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청사 Mar 27. 2022

말년이 좋은 사람들의 비밀

나의 황금기가 궁금해

셀프리딩 일곱 번째 스탭 ⑦근묘화실


대운이나 세운이 돋보기를 들고 특정 시기와 환경에 놓인 나의 모습을 들여다보는 일이라면 조금 더 멀리서 숲을 보는 방법도 있다. 한 사람의 일생 전체를 사주의 여덟 글자만 보고 해석하는 것을 근묘화실이라고 한다. 년주는 한 사람의 뿌리라고 해서 뿌리 근(根)을 쓰고 월주는 싹에 해당하는 새싹 묘(苗) 그리고 일주는 꽃에 해당하는 꽃 화(花) 마지막으로 시주는 열매를 뜻하는 열매 실(實)을 합친 단어다. 이를 사람의 초년, 청년, 장년, 말년의 순서로 해석하는 방법이다.


근묘화실이 년주부터 시주까지 특정 시기로 나눠서 해석할 수 있다고 해서 네 개의 주(사주)가 마치 분리된 것처럼 작용하지는 않는다. '년' 안에는 '월'이 있고, '월' 안에는 '일'이 있고, '일' 안에는 '시간'이 하위 단위로 존재하는 것처럼 사주의 각 주는 겹겹이 존재하는 레이어와 같은 개념이다. 그래서 단식[1]으로 여덟 글자 중 한 두 글자만 분리해서 볼 수는 없는 것이다. 근묘화실의 뿌리, 몸체, 꽃, 열매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식물인 것처럼 근묘화실로 사주를 통변[2]할 때도 반드시 전체 그림을 참고해야 한다.


근묘화실은 다음과 같이 년 ⇨ 월 ⇨ 일 ⇨ 시 방향으로 해석한다. 년주는 조상 운을 뜻하며 초년 운이다. 조상이라는 말이 와닿지 않는다면 내가 물려받은 유전자 같은 개념으로 생각해도 된다. 월주는 주로 부모 운을 나타내며 직업 운이기도 하다. 일주는 배우자 운과 장년 운의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시주는 자녀 운 또는 말년 운을 나타낸다. 그리고 각 자리에 해당하는 오행의 세력과 육친을 해석해 본다. 여태까지 배운 내용을 모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각 십간의 특징과 심리를 파악할 수 있다.


십신의 해석


이렇게 분석한 사주를 가지고 근묘화실을 보는 방법을 확인해보자. 우선 년주인 '을축'을 보면 편관과 비견이 위치해있다. 비견인 축토는 월주 미토와 축미충을 하면서 동시에 축미형의 관계이다. 사주의 전체를 봤을 때 일간을 제외하고 지지 3개가 비견이기 때문에 쏠려 있다고 볼 수 있다. 근묘화실로 보면 이 충이 있는 시기에 해당하는 초년에서 청년까지 어려움이 많다. 미토는 두 개이고 축토는 한 개라서 미토 지장간 속 '정을'은 축토 지장간 속 '계신'보다 세력이 강하니 축토의 피해가 더 크다. 이 축토가 상하면서 천간의 계수는 사막같은 땅 미토 위에 앉아서 수기(물)의 도움이 필요한데 가까운 위치의 습토인 축토는 충을 당해 상태가 좋지 않다. 초년과 청년에는 이 편재를 거의 쓸 수 없는 상태다. 


년과 월을 지나 일과 시의 영역으로 넘어와야 상관인 신금을 중심으로 수기를 공급하기 수월하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땅이 많은 기토의 심리는 이 땅을 채울 작물에 해당하는 을목으로 향한다. 넓은 땅을 채울 만큼 풀이 번성하려면 물이 잘 돌아야 하는데 이런 흐름이 원활해지는 시점이 시주에 있기 때문에 비교적 늦게 드러난다. 자신을 극해야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오행이 흐름이 안쪽(시주에서)에서 바깥쪽(년주 쪽)으로 천천히 드러난다. 그래서 처음은 고생이지만 말년으로 갈 수록 일간 입장이 원하는 그림이 그려지니 말년이 좋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근묘화실을 활용하면 삶의 어려운 시기나 편안한 시기를 유추해 볼 수 있다.


초년의 공부 운이란?


초년의 공부 운이 삶의 만족이나 성공을 좌우하진 않지만 일반적으로 70대에 공부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는 것보다는 학창 시절에 공부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 무난한 삶이다. 예를 들어 초년에 해당하는 년지에 인성이 반듯하게 자리잡고 있으면 공부에 소질이 있다. 학습은 책일 수도 있고 자기만의 특정 관심사일 수 있다. 사주 원국을 봐서 천간이 가지는 심리를 파악해야 하며 초년에 인성이 있다고 반드시 성적을 뜻하지는 않는다. 또한 인성은 어머니를 뜻하기도 하니 가정에서 교육열이 높았거나 학습하기 좋았던 어린 시절 환경으로 해석할 수도 있겠다.


셀프리딩 여덟 번째 스탭 형, 파, 해


만약 인성에 해당하는 한자가 손상되거나 흔들리는 등 문제가 있다면 공부의 성패를 떠나 그 시기에 공부를 하면서 어려움을 겪거나 성취감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런 문제가 되는 현상을 통틀어서 지지의 형충회합파해(刑沖會合破害)라고 한다.


◇[지지의 형충회합파해]


형충회합파해라고 하면 상당히 복잡한 것 같지만 이미 지지의 '충'과 '회'그리고 '합'에 해당하는 내용은 전 편에서 천간과 함께 설명했다. '회'는 방합을 말한다. 학생회 임원회 연합회 등에 쓰이는 모일 회(會) 한자를 쓴다. 그 외 나머지 현상들도 마저 알아보자. '형충회합'은 크게 나타나는 현상이고 '파'와 '해'는 비교적 마이너한 현상이다.


◇[삼형]


형(刑)이 가진 단어의 뜻은 별로 좋지는 않다. 형을 쓸 줄 알고 잘 풀어갈 수 있는 사람도 있으니 단식으로 판단하지 않도록 한다. 두 글자만 있어도 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운에서 나머지 한 글자가 들어오면 삼형이 된다. 형이란 비슷한 성질을 가진 글자가 만나면서 한쪽으로 치우치고 균형을 맞추지 못해서 생기는 문제들이다.


인신형(寅申刑) 

사신형(巳申刑)

인사형(寅巳刑)

축술형(丑戌刑)

술미형(戌未刑) 

축미형(丑未刑)


#인사신(寅巳申) 삼형(三刑)

형하는 글자가 세 개가 모이면 삼형살이라고 하여 그 작용도 크다고 본다. 인사신은 시세지형(恃勢之刑)이라 해서 자신의 세력을 믿고 권력을 휘두르거나 안하무인으로 행동하는 마음이 생기기 쉬운 상황을 말한다. 인목과 사화 신금 셋 다 이동성이 강한 한자이고 계절의 시작을 나타내는 생지(生支)[3]에 해당한다. 시작끼리 모이니 성질이 급하고 서투른 점이 나타나는 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인사신이 성립하면 매사 성급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축술미(丑戌未) 삼형(三刑)

축술미는 반대로 고지(庫支)[4]끼리가 만난 모습이다. 축술미는 은혜를 모른다고 해서 무은지형(無恩之刑)이다. 그래서 사람을 조심하라는 말을 많이 한다. 축술미의 조합은 셋 다 비슷하게 한 계절의 기운을 저장하고 있는 땅이 모이는 것이다. 서로 가진 것을 내놓기 싫어하고 꿍꿍이를 가지고 있는 조화롭지 않은 형상을 말한다. 독선이나 고집과 관련이 있고 불신이나 배신 등 사람 관계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자묘형(子卯刑)

자묘형은 비교적 약한 형살으로 무례지형(無禮之刑)이라고도 한다. 예의 없는 행동이나 도덕적인 어긋남과 관련되어 있다. 자수는 양력으로 12월에 해당하는 한 겨울의 찬 물이다. 연약한 화초가 찬 물로 얼어버리는 조화롭지 못한 상태를 말한다. 화기가 있으면 형의 작용이 덜할 수 있다. 자수와 묘목은 둘 다 왕지(旺支)[5]로 도화살에도 해당하여 치우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자형(自刑)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처럼 같은 한자가 만나 답답하게 구는 형상인데 영향력은 미약하다. 


◇[파]


파(破)는 글자가 파손된 것이다. 파의 종류는 총 6가지가 있다. 파의 모습은 깨어진 형태로 이미 끝난 상황을 말한다. 끝은 새로운 시작이기에 파는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내기도 한다. 운세를 볼 때 사주 원국 내의 흐름에 영향을 준다면 참고해 볼 수는 있으나 통변하기 다소 까다롭다. 


자유파(子酉破)

인해파(寅亥破)

사신파(巳申破)

오묘파(午卯破)

축진파(丑辰破)

술미파(戌未破)


◇[해]


해(害)
는 육합을 방해하는 조합을 말한다. 이는 꽤 복잡한 양면성을 띄는 관계인데 예를 들어 자수 입장에서 자수는 자축합을 하고 싶다. 자수가 만나고 싶은 축토를 방해하는 것은 미토이다. 그래서 자수와 미토는 해의 관계로 보는 것이다. 이 때 자수 입장에서는 자오충으로 자신을 충하는 오화와 미토가 오미합으로 친한 관계라는 특징도 갖게 된다. 작용이 복잡하기 때문에 각 원국에서 어떤 양상을 띄는지 관찰하는 것이 좋다.


자미해(子未害)

축오해(丑午害)

인사해(寅巳害)

묘진해(卯辰害)

신해해(申亥害)

유술해(酉戌害)





용어해설


[1] 단식으로 판단한다는 것은 사주팔자의 전체적인 흐름이나 오행의 생극제화를 고려하지 않는 것이다.

[2] 통변이란 사주 원국에 대한 의미를 읽어내고 말이 통하도록 인간사에 빗대어 말을 바꿔 전하는 것을 뜻한다.

[3] 생지(生支)에 해당하는 한자는 총 4개 인신사해(寅申巳亥)로 모두 각 계절이 시작하는 한 달을 말한다. 모두 양의 지지로 구성되어 있다.

[4] 고지(庫支)는 한 계절의 기운을 저장하고 다음 계절을 준비하는 지지를 말하며 진술축미(辰戌丑未)가 해당된다. 묻는다고 하여 묘지(墓支)라고도 한다.

[5] 왕지(旺支)는 생지에서 양이 가진 '생산과 확장'이 끝난 후 음으로 변환된 것을 말하며 자오묘유(子午卯酉)가 해당된다. 한 계절의 왕성한 기운을 뜻한다.



작가의 이전글 프롤로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