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돌망 Aug 27. 2018

내가 페이스북을 쓰면
페이스북은 얼마를 벌까?

공짜 앱들의 진짜 사용료 분석

웹툰을 보다보면 만화의 퀄리티에 대한 불평이 달리곤 합니다.

 - 이 작가 요즘 일 안하네 분량좀 늘려라




그럼 곧 이런 답글이 달리죠.

 - 공짜로 쓰는데 그냥 보지 뭔 말이 많아




그럼 곧 다른 답글이 달립니다.

 - 이게 공짠가? 다 광고비로 들어가는데



여러분도 이런 설전 본적 있으신가요?


네이버 웹툰은 분명히 무료 앱입니다.

시간당 돈을 요구하는 경우도 없고,

댓글을 달기 위해서 돈을 내야하는 것도 아니죠.


대신 이들은 '광고비'로 먹고 사는데요.

문득 내 '광고비'가 얼마나 될지 궁금해졌습니다.



내가 앱을 쓰면 회사는 돈을 얼마나 벌까요?


오늘은 이에 대한 답을 알아봤는데요.

아쉽게도 미리보기/광고비 구분이 없는 네이버웹툰은 알아보지 못했고,

 SNS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메신저 : 카카오톡, 라인, 위챗

 O2O : 배달의 민족, 야놀자, 직방

9개 무료 서비스의 "진짜 사용료"에 대해 분석해봤습니다.





01

SNS 분야




 SNS분야는 전체 매출에서 광고매출에 대한 의존도가 90%에 달할 정도로 높습니다.

몇 안되는 서비스들이 수억단위의 MAU를 가지고 있지만 유저 수 대비 매출액은 적은 편이었는데요.

트위터와 인스타그램의 월 사용료는 500~600원 수준이었습니다.

1) 페이스북

  - 총 매출액 중 인스타그램 추정치를 제외한 광고매출은 12.8조원*

  - MAU는 22.3억명**

  - 페이스북 메신저와 페이스북의 광고매출이 구분되지 않아 월 사용료가 높게 형성됨

  - 가족/친구를 위한 플랫폼으로 돌아간다고 선언한 이후 매출이 상승 사실이 눈에 띔

*출처 : statista

**출처 : facebook 2018.2Q IR


2) 트위터

 - 총 매출액 중 data licensing & other revenue 제외한 광고매출은 6725억원*

 - MAU는 3.35억명*

 - 위기라 불리지만 2017년 4분기 이후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며 MAU도 미세하게 상승

*출처 : twitter 2018 2Q IR


3) 인스타그램

 - 페이스북 전체 매출의 12%가 인스타그램의 광고매출인 것으로 추정*

 - MAU는 10억명**

 - 페이스북이 정보를 공개하고 있지 않지만 MAU와 매출액 모두 빠르게 상승중인 것으로 추정

*출처 : statista

**출처 : 6월 20일 인스타그램 공식 발표




02

메신저 분야




 라인을 제외하고는 메신저를 주요 수익모델이 보단 유저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쓰고 있습니다.

때문에 광고수익에 대한 의존도가 낮은데요.

카카오톡과 라인의 월 사용료는 400원 정도였습니다.

 1) 위챗

 - 위챗은 텐센트가 서비스하는 중국의 주요 채팅 앱.

 - 텐센트 전체 매출액은 12.6조원, 그중 social & others ad분야는 4.2조원*

 - social & others 분야는 텐센트의 주요 서비스 QQ와 위챗이 모두 포함되어있음.

 - 위챗 광고매출은 MAU비중으로 나누어 산출했기 때문에(총매출*wechat mau/(wechat mau + QQ mau)) 정확하지 않은 수치.

 - 위챗의 MAU는 10.6억명*

 *출처 : tencent 2018.2Q IR


2) 라인

 - 라인은 일본, 인도네시아, 태국, 대만에서 주로 서비스되는 채팅 앱

 - 라인의 총 매출액 5070억원 중 core business ad는 2738억원*

 - 라인의 mau는 2.17억명*

 - 카카오나 텐센트와 비교했을 때 비즈니스모델의 다양성이 부족.

 *출처 : LINE 2018.2Q IR


3) 카카오

 - 카카오의 총 매출 5889억원 중 카카오플랫폼 광고매출은 549억원*

 - 카카오톡의 MAU는 4360만명*

 - 전체 매출 중 광고수익에 의존하는 정도가 낮음

*출처 : Kakao 2018.2Q IR




03

O2O서비스




 광고수익 뿐만 아니라 결제 수수료를 주 수익모델로 가진 O2O서비스는 비교적 유저 1인당 수익이 높은편이었습니다. 직방과 배달의 민족은 월 사용료가 2000~2600원에 달했는데요.

 결제 수수료를 받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유저 1인당 수익이 높은 배달의 민족이 눈에 띄네요. 야놀자는 B2B서비스 등 수익구조 다각화를 통해 적은 광고/판매수수료에도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1) 배달의민족

 - 우아한 형제들의 총 매출액은 1626억원 중 서비스 매출액은 1607억원*

 - 서비스 매출액에서 특수관계자(우아한 신선들 등)와의 거래 금액을 제외한 매출은 1561억원*

 - 배민 라이더스의 수익이 우아한 청년들에 들어간다고 가정하여 광고매출을 1561억원으로 계산

 - 배달의 민족의 MAU는 내부자료(기사) 기준  650만명

*출처 : 우아한 형제들 2017 감사보고서



 2) 직방

 - 직방의 총 매출액은 346억원*

 - 광고, 수수료 외 타 수익모델이 없다고 가정하여 계산

 - MAU는 107만명**

 *출처 : 직방 2017 감사보고서

 **출처 : 2017.1~7  앱애니에서 조사한 직방 MAU의 평균값


 3) 야놀자

 - 야놀자의 총 매출액 1005억원 중 광고*판매수수료는 206억원

 - MAU는 211만명**

 - 프랜차이즈, B2B서비스 등 다양한 수익모델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창출

*출처 : 야놀자 2017 감사보고서

 **출처 : 2017.11~2018.2 앱애니 조사결과






무료 서비스의 진짜 사용료,

생각보다 많은가요?


분석을 하다보니

사용료가 낮은 페이스북이나 메신저가 계륵같은 광고를 못버리는 이유도 보이고,

타 IT서비스에 비해 수익구조가 명확한 O2O서비스가 유행했던 이유도 보입니다.

월 9500원씩 따박따박 받아가는 넷플릭스의 위엄이 새삼 느껴지네요.


정확한 데이터나 계산방법을 기반으로 만든 자료가 아니니 과한 신뢰는 위험합니다:(

가벼운글이니 그냥 재미로 봐주세요:)



*자료원본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주세요!


월 사용료는

광고 매출 / (매출기간 * 월 활성 사용자 수)

로 계산했습니다.


매출의 서비스별 구분이 되어있지 않거나(QQ, 위챗),

매출/MAU가 공개되지 않는(인스타그렘) 공개되지 않는 부분은 추정치로 계산했습니다.

매출은 소비자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광고/수수료분야에 한정했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