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제이제이 Jan 02. 2024

모의투자를 해보자.

두산테스나, 네패스


*매매연습을 위한 모의투자이므로 절대 실전에서 매수하지 마세요*


"연습은 실전처럼 실전은 연습처럼" 이란 말이 있다. 대학입학 수학능력평가 시험을 볼 때나 올림픽, 월드컵 같은 중요한 스포츠 경기에 출전을 할 때 종종 이런 표현들을 쓴다. 주식투자도 이런 마음으로 모의투자를 해보면 어떨까 싶다. 물론 실제로 큰 금액의 투자금이 들어가면 마음이 흔들릴 수도 있지만 소액이든 거액이든 매매원칙을 지키며 연습하는 것이 모의투자의 목적이라고 생각한다. 종목은 "두산테스나"와 "네패스"다. 주식십계명의 공식에 대입을 해보자.


1. 장세파악- 좋은 편(글로벌 주식시장, 한국주식시장)

2. 시황파악- 좋은 편(신년초 1월 효과)

3. 업황파악- 좋은 편(반도체, AI, 로봇)

4. 종목선정- 좋은 편(반도체)

5. 기업분석- 좋은 편

6. 차트분석- 좋은 편

7. 분할매수- 2번에 나누어서 분할 매수, 투자금이 적으면 한 번에 매수도 가능

8. 장기투자- 최소 1개월에서 6개월 이상, 만약 1개월 이내 시세가 분출하면 시세차를 이용하여 매도할 수도 있음. 투자가 아닌 시세차를 이용한 트레이딩. 상황에 따라 매수 후에 1-3주 안에 매도하는 매매방법.

9. 현금보유- 투자금은 100-200만 원으로 가정.

10. 여유돈으로 매수하라. 전문가의 말은 반만 믿어라.- 복기 매매할 것, 상황이 안 좋으면 빠른 손절매.



 (2023년 12월 29일 매수가 58,600원 가정)


 (2023년 12월 29일 매수가 19,670원 가정)



*이 종목을 매수를 한 이유

첫 번째 종목 "두산테스나"는 위 10가지 항목에 모두 부합이 되는 조건이어서 매수를 했다. 두 번째 종목 네패스는 현재는 매출과 실적이 좋은 편이 아니지만 반도체 사이클이 불황에서 호황으로 전하는 시기이므로 매수를 해본다. 주가는 경기에 6개월 선반영 된다는 것이 정설이므로 지금 투자를 해도 나쁘지 않다고 판단했다.


네패스는 삼성전자의 협력업체이므로 최근 삼성전자의 주가의 흐름이 좋으므로 파트너 업체들의 주가 또한 긍정적으로 미칠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 오랫동안 이 종목의 주가 흐름을 지켜본 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매수를 했다. 주식시장에는 1월 효과라는 말이 있는데 1월에는 시장이 대부분 상승한다는 것도 매수의 이유이기도 하다.(통계적으로)



*비중조절과 손절매, 매도

1. 비중조절

내가 보유하고 있는 현금이 얼마인가에 따라 투자금이 달라진다. 1억이 있다면 10%인 1천만 원을 투자해도 되고 백만 원이 있다면 100%인 백만 원 모두를 투자해도 괜찮다고 본다. 전재산 백만 원을 모두 투자한다는 것은 위험하지 않은가? 생각을 할 수도 있지만 금액이 너무 적으면 분산투자의 의미가 없으로 괜찮다고 본다.


물론 이경우도 사람마다 생각마다 다를 수 있다. 백만 원이 내게 너무도 큰돈이라면 10%인 10만 원만 투자를 해도 상관없다. 그리고 십만 원의 10%를 수익을 내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중에 매매에 대한 확신이 생기고 종잣돈이 많이 모아지면 더 과감하게 투자를 해도 된다. 본인의 투자성향에 맞게 투자하는 것이 맞다. 투자에는 정답이 없다. 나만의 투자법을 하나씩 만들어 가는 것이다.


2. 손절매(손실확정매도)

손절매라는 것은 주가가 생각했던 상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하락을 할 경우인데 손절매의 기준 또한 너무도 복잡다단한 경우들이 많다. 오르지 않는 이유를 분석하고 심사숙고해서 손절해야 한다. 손실을 보고 파는 것을 아까와하면 안 된다. 천하의 워런버핏도 손절매를 한다.


3. 매도(수익확정매도)

주가가 오른다면 언제까지 보유를 하고 언제 수익을 확정해야 할 것인가? 매수는 기술이고 매도는 예술이라는 말이 있다. 매도 역시 많은 변수들로 인해 매도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 한 가지 기준으로 매도를 하기보다 여러 가지 상황들을 고려하면서 매도해야 하므로 그때그때의 상황을 봐가며 매도해야 한다.


매도의 기준도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 수익을 조금 내고 팔고 내가 만족하면 그때가 매도의 적기이다. 무리하게 보유하지 말라. 다른 사람들의 말을 들으면서 불안한 것보다 적은 수익이라도 본인이 팔고 싶으면 매도를 하는 것이 맞다. 매도에도 자기만의 기준과 확신이 있어야 한다. 확신을 위해서는 많은 공부와 경험이 필요하다. 주식시장에서는 "아는 만큼 먹는다"라는 말이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사랑하는 딸, 아들에게 part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