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버즈빌 May 08. 2024

뷰티 브랜드가 리워드 광고를
선호하는 이유




이 글을 읽고 계신 독자분들은 화장품을 어디서 주로 구매하시나요?

다이소? 올리브영? 쿠팡?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소비자들의 주요 구매 채널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 가면서, 화장품 역시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비율이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2024년 1월 통계청이 발표한 온라인 쇼핑 동향 리포트에 따르면 기존 화장품의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전년 동월대비 21.2% 상승했는데요. ‘간편한 최저가 비교, ‘빠른 배송’ 등의 이용자 편의성 강화의 영향으로 예측됩니다.  


또한 화장품 정보 탐색 경로 역시 온라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메조미디어의 2023 화장품 업종 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뷰티 시장의 주된 타겟인 2040세대의 경우 대부분의 화장품 정보를 온라인 쇼핑몰, SNS, 동영상 채널 등에서 주로 획득하고 있었는데요. 이러한 통계는 소비 트렌드 자체가 온라인 중심으로 자리를 굳히고 있음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뷰티 브랜드의 광고 활용 방법에도 많은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뷰티 브랜드가 퍼포먼스 광고를, 그리고 그 안에서의 리워드 광고는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뷰티 브랜드는 DA 광고에
가장 많은 마케팅 예산을 쓰고 있어요.


뷰티 시장의 변화된 소비 동향은 디지털 광고 시장에도 다양한 변동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최근 온라인 광고 시장에서 SA, 즉 *검색 광고가 30% 급성장하는데 반해 뷰티 업종에서는 DA를 압도적으로 더 많이 집행하고 있습니다.

*자료 출처: 김수경 기자, “2022년 대한민국 총 광고비, 전년比 6.5% 증가한 16조 5203억 원… 온라인 검색광고(SA) 강세, 뉴데일리경제, 2024.02.28 


반면에 뷰티 업종에서는 DA(Display Ads, 디스플레이 광고)를 집행하는 비율이 압도적이었습니다. 메조미디어의 2023 화장품 업종 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화장품 업종에서 가장 많이 집행하는 광고는 디스플레이가 50%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외에는 네이티브, 동영상이 뒤를 이었으며 대부분 시각적으로 즉시 인지할 수 있는 광고를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메조미디어 (2023 화장품 업종 분석 리포트)



리워드 광고는 
뷰티 브랜드가 가장 많이 집행해요.


DA에 많은 예산을 투자하는 뷰티 브랜드는 구글, 카카오, 메타 등 주류 광고지면 외에도 소비자에게 닿을 수 있는 새로운 지면에 대한 니즈가 큰 편입니다. 브랜드 런칭 및 리뉴얼, 제품 라인업 추가 같은 변화가 잦기 때문에, 새로운 소식을 잠재 고객과 기존 고객 모두에게 빠르게 전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 보니 지면 확보에 대한 경쟁도 치열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현상에 따라 기존 주류 광고 지면 이외에도 프리미엄 앱 서비스에도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리워드 광고가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실제 버즈빌 데이터 기준 2021년 대비 2023년 뷰티 업종의 리워드 광고 집행 현황을 살펴보면, 광고주 수가 2년 만에 약 200% 상승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버즈빌 리워드 광고를 가장 많이 집행하는 업종 1위를 차지할 만큼 높은 비율이었습니다.  




시각적 효과가 중요한 뷰티 브랜드는
라이브커머스 상품을 가장 많이 이용해요. 


화장품이라는 제품의 특성상 발색, 질감, 촉촉함 등 제품의 섬세한 시각적 표현이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이미지 없이 텍스트만으로는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고 구매까지 유도하기엔 한계가 있습니다.  


때문에 뷰티 브랜드는 시각적으로 생동감을 주면서, 자세한 제품 설명을 직접 할 수 있는 ‘라이브커머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라이브 커머스는 신규 제품 출시나 각종 기획전, 프로모션 시점에 맞춰 다수 진행하며 대표적인 뷰티 마케팅 채널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뷰티 브랜드의 버즈빌 리워드 광고 상품 집행 현황에서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버즈빌 데이터 기준 뷰티 브랜드가 가장 많이 집행하는 광고 상품은 21%로 라이브커머스가 가장 많았는데요. 


라이브쇼핑이 진행되는 시간대에 맞춰 광범위한 유저에게 광고가 집중적으로 노출되는 버즈빌 라이브커머스 광고 상품은, 단시간 많은 시청자를 확보하고자 하는 뷰티 브랜드의 선택을 받았습니다. 


라이브커머스 상품 다음으로는 보다 넓은 타겟에게 도달할 수 있는 CPM(노출형) 상품이 17%, CPC(노출형) 상품이 9%로 뒤를 이었습니다.





지금까지 뷰티 브랜드의 리워드 광고 활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콘텐츠의 핵심 내용을 요약해 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SA 광고가 강세인 온라인 광고 트렌드와 달리 뷰티 업종은 여전히 DA 광고 집행 비율이 압도적이다. 그 이유는 시각적인 생동감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DA 광고를 주력으로 운영하다 보니 구글, 메타, 카카오 이외의 새로운 지면 발굴에 대한 니즈가 강하며 그중 하나로 리워드 광고를 많이 이용한다.   

여러 리워드 광고 상품 중에서도 라이브커머스 상품을 가장 많이 집행하고 있으며, 이외에는 노출형 광고가 뒤를 잇는다.   

버즈빌의 라이브커머스 광고 상품을 가장 많이 집행하는 이유는 라이브커머스가 진행되는 시간 동안 광범위한 유저를 대상으로 광고가 집중적으로 노출되어 단시간 많은 시청자를 확보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트렌드를 기반으로 뷰티 브랜드는 더욱더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디지털 마케팅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리워드 혜택 지급이란 미끼를 통해 잠재 고객과의 연결을 강화하여 성과 창출을 위한 새로운 해답을 찾아보세요. 




뷰티 브랜드 리워드 광고, 지금 바로 시작하고 싶다면?

>> 뷰티 전문가에게 리워드 광고 문의하기 (클릭) 


뷰티 브랜드의 리워드 광고 집행 성공 사례가 궁금하다면?

>> F/W 신상품 런칭 캠페인으로 매출 극대화에 성공한 에스쁘아의 성공 사례 보러 가기 (클릭) 


작가의 이전글 마케팅 실무자를 위한 버즈빌 뉴스레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