퀴는 레일 간격을 기준으로 만들어졌기에 레일 간격은 위 기준 거리에서 좁아지거나 넓어져서는 절대 안됩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레일 간격은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해야 합니다.

만약 레일 간격이 더 넓어지거나 더 좁아지면 기차는 탈선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동일한 레일 간격을 유지해 가는 철로를 보면 다소 융통성 없어 보이는 사람이 떠오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동일한 레일 간격을 유지한다는 것은 상당한 융통성이 있어야만 가능한 일입니다.

왜 그럴까요?


커브길을 생각해 보죠.     


왼쪽으로 굽은 길을 가기 위해서 왼쪽 레일이 커브를 돌면 오른쪽 레일은 간격(1,435mm)을 맞추면서 커브를 돌아야 합니다. 하지만 이 때 당연히 오른쪽 레일은 왼쪽 레일보다는 더 긴 거리를 돌아야만 합니다. 


반대로 오른쪽으로 굽은 길을 가기 위해서 오른쪽 레일이 커브를 돌면 왼쪽 레일 역시 오른쪽 레일과의 일정한 간격(1,435mm)을 맞추기 위해 더 긴 거리를 돌아야만 합니다.     


레일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에 그 위에 엄청난 무게의 기차를 통과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처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려면 커브길을 만날 때 마다 그 커브의 방향에 따라서 때로는 오른쪽 레일이, 때로는 왼쪽 레일이 번갈아 가면서 더 긴 거리를 주행하게 됩니다.     


철도차량이 곡선선로에서 탈선하지 않는 메카니즘에는 슬랙, 캔트라는 비밀도 숨겨져 있습니다. 미세한 궤간 조정과 원심력을 극복하기 위해 바깥쪽 레일을 높게 만드는 기술을 말합니다.     




문득 레일의 간격을 생각하면서 사람간의 관계를 떠 올려 봅니다.     

부모, 부부, 친구, 직장 동료…

소중한 모든 관계에서 우린 너무 가까워지려다 상처를 받고 그러다가 서로를 너무 멀리 보내버리기도 합니다.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나이를 먹어가면서 조금씩 이해가 됩니다.

‘아름다운 간격’을 유지해 가는 것이 성숙된 사랑의 모습이 아닌가 생각하게 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마음의 문을 여는 비법 - 미러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