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진홍 Mar 30. 2017

제발 공유경제 기업이라는 개소리는 그만했으면 좋겠다

스트리밍, 온디맨드 기업일 뿐

이야기를 시작하기전, 철저히 사견이라는 점 밝힙니다. 나아가 현재 공유경제 기업을 표방하며 긍정적인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분들의 진심을 폄하하거나 무시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도 밝힙니다.(살려주세요) 이건 그냥, 이대로 넘어가면 곤란하다는 생각이 들어 몇 자 적어보는 겁니다. 어쩌면 제가 개소리하는 것일 수 있지만, 뭐 이건 기사가 아니니까요...다만 제가 왜 이런 생각을 하는지에 대해서, 그 진의만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공유경제가 뜬다! 우왕!
공유경제가 뜬다고 합니다. 우버, 에어비앤비의 비전은 뭐 워낙 잘 알려져 있고...최근 소프트뱅크가 승차공유 서비스인 그랩과 디디추싱에 투자를 단행하거나 준비하고 있는 소식까지 들리고 있어요. 심지어 중국에서는 양회를 통해 공유경제가 화두로 부상했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가능성이 보인다는 말까지 나옵니다.


여기서 근원적인 질문을 해야 합니다. 공유경제 기업이라고 불리는 이들이 '과연 잘 나가느냐?'는 답은 뭐 당연히 '잘 나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과연 이들이 공유경제 기업이냐?'는 지점입니다. 음?


공유경제라는 단어를 백과사전에서 찾아보니 '2008년 미국 하버드대 법대 로런스 레식 교수에 의해 처음 사용된 말로...'라는 글이 보입니다. '대량생산체제의 소유 개념과 대비된다'는 친절한 멘트도 보이네요. 맞는 말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해 로렌스 레식 교수는 공유경제를 발명한 것이 아닙니다. 발견한거에요. 그것도 재발견.


공유경제의 핵심은 '공유'에 있습니다. '소유'가 아니죠. 그런데 공유의 뜻을 잘 살피면 '유휴재산의 공유'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주체는? 재화를 생산하는 사람? 아니죠. 재화를 사용하는 사람! 정리하자면 공유경제는 로렌스 레식 교수의 주장을 빌려온다고 해도 '재화의 공유'라는 정체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더 내밀한 지점에는 '소비의 방식'이라는 답을 발견할 수 있어요.


역사적으로 보면 더 재미있습니다. 잉여 생산물이 발생하고 계급제도가 시작된 후, 인류는 혁명이나 전쟁이 벌어지지 않는 이상 정해진 신분의 틀에서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그리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수 지배층의 지배를 받아요. 문제는 재화의 절대치. 지배층이 90을 가져간다면 절대다수인 피지배층은 10을 가져갑니다. 여기서 고민이 나옵니다. 한정된 재화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소비할 것인가? 우리 선조들은 두레와 향악 등으로 해결했어요. 그러니까 한정된 재화를 가진 사람들이 재화의 시너지를 노리기 위해 서로의 잉여 노동력을 교환하는 방식이지요. 주체는? 재화를 사용하는 사람과 활용하는 사람 모두지만 엄밀히 말하면 활용하는 사람입니다. 왜? 서로의 경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두레와 향악 등을 보자고요. "최씨네 집에 밭일이 있으니 모두 모여라!" 상황이 벌어지는 중심은 노동력의 소비가 시작되는 지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인류는 민주주의의 재발견, 자본주의의 승리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합니다. 이제 한정된 재화로 싸우지 않아도 됩니다. "노오오오력만 있으면 세상을 가질 수 있어! 귀족? 상민? 그런게 어디있어!"


...매우 심각한 착각이었어요. 기술의 발전으로 대량생산체제를 끌어낸 상태에서, 오히려 계급제 이상의 견고한 시스템이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혈통이 아닌 돈의 힘으로 말이죠. 이러한 분위기는 자본주의의 위기를 불러옵니다. "노오오오력만 하면 된다며! 그런데 왜 난 하루 한 끼를 걱정해야 하지?" 이는 글로벌 경제 위기가 벌어지던 2000년대 후반 정점으로 달려갑니다. 크게 보면 미국 대선에서 불었던 샌더스 열풍도 여기에 기인해요.

여기서 공유경제의 재발견이 이뤄집니다. 로렌스 레식 교수의 손에서 말이죠. "자본주의는 한계야. 이제 대량생산체제에 따른 소유의 개념으로는 경제 시스템이 불괴된다고. 이대로는 곤란해. 이제 재화를 공유해야해"


지금의 공유경제 기업들, 모조리 온디맨드 기업이다
그런데 말입니다? 공유경제는 소비의 방식입니다. 그럴 수 밖에 없어요. 왜? 재화를 공유해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니까요! 재화를 가지고 효과적으로 사업을 벌여 이윤을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잘 소비하는 법'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우버와 에어비앤비 등을 보겠습니다. 이들은 O2O 기업입니다. 다만 O2O라는 영역이 모바일을 끼고 도는 순간 거의 대부분의 IT 기업에 해당되기 때문에 범위를 좁혀보면, 플랫폼 사업자라고 볼 수 있겠네요. 하지만 뭔가 부족해요. 무엇일까요? 아! '손님은 왕이다!' 온디맨드 기업!


맞습니다. 지금 판을 치고 있는 소위 공유경제 기업이라는 존재들의 면면을 보면 모조리 온디맨드 기업이에요. 이들은 수요에 맞춰 공급을 조절하는 방식을 공유경제의 탈로 위장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온디맨드 기업은 플랫폼 사업자로 활동하며 수요를 보고 공급을 맞춥니다. 수요자가 공급자가 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고 하지만, 말 그대로 수요가 일어나는 지점에 공급자를 동원하는 방식이라는 뜻입니다. 이 과정에서 플랫폼 사업자는 서서히 공급자의 슈퍼갑이 됩니다. 온디맨드가 비정규직화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며, 우버가 2009년 경제적 불평등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심했던 샌프란시스코에서 탄생한 배경입니다.


소비의 방식인 공유경제를 플랫폼 사업자가 온디맨드로 작동시키면서 수요자와 공급자의 경계를 흐릿하게 만들었다는 이유로, "재화의 윤택한 활용"이라는 말을 할 자격이 있을까요? 심지어 공유가 아닌 경제에 방점을 찍으면서요. 이들은 그냥 O2O의 기술발전으로 플랫폼 사업으로 온디맨드 방향성을 잡았을 뿐입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합니다. 플랫폼 사업자가 개입하는 순간 소비의 방식인 공유경제는 크게 의미가 퇴색되지만, 뭐 그건 그렇다고 칩시다. 지금의 소위 공유경제 기업이라는 것들을 보면 온디맨드의 방향성을 따지면서 '이윤 창출'에 나서고 있습니다. 물론 나쁘다는거 아니에요. 다만 합리적 소비의 방식을 사업적, 마케팅적 수사로 갖다 붙이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을 뿐.


...그래도 뭔가 있기는 하잖아...
지난 28일 유경준 통계청장은 공유경제 실태조사 계획에 대해 "지난해부터 개략적인 파악을 마쳤고, 오는 6월부터 조사에 들어가 연말에 결과가 나올 것이다"고 밝혔습니다. 무상거래는 제외한다고 하더군요. 정정했으면 좋겠습니다. 온디맨드 기업이라고.


물론 이러한 방식이 도덕적, 법적으로 문제가(있기는 하지만) 큰 것은 아닙니다. 뭐, 사업의 방식일 수 있으니까요. 게다가 이런 반론도 나옵니다. '혁신의 기업 경영술이 아닌가!' 맞아요. 중국 이야기가 나옵니다. 자전거의 오포나 모바이크를 봐라. 중국 양회를 봐라. 공유경제는 대세다!


현재 공유경제 기업으로 불리는 온디맨드 기업들이 승승장구하는 배경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한 사회의 재화가 크게 늘어났다가 '꺾이는 지점'으로 넘어가는 장면이 주효합니다. 중국의 경우 소위 공유경제 기업들이 부상하는 이유? 혁신의 기술이라? 지엽적으로는 그렇지만 크게 보면 그건 경제가 성장하다가 '꺾이고 있기' 때문에, 주인을 순간적으로 잃은 재화들이 공공재로 여겨지며 이를 플랫폼 사업자가 온디맨드로 풀어가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상황을 고무적으로 보는 것 자체가 말이 않된다고 생각합니다. 온디맨드는 비정규직 양산의 본산이에요. 지금 당장 플랫폼 기업, 온디맨드 기업은 성장하겠지만 그들은 점점 공급자의 슈퍼갑이 될 겁니다.


자신을 공유경제 기업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은, 온디맨드로 커밍아웃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재화의 공유? 지금은 재화를 창출하는 방식으로 철저하게 맞추어져 있습니다. 이렇게 가다가는 공유경제라는 달콤한 마케팅에 눈이 멀어 자본주의의 폐혜를 해결하기는 커녕 인류 경제 모델의 종말이 올 수 있습니다. 그 시작은 노동시작이 될 겁니다. 가뜩이나 인공지능이니 뭐니 마음이 복잡한데...


냉정하게 논의를 하려면 공유경제와 온디맨드를 분리하고, 전자를 사회적 기업까지 허용하는 선에서 공동체적 관점으로 철저히 소비적 관점..즉 문화적 관점으로 공략해야 합니다. 그리고 온디맨드를 사업적, 경제적 이윤 창출의 개념으로 깊숙히 연구해야 해요. 이 둘을 섞어버리는 순간 혼란이 오고, 우리는 고민할 시간마저 빼앗기게 됩니다.

작가의 이전글 배민의 실험,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