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짜 앱들의 진짜 사용료 분석
웹툰을 보다보면 만화의 퀄리티에 대한 불평이 달리곤 합니다.
- 이 작가 요즘 일 안하네 분량좀 늘려라
그럼 곧 이런 답글이 달리죠.
- 공짜로 쓰는데 그냥 보지 뭔 말이 많아
그럼 곧 다른 답글이 달립니다.
- 이게 공짠가? 다 광고비로 들어가는데
여러분도 이런 설전 본적 있으신가요?
네이버 웹툰은 분명히 무료 앱입니다.
시간당 돈을 요구하는 경우도 없고,
댓글을 달기 위해서 돈을 내야하는 것도 아니죠.
대신 이들은 '광고비'로 먹고 사는데요.
문득 내 '광고비'가 얼마나 될지 궁금해졌습니다.
내가 앱을 쓰면 회사는 돈을 얼마나 벌까요?
오늘은 이에 대한 답을 알아봤는데요.
아쉽게도 미리보기/광고비 구분이 없는 네이버웹툰은 알아보지 못했고,
SNS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메신저 : 카카오톡, 라인, 위챗
O2O : 배달의 민족, 야놀자, 직방
9개 무료 서비스의 "진짜 사용료"에 대해 분석해봤습니다.
SNS분야는 전체 매출에서 광고매출에 대한 의존도가 90%에 달할 정도로 높습니다.
몇 안되는 서비스들이 수억단위의 MAU를 가지고 있지만 유저 수 대비 매출액은 적은 편이었는데요.
트위터와 인스타그램의 월 사용료는 500~600원 수준이었습니다.
- 총 매출액 중 인스타그램 추정치를 제외한 광고매출은 12.8조원*
- MAU는 22.3억명**
- 페이스북 메신저와 페이스북의 광고매출이 구분되지 않아 월 사용료가 높게 형성됨
- 가족/친구를 위한 플랫폼으로 돌아간다고 선언한 이후 매출이 상승 사실이 눈에 띔
*출처 : statista
**출처 : facebook 2018.2Q IR
- 총 매출액 중 data licensing & other revenue 제외한 광고매출은 6725억원*
- MAU는 3.35억명*
- 위기라 불리지만 2017년 4분기 이후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며 MAU도 미세하게 상승중
*출처 : twitter 2018 2Q IR
- 페이스북 전체 매출의 12%가 인스타그램의 광고매출인 것으로 추정*
- MAU는 10억명**
- 페이스북이 정보를 공개하고 있지 않지만 MAU와 매출액 모두 빠르게 상승중인 것으로 추정
*출처 : statista
**출처 : 6월 20일 인스타그램 공식 발표
라인을 제외하고는 메신저를 주요 수익모델이 보단 유저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쓰고 있습니다.
때문에 광고수익에 대한 의존도가 낮은데요.
카카오톡과 라인의 월 사용료는 400원 정도였습니다.
- 텐센트 전체 매출액은 12.6조원, 그중 social & others ad분야는 4.2조원*
- social & others 분야는 텐센트의 주요 서비스 QQ와 위챗이 모두 포함되어있음.
- 위챗 광고매출은 MAU비중으로 나누어 산출했기 때문에(총매출*wechat mau/(wechat mau + QQ mau)) 정확하지 않은 수치.
- 위챗의 MAU는 10.6억명*
*출처 : tencent 2018.2Q IR
- 라인의 총 매출액 5070억원 중 core business ad는 2738억원*
- 라인의 mau는 2.17억명*
- 카카오나 텐센트와 비교했을 때 비즈니스모델의 다양성이 부족.
*출처 : LINE 2018.2Q IR
- 카카오톡의 MAU는 4360만명*
- 전체 매출 중 광고수익에 의존하는 정도가 낮음
*출처 : Kakao 2018.2Q IR
광고수익 뿐만 아니라 결제 수수료를 주 수익모델로 가진 O2O서비스는 비교적 유저 1인당 수익이 높은편이었습니다. 직방과 배달의 민족은 월 사용료가 2000~2600원에 달했는데요.
결제 수수료를 받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유저 1인당 수익이 높은 배달의 민족이 눈에 띄네요. 야놀자는 B2B서비스 등 수익구조 다각화를 통해 적은 광고/판매수수료에도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 우아한 형제들의 총 매출액은 1626억원 중 서비스 매출액은 1607억원*
- 서비스 매출액에서 특수관계자(우아한 신선들 등)와의 거래 금액을 제외한 매출은 1561억원*
- 배민 라이더스의 수익이 우아한 청년들에 들어간다고 가정하여 광고매출을 1561억원으로 계산
- 배달의 민족의 MAU는 내부자료(기사) 기준 650만명
*출처 : 우아한 형제들 2017 감사보고서
- 직방의 총 매출액은 346억원*
- 광고, 수수료 외 타 수익모델이 없다고 가정하여 계산
- MAU는 107만명**
*출처 : 직방 2017 감사보고서
**출처 : 2017.1~7 앱애니에서 조사한 직방 MAU의 평균값
- 야놀자의 총 매출액 1005억원 중 광고*판매수수료는 206억원
- MAU는 211만명**
- 프랜차이즈, B2B서비스 등 다양한 수익모델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창출
*출처 : 야놀자 2017 감사보고서
**출처 : 2017.11~2018.2 앱애니 조사결과
무료 서비스의 진짜 사용료,
생각보다 많은가요?
분석을 하다보니
사용료가 낮은 페이스북이나 메신저가 계륵같은 광고를 못버리는 이유도 보이고,
타 IT서비스에 비해 수익구조가 명확한 O2O서비스가 유행했던 이유도 보입니다.
월 9500원씩 따박따박 받아가는 넷플릭스의 위엄이 새삼 느껴지네요.
정확한 데이터나 계산방법을 기반으로 만든 자료가 아니니 과한 신뢰는 위험합니다:(
가벼운글이니 그냥 재미로 봐주세요:)
*자료원본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주세요!
월 사용료는
광고 매출 / (매출기간 * 월 활성 사용자 수)
로 계산했습니다.
매출의 서비스별 구분이 되어있지 않거나(QQ, 위챗),
매출/MAU가 공개되지 않는(인스타그렘) 공개되지 않는 부분은 추정치로 계산했습니다.
매출은 소비자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광고/수수료분야에 한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