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YTE Jan 05. 2021

경제뉴스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GDP, GNP, GNI

GDP, GNP 그리고 GNI에 대하여

2021년이 시작되면서 2020년 우리나라 경제를 돌아보는 기사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통계를 내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아마 앞으로도 여러 재미있는 경제 통계 기사들이 나올 것 같은데요. 기사들이 더 나오기 전에, 기본적인 경제지표들은 알고 있어야겠죠? 그래서 오늘은 기본적인 경제지표 3가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GDP와 GNP, 그리고 GNI


제일 먼저 소개할 경제 지표는 GDP입니다. GDP는 Gross Domestic Product의 약자로, 국내총생산입니다. GDP는 지리적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의해 생산된 모든 부가가치를 합쳐 도출합니다. 그러므로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과 한국인 모두가 생산한 부가가치의 합을 의미하죠. GDP는 크게 생산, 분배, 지출 3가지 방식으로 계산을 할 수 있는데, 이론적으로 어떻게 계산하든 GDP는 동일하게 계산됩니다.


다음으로는 GNP입니다. GNP는 Gross National Product의 약자로, 국민총생산을 의미합니다. GNP는 영토와 상관없이 한국 국적을 가진 국민이 생산한 모든 부가가치를 합쳐 계산합니다. 즉, 국내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의 생산활동을 포함하는 것입니다. 예전에는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이 적어 GNP가 나름 의미가 있었지만, 요즘은 많은 기업이 해외에 진출해 GNP를 정확히 계산하기 굉장히 어려워, 1994년부터는 GNP는 잘 사용하지 않는 경제지표입니다.


마지막으로, GNI라는 지표가 있습니다. GNI는 Gross National Income의 약자로 국민총소득을 의미합니다. GNI는 한 국가의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소득을 합산한 지표입니다. 즉, 해외에 거주하는 국민의 소득은 포함하지만 국내 거주 외국인의 소득은 빼야 하죠. GNP는 생산, GNI는 소득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GNI는 그 자체보다, GNI를 인구수로 나눈 1인당 국민소득을 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Tip) D가 들어가는 지표는 영토 기준, N이 들어가는 지표는 국적 기준!




GDP 심화 : 명목 GDP와 실질 GDP, 그리고 GDP 디플레이터


앞서 설명한 세 지표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지표는 GDP인데요. GDP는 크게 2개로 나뉩니다. 명목 GDP는 쉽게 말해 물가를 반영한 GDP입니다. 예를 들어 A 국가에서 2020년 자동차를 10대 생산해 만 원에 팔았는데, 2021년에는 10대를 생산해 2만 원에 팔았다고 해볼게요. 그러면 2020년 A 국가의 명목 GDP는 10만 원이고, 2021년 명목 GDP는 20만 원입니다.


그에 반해 실질 GDP는 물가를 반영하지 않은 GDP입니다. 물가를 반영하지 않기 위해서 기준이 되는 연도가 필요합니다. A 국가는 2015년의 자동차 가격인 5천 원을 기준 가격으로 설정했다고 하면, 2020년과 2021년의 실질 GDP는 모두 5만 원이 됩니다. 뉴스에 나오는 GDP는 일반적으로 실질 GDP를 의미하며, 명목 GDP를 나타낼 때는 명목 GDP라고 정확히 명시합니다.


명목 GDP와 실질 GDP를 활용하면 물가 상승률을 구할 수 있는데, GDP를 사용해 구한 물가 상승률을 GDP 디플레이터라고 합니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누면 기준 연도에 비해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 GDP에는 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품목이 포함되기 때문에 GDP 디플레이터는 시장의 모든 품목을 반영해 물가 상승률을 계산한다는 장점을 갖고 있죠.



알아두면 쓸데 있는 재미있는 지표 상식


앞서 경제 지표들을 몇 가지 살펴봤는데요. 지금까지 나왔던 경제지표들을 가지고 몇 가지 재미있는 통계적 사실들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먼저, 작년 9월 기준으로 가계 빚이 명목 GDP를 넘었다는 사실인데요. 가계 빚은 1940조, 우리나라의 명목 GDP는 1910조로 가계 빚이 명목 GDP의 101.1%를 기록했습니다.


GDP를 가지고는 다른 재미있는 통계도 얘기할 수 있는데요. 세계 시가총액 1위 애플의 시가 총액은 2조 달러입니다. 이는 우리나라 명목 GDP는 물론 G7에 들어가는 이탈리아의 명목 GDP를 넘어서는 액수입니다. 애플이 국가라면 G7에 들어가는 선진국이라는 얘기입니다. 참고로 GDP 1등 미국의 명목 GDP는 2019년 기준 21조 달러가 넘습니다.


GNI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의 좋은 소식이 하나 있는데요. 2020년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처음으로 G7 국가인 이탈리아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코로나 19로 관광산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탈리아가 휘청인 반면 우리나라의 제조업은 상대적으로 좋은 실적을 내며 얻은 결과라고 분석됩니다. 그러나 올해에도 코로나로 인한 경제 타격이 이어질 것으로 보여 지나친 낙관은 금물입니다.



BYTE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mydailybyte.com/


작가의 이전글 2021년 다시 떠오르는 해킹, 랜섬웨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