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여름 May 12. 2024

여전히 심란한 마음으로 호캉스


커튼을 조심스레 열어젖히니 창밖 가득 옅은 감빛이 은은하게 감돌았다. 파도가 철썩이는 바다도, 바로 앞에 보이는 가든도 이제 막 잠에서 깬 아이처럼 아침을 맞을 준비를 했다. 눈부신 빛이 세상을 뒤덮기 전의 고요는 언제 보아도 아름답고 설렌다. 첫번째 휴식으로 택한건 제주에 있는 브랜드 호텔에서의 호캉스. 하지만 내 마음은 마냥 좋지만은 않다. 간밤에 꾼 꿈은 가뜩이나 변덕이 죽끓듯하는 내 마음에 더 심란한 불안을 안겨주었기 때문이다. 꿈에서 나는 다른 직장을 알아보며 결의를 다지고 있었다. 왜 그런 꿈을 꾸었을까? 소속이 없다는 허전함 때문이거나, 아니면 이제 본격적인 전업작가로 평가를 받게 될게 두려웠거나, 혹은 둘다인지도 모르겠다. 


다시 직장생활을 시작한다고 해도, 지금 이 상태로는 달라질게 없다는걸 알고 있다. 게다가 지금 직장생활을 한다면 새로운 시작이 아니라, 웹소설 작가로서의 삶을 시작도 해보기 전에 도피하는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퇴사한 지 꼭 2주가 된 지금, 그렇게 오랫동안 바라던 ‘전업작가로서 본격적인 웹소설 쓰기’의 완벽한 조건이 주어졌건만 다시 도망가고 싶은 마음이 스멀스멀 올라온다. 평소 도망치는 걸 적극 권장하는 나지만, 이번만큼은 도망가려는 자아의 멱살을 쥐고 뺨을 올리친다. 평생 이 순간을 꿈꿔 와놓고 이제와서 비겁하게 뒷걸음질 치는 나를 용납할 수 없었으니까. 잘 해낼 자신이 없다고, 나 스스로에게 실망하는게 두렵다고 엉엉우는 나약한 나와 망해도 최선을 다하라고 윽박지르는 철인같은 내가 서로 싸운다. 


호캉스를 와서 이게 무슨 일이란 말인가.


푹신한 침대 위에서 흰 이불을 바스락거리던 나는 방안에 혼자 누워 적막을 느낀다. 익숙한 공간에서는 생활과 뒤섞여 알아볼 수 없던 마음이 낯선 곳에 오니 새로 단장한 호텔처럼 깔끔해진다. 명확하고 또렷한 대립. 숨을 곳 없이 덩그러니 놓여진 벌레처럼, 나약한 마음은 당황하며 이런저런 변명을 끌어온다. 결국 내가 ‘철인같은 나’의 손을 들어주자 그는 ‘나약한 나’를 망설임 없이 짓밟는다. 커튼을 더 활짝 열어젖힌 나는 어느새 더 찬란하게 빛나는 아침해를 맞이하며 한 번도 가보지 못한 길을 가보기로 마음먹는다. 


아침 일찍 조식을 먹으러 가니 국적이 다양한 음식들이 깔끔하게 줄지어 서 있다. 즉석에서 요리해주는 오믈렛과 쌀국수까지 받고는 정갈한 마음으로 한술 뜬다. 집과 차로 30분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인데 마치 비행기를 타고 다른 곳에 간 것처럼 낯설다. 주변 사람들의 재잘거리는 말소리를 들어보니 대부분 서울 사람들이다. 익숙한 곳을 떠나 여행온 그들의 무리 속에서, 나는 되레 제주가 아닌 것 같은 낯섦을 느낀다. 그 분위기에 조금 들뜬 마음으로 전문가의 솜씨가 만들어 냈을 완벽한 비율의 음식들을 차례차례 맛보며 배를 채워나간다. 평소 즐길 수 없는 사치스러운 기회가 아까워 배가 부른데도 꾸역꾸역 음식을 구겨 넣었다. 과식을 했지만 그건 또 그것대로 좋았다. 



바다 앞에 덩그러니 놓인 카페가 내 마음을 끌었다. 조금 무거운 문을 열고 들어가 유채꿀이 들어가 있다는 독특한 이름의 커피를 주문한다. 큰 통유리창 앞에 놓인 커피와 그걸 한 모금씩 홀짝이는 나는 평소 읽고 싶었던 책에 눈을 돌리고는 찬찬히 읽어 나간다. 하지만 금세 머리가 어지러워져 다시 바다를 바라본다. 짙은 파랑이 끊임없이 몰려오는 바다. 그 쨍한색이 괜히 외롭다. 왜일까. 평소에는 외롭지 않다고 생각하면서도, 저 바다를 볼 때면 내가 이방인이라는 사실이 떠올라 허전해진다. 직장이라는 울타리도, 가족이라는 울타리도 없이 잘 해낼 수 있을까? 이제껏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독립. 30대 후반이 되어서야 비로소 치르는 스스로의 성인식을 앞두고 저 바다만큼이나 마음이 출렁인다.


편안하게 즐길 줄 알았던 호캉스가 어쩐지 혼자 극기를 기르는 셀프 수련원이 되어버렸다. 첫날은 유튜브나 보며 깔깔거리고 잠들었지만, 그런 꿈을 꾸고 나서부터는 거대한 물음이 나를 뒤덮었다. ‘괜찮아? 정말 괜찮겠어?’ 그 물음은, 실패한 작가가 될지도 모른다는 처절한 불안이 만들어 낸 동동거리는 마음이었다. 하지만 언젠가는 가야 할 길이고 충분히 결심을 했던 일이니 손을 들어 울먹이는 마음을 토닥인다. 평온하고 사치스러워 보이는 겉과 달리, 나의 호캉스는 치열하고 힘든 내적 싸움을 해 나가는 시간이 되었다. 


집안의 막내로 살며 항상 어리광을 부리며 살아온 내가, 그 누구보다 단단하지 못한 내가 이 길을 잘 헤쳐갈 수 있을지 모르겠다. 가만히 침대에 누워 인생의 의미가 내 삶의 방향 따위를 생각해 보았지만 무엇이 진짜인지, 답이 있는 건지도 알 수 없다. 하지만 모두가 답 없는 인생을 그냥 앞만보고 걸어가는게 아닐까? 그러니까, 나만 그런게 아니라는 위안을 얻으며 심장을 꽉 조이는 불안을 움켜쥐고 한발씩 걸어가기로 한다. 그것만으로 의미가 있다는 것을, 분명 후회하지 않으리라는 걸 알고 있기에. 


매거진의 이전글 잘하고 싶었는데, 왜 이렇게 됐을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