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Film Inside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W Dec 26. 2021

프라미싱 영 우먼(2020)

이토록 세련된 복수극이라니.

그동안 <킬빌 시리즈>, <리턴 투 센더>, <친절한 금자씨>와 같은 여성 서사의 복수극들을 흥미롭게 봐 왔는데, <프라미싱 영 우먼>은 조금은 독특한 화법으로 이를 그려내어 더 인상 깊었던 영화이다. 처음엔 잔물결을 일다가 후반부로 갈수록 전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점점 파장이 거세지는 전개 방식이 참 매력적이다. 




<캐시가 쏘아올린 작은 공>

캐시는 자신의 절친인 니나가 결국 죽음까지 이르게 된 일련의 사건 이후로, 해당 사건에 가해자들을 찾아가 대신 복수를 해나간다. 처음엔 그들을 하나 둘씩 찾아가 살인을 저지르고 범죄 흔적을 지우는 전개일 것이라 예상했지만, 생각과는 다른 방식을 택한다.      


자신이 니나와 같은 상황에 있을 때, 가해자들이 이번에도 같은 선택을 할지 그들을 시험에 놓게 하는데, 역시 사람은 쉽게 변하면 죽는다는 말이 딱 맞는 것 같다. 타이밍을 잡는 시기만 조금씩 다를 뿐이지, 그들은 하나같이 같은 목적으로 캐시를 대한다. 캐시는 그 때마다 돌변해 물리적인 힘이 아닌 일종의 충격요법으로 그들이 잠재적 범죄자임을 인정하게 한다. 하지만 예상했듯이 모두가 자신의 행동을 자기합리화하고, 심지어 방관자인 친구는 니나가 당한 그 날의 일을 피해자인 니나 탓으로 돌리기까지 한다. 7년이 지났음에도 왜 아직도 그 일을 들먹이냐는 듯이, 가장 끔찍한 ‘그 땐 어렸고 생각이 없었다.’라는 변명을 들먹이면서 말이다. 단 한 사람, 그 사건의 판결을 내린 판사 한 명만이 죄책감을 떠안고 살고 있었다. 이 모든 일들은 앞으로 일어날 엄청난 사건의 시작점일 뿐이라는 걸 그들은 알았을까.     




<사건을 다루되, 피해는 적게>

무엇보다 피해자가 당한 당시의 상황을 묘사하는 방식이 정말 좋았다. 그 당시의 상황을 그대로 재연한다는 컷이라던지, 니나에 대한 일절의 말 없이도 충분히 전체 상황을 잘 설명하고 있다. 피해자에 대한 외부 노출은 최대한 줄이고, 오히려 가해자들을 더욱 부각시켜 누가 봐도 그들이 잘못되었다는 인식을 주는 데에 있어서 큰 역할을 한다. 이런 사건들을 다룰 때 일부 매체들은 그들의 피해 여부를 세세하게 드러내고, 심지어 피해자의 신상까지 알려져 2차 가해가 되는 경우가 다반사인데, 이 작품은 그런 것들까지 인식을 하고 최대한 보호하려는 입장이 보여서 사건을 다루는 바람직한 예시라는 생각이 들었다. 오히려 이 상황을 맞닥뜨린 주변인들의 감정에 더 집중하여 관객들이 그들에게 더 이입하도록 도움을 준다.   



   

<영리한 복수극>

후반부는 어떻게 보면 마냥 통쾌하지 만은 않다. 오히려 나에게는 안타까움과 슬픔이 더욱 큰 감정으로 다가왔다. 누구나 예상할 수 있는 캐시가 모두에게 벌을 주고 당당하게 살아간다! 는 낭만적인 해피 엔딩이 아니다. 어쩌면 이런 전개가 더 현실적이기 때문에 더 충격적이고 와닿지 않을까. 결국 캐시는 또 다른 2차 피해자가 되고, 가해자들은 자신들을 위해 언제나 이를 숨기기에 급급하다. 하지만 이 모든 걸 예상한 캐시의 마지막 일침은 그들을 평생 후회 속에 살게 할 것이다. 가해자 중 유일하게 양심을 가지고 있었던 판사의 행동으로 그들은 법적인 책임을 물게 되고, 니나와 캐시의 복수는 성공리에 끝나게 된다. 그들이 해낸 복수가 개인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나에게는 망각이나 철없음이라는 이유를 들먹이는 모든 가해자와 방관자들에게 보내는 경고라는 생각이 들었다. 왜 이런 사건들은 또 다른 큰 피해가 발생해야 비로소 재조명되는 걸까. ‘복수는 이제 시작일 뿐이야.’라는 문자를 끝으로 자신을 희생함으로 있어서 모든 일이 드러나는 결말은 공허함과 허탈함이 남는다.      




<미적 감각사운드트랙까지>

이 영화는 내가 좋아하는 2000년대 초반의 하이틴 감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어서 보는 즐거움이 있다. <클루리스>, <퀸카로 살아남는 법>과 같은 톡톡 튀고 과감한 색들의 사용으로 변곡점을 주기도 하고, 카페나 인물들의 집 같은 인테리어들 또한 모든 프레임을 완벽하게 생각한 듯한 느낌을 준다. 사운드트랙 또한 그때의 감성을 담았다. <Toxic>, <It’s Raining Men>과 같이 반가운 음악들이 종종 나온다. 특히 <Toxic>은 장면과도 너무 잘 맞는 음악이라서 한동안 계속 귀에 맴돌 것 같다. 


     


<프라미싱 영 우먼>은 현실을 직시함으로서 받아드리게 되는 것들을 외면하지 않는다. 사랑하는 친구를 잃고 7년 동안 정신적 스트레스와 사람을 만나는 것을 두려워하게 된 캐시, 잔인하게 가해자들을 처벌하는 것보다는 실질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로 자신만의 복수를 계획하는 모습처럼 말이다. 오히려 악을 완전히 처단해 버린다는 그런 극적인 설정들보다 우리가 평소에 뉴스에서 접하던 사건을 재조명하여 보여주는 듯한 연출이어서 이 또한 관객들이 이 주제에 대해 더 무겁게 생각할 수 있게 한다. 이런 것들이 이 영화가 가진 힘이라는 생각이 든다. 예상치 못한 것들이 어쩌면 가장 현실에 와닿아 있다는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심판(Aus dem Nichts, 2017)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