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범근 Aug 08. 2021

인터넷 세계 지도

21세기의 대동여지도

반지의 제왕 책 앞에 붙어있을 것 같은 고대 지도. 실제 나라가 아니라, 2021년 인터넷(웹)을 표현해놓은 지도다.

참고로 나는 지도를 정말 좋아한다. 어렸을 때부터 사회과 부도를 제일 열심히 읽고, 지금도 지하철 시간 남으면 지하철 노선도를 보고, 판타지 소설에서도 세계관 지도보는 걸 제일 좋아한다.

근데 '인터넷의 지도'라니? 이건 못 참지.

지도를 보다보면 소름이 쫙 돋는다. 이 어마어마한 디테일이라니.

대륙은 웹사이트의 종류에 따라 나뉘어져 있고,

각 국가의 크기는 웹사이트의 트래픽이다.

구글 유튜브가 역시나 어마어마하구나. 알리바바쪽이 생각보다도 매우 크고, 남극으로 표시된 다크웹과, 성인사이트 대륙, 정부사이트 대륙도 상당한 땅덩이를 차지한다. 교육콘텐츠 대륙, 악성프로그램 대륙. 금융서비스 대륙... 신기하다 신기해.


게다가 단순 나라 이름만 있는 게 아니라, 관련된 키워드/서비스/인물 등이 깨알같이 도시로 표현돼있다.

네이버 나라에는 네이버페이, 네이버NOW, 네이버블로그 같은 도시들이 있고, 틱톡 나라에는 유명 인플루언서 이름이 도시로 나와있다. 어떤 나라는 수도가 표시되어있는데 창업자 이름이다.

지명들도 압권이다 ㅋㅋ

네이버-구글-트위터-DC인사이드를 끼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해협, 야후-얀덱스-빙을 끼고 있는 홈페이지 해, 구글 나라에 있는 인덱스 산맥, 유튜브 나라에 있는 플레이리스트 고원...

자세히 들여다보니 재미있는 내용이 끝도 없다.

지도를 계속 확대해보고, 모르는 지명은 검색해보면서 이런 뜻이구나 알아가다보면 시간 순삭.

한참을 빠져서 봤다. 완전 마스터피스네 이거. 진짜 실물로 하나 사고 싶다.

HALCYON MAPS 라는 아티스트가 만드셨다. 웹사이트를 보니 이렇게 만든 지도가 수십개다. 이 시대의 김정호일세...


https://www.halcyonmaps.com/map-of-the-internet-2021


매거진의 이전글 트위터, 네이버,애플, 스포티파이의 유료 콘텐츠 실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