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 아버지가 짚신 세대였다면 나와 친구들은 고무신 세대였고 아들은 세계적인 브랜드 신발 세대다.
나는 새 고무신을 신고 싶어서 칼로 흠집 내 일부러 찢어지게 만들어 울 어머니한테 죽게 맞은 기억이 있다.
울 아버지 부안 장에 가실 때 내 발 사이즈 잰다고 보릿대 잘라서 재본다.
터덜거리는 비포장도로 달려서 부안 장에 도착해 보면 이미 보릿대는 호주머니 속에서 부러지고 휘어지고…… 신발 가게 들어선 울 아버지, 대충 “십 문 칠 주세요~”. 새 신 사 왔다고 신어 보면 맞을 리 없다. 손가락 하나가 들락 날락……
신발 앞 코를 눌러보고 “발은 금방 크니 대충 신어라” 한다. 갱열이는 바꾸려면 또 다음 장날 때까지 지달려야 하니 그냥 “아부지~ 기워 떨어진 양말 신고 신으면 대충 맞아요” 하면서 머리맡에 두고 잠을 잔다. 생고무 냄새마저 상큼했지만, 다음날부터는 헐컹대는 고무신을 질질 끌고 다녀야만 했다.
고무신도 두 가지였다. 나는 검정보다 흰 고무신이 너무 갖고 싶었다. 흰 고무신은 때가 쉽게 타고 검정 고무신보다 질기지 않아서 어른들만 신고 다녔다.
문수만 틀리지 일률적으로 검은색이라 친구 집에 놀러 갔다가 돌아오면 늘상 남의 신발이다.
하얗게 반짝반짝하는 흰 고무신 신고 다니는 정달원이가 얼마나 부럽던지. 그리고 운동화 신고 다니는 전병갑이는 부러움에 대상이다. “아~ 얼마나 부자였으면…”
검정 고무신이 얼마나 질기냐 하면, 입으로 물어뜯어도 금방 제자리로 돌아온다.
새 신을 신고 싶으면 여하튼 열심히 뛰어다녀 자연마모가 되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대항리에서 지서리까지는 5㎞, 십 리가 넘는 거리였다. 나는 그 질긴 검정 고무신을 신고 딱 3번만 결석했고 졸업식 때 6년 정근상 상품으로 국어 대사전을 탔다.
요즘 스마트폰처럼 신발 인기가 고무신에서 운동화로 넘어갈 때였다.
운동화 한 켤레 얻어 신는 것이 그 당시 아마 갱열이 평생 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매번 울 아버지 그러신다. “지금 신고 있는 신발 떨어진 다음에 운동화 사줄게”
그래서, 또 시멘트 담벼락에 박박 문지른다.
지금 같으면 아스팔트에 질질 끌고 댕기면 금방 떨어지는데 그 당시는 지서리에서 대항리까지 전부 흙과 자갈 길뿐이라 문지를 곳은 해수욕장 집과 복지호텔 올라가는 시멘트 층층 계단이 전부다. 당시 복지호텔에서 사는 장옥희는 운동화를 신고 다녔다. 옥희는 층층 계단에서 신발을 문지르고 있는 나를 이해 못 하고 “왜 신발한테 화풀이하냐”라고 한다. 그 당시 얼매나 창피했던지
얼핏 봐선 표시가 잘 안 나지만 고무신도 제 짝이 있다. 하지만 우리 집 신발은 제대로 짝이 맞는 게 없었다. 말캉 밑을 잘 찾아보면 맞는 것도 있었겠지만 말이다.
신발을 벗어야 하는 잔칫집이나, 여럿이 모이는 곳에 한번 갔다 오면 남의 신발은 그렇다 치고 여하튼 짝을 맞춰 오는 적이 드물다.
우리 집에서 기르는 똥개 이름은 무조건 ‘메리’였다. 그 메리는 얼마나 영리했던지 동네 사랑방에서 신발을 바꿔오면 잽싸게 아버지 신발을 물어왔다. 또 추운 겨울 사랑방에 놓인 신발 중 메리가 깔고 앉아 뜨뜻해진 것은 울 아버지 것이었다.
또 학교에서 놀이 중 최고 인기 종목이 모래밭에서 신발을 뒤집어 자동차 놀이하는 것이고 신발 높이 차올리는 것이었다. 땄다, 뺏기기를 몇 번 하다 보면 짝 맞춰서 집에 돌아간 적이 거의 없다.
참외 서리하다 들키면 무조건 신발 벗어 손에 들고 튀어야 한다.
땀에 잘 미끄러져서 뛰기도 힘들 뿐 아니라, 뛰다가 그냥 확~ 벗겨져 버리면 환장을 한다.
그거 주으러 돌아갔다간 바로 그냥 멱살 잡히니 신발 하나 버릴 것 각오한다.
그때 고무신 중에 인기 있었던 상표가 타이아표 진짜 고무신이다.
왕자표, 범표도 있었고 기차표 고무신도 있었는데 대항리 우리 집은 전부 타이아표였다.
여자 타이아표 검정고무신은 가운데에 타이어가 아닌 꽃이 그려졌던 것으로 기억한다.
엿장수조차 검정 고무신은 안 받고 흰 고무신만 받았다.
얼마나 엿이 먹고 싶었는지 대항리 외갓집에 가서 할아버지가 팽나무 밑에서 주무시고 있던 사이 흰 고무신과 엿을 바꿔 먹어 할아버지와 엿장수 간 다퉜던 적도 있다.
나는 친구들과 싸울 때 고무신을 요긴하게 사용한다.
힘이 좀 부치면 고무신을 뻗어 따귀를 한 대 갈기면 여지없이 이긴다. 그러면 영배 볼 테기에 (약간 뻥을 섞으면) 타이아 고무신 상표가 찍힌다.
옹기골 사는 영배나 운산리 사는 행노, 나한테 검정 고무신으로 많이 맞았을 것이다. 지금이야 내가 영배나 행노보다 작지만, 그 당시는 결코, 작지 않았다.
해수욕장에서 자미동 들어가기 전 개울은 신발이 떠내려갈 정도로 물살이 셌다. 맨발로 건널 정도였지만, 거기에는 물고기가 많이 살았다.
개울을 진흙으로 막고 검정 고무신 두 개를 맞대고 물을 품기 시작해서 한 시간 정도 품어 재끼면 붕어와 미꾸라지가 득실득실 나온다.
하굣길에 들러 빈 밴또(도시락)에 이빠이(가득) 담아가면 어머니는 묵은 김치에 붕어 몇 마리 집어넣고 푹 끓여 저녁을 내놓으신다. 비록 보리밥이지만 배 터지게 채웠다.
“새 신발 신고 뛰어보자 폴짝, 머리가 하늘까지 닿겠네”, 작은 일 하나에도 한없이 기뻐하는 ‘경열이’는 2021년은 흰 고무신(백신)이 아니라 ‘코로나 19 백신’이 개발되는 해가 되길 기도한다.
부안군민 여러분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최경열 / 변산출생
글쓴이 최경열은 60년생으로 변산이 고향이다. 변산초등학교(36회), 변산서중(4회), 부안고등학교(10회)를 졸업하고 해양과학대학 등을 거쳐 현재는 선박 제조, 감독 일을 하고 있다.
젊은 시절 선박기관사로 유럽, 미주, 동남아 등 세계 5대 양 6대 주를 누볐다. 글쓰기와 독서가 취미로서 동창회 모임 카페 등에 ‘갱열이’라는 이름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문단에 정식 등단하거나 책을 내지는 않았지만 구수한 사투리와 추억이 담긴 이야기를 재치 있게 풀어쓰면서 인기를 얻고 있다. 지금은 울산에 살지만 부안이 고향인 보통사람, 변산 개구쟁이 최경열의 그때 그 시절을 18부 연재한다.
편집자 말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부안독립신문(https://www.ibu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