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곽지영 Mar 04. 2020

스마트 세상의 구멍

경북매일 연재 칼럼 > 스마트 세상

얼마 전 칼럼 “소는 잃었어도 외양간은 제대로 고쳐야 한다”를 썼을 때만해도 상황이 달랐다. 이웃나라 상황을 강 건너 불로 여기지 말고 타산지석으로 삼아 대비책을 마련하자는 취지로 쓴 삼인칭 관찰자 시점의 글이었다. 반짝 관심이 쏠렸다가 상황이 지나면 흐지부지되는 일이 잦으니, 이번에는 그러지 말자는 노파심이 시킨 글말이다.


최근 불과 1~2주 사이, 좋아지는 듯 보였던 상황은 급변했다. 매일 확진자가 백수십명씩 늘고, 일상을 함께하던 사람들 중에도 격리 대상자가 나오기 시작했다. 공공장소는 문을 닫았고 거리는 무인지경에다, 아파트 주차장은 며칠째 같은 자리를 지키는 차들로 가득하다. 행사, 회의는 물론 사적인 모임들까지 취소되었다. 막연한 불안감을 넘어 실제로 닥친 위기, 매일 악몽 속에서 잠이 깨는 공포영화 느낌이랄까.


대학원에서 안전공학이라는 분야를 처음 접한 후 안전문제에 관한한 과민반응을 보이는 습관이 생겼다. 사람 목숨이 달린 안전문제를 비전문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깨닫게 해주어서다. 며칠 연속 확진자가 나오지 않자 사람들은 놀란 가슴을 쓸어내리며 삶의 현장으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의학계의 엄중한 경고는 아직 이어지고 있었지만 거리에는 마스크를 벗어던진 사람들도 종종 보였다. 사람들의 불안심리가 유발할 사회·경제적 부작용이 바이러스보다 더 우려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아무 일도 없었던 듯 일상으로 너무 빨리 돌아가는 듯한 분위기가 될까 공학자는 불안했다. 치사율이 낮다고는 하나, 전염력이 이전에 찾아온 그 어떤 병원체들보다 강하고, 게다가 폐렴을 일으킨다지 않는가?


안전공학 이론 중에 리즌(James Reason)의 스위스치즈 모델(Swiss Cheese Model)이란 것이 있다. 구멍이 숭숭 난 스위스 치즈 조각을 여러 겹 겹친 것을 예로 들면서, 모든 형태의 사고는 그 여러 겹의 구멍 사이를 용케도 빠져나가버린 화살 같은 거라 설명한다. 그 여러 겹의 치즈는 대비책이 될 만한 사회적 안전망, 위험을 막아줄 조직체계와 제도, 의·약학적 치료제, 그리고 보완수단이 될 기술적 안전장치 등을 말한다. 바이러스 따위에게 들통나버린 스마트 세상의 구멍들을 매워나갈 궁리에 서둘러 해결해내야 할 숙제는 늘어만 간다.


이런 저런 생각에 머리가 무거워져 쓰레기나 버리자며 챙겨 나섰다. 엘리베이터에서 쓰레기 버리는 엄마를 따라 킥보드를 끌고 나온 동네 꼬마와 마주쳤다. 여느 때라면 친한 척하며 담소를 한참 나누었을 텐데, 마스크 너머로 눈웃음만 건네는 게 전부라 씁쓸하다.


“아... 오랜만에 밖에 나온다...”


아파트 마당으로 나서며 혼잣말하는 꼬마가 짠해 한참을 보고 서 있었다. 이번 사태로 입학이 연기된 조카들의 얼굴도 떠오른다. 이 시대 어른의 한 사람으로서 미안함이 몰려와, 다음에는 이런 일 다시없게 해주마 다짐해 본다.      


등록일 2020.03.03. 20:14 게재일 2020.03.04

https://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839914     


(이미지 출처: https://www.safetydashboard.com/how-to-eat-a-swiss-cheese-model/)

매거진의 이전글 스마트 기술의 새로운 용처 - 꿈의 실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