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준호 Mar 16. 2021

차이콥스키 연표

1840-1893

신간의 본문에 빠진 내용을 보충하고 세계사와 당대 풍경, 특히 철도의 발달 사항에 대해 정리를 했습니다. 


1840 5월 7일, 우랄산맥 가까이 봇킨스크에서 광산 책임자 일리야 페트로비치 차이콥스키와 알렉산드라 안드레예브나 차이콥스키야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다.     

1842 1월 9일, 여동생 알렉산드라가 태어나다. 글린카의 <루슬란과 류드밀라>가 초연되다. 영국 윈저궁과 패딩턴 사이에 첫 열차가 개통하다.     

1844 11월 프랑스 가정교사 파니 뒤르바흐가 입주하다. 림스키코르사코프와 일리야 레핀이 태어나다.

1845 마리야 팔치코바에게 피아노를 배우다. 여덟 살 무렵 차이콥스키는 그녀에게 더 배울 것이 없었다.     

1848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가족이 이사하다.

1849 우랄 지역 알라파옙스키로 돌아오다.

1850 쌍둥이 동생 아나톨리와 모데스트가 태어나다. 가족과 홀로 떨어져 상트페테르부르크 법률학교에 입학하다. 평생 깊은 인상으로 남을 글린카의 <차르에게 바친 목숨>을 관람하다.     

1853 알프스 관통 철도가 개설되다.

1854 어머니를 콜레라로 잃다.

1855 철재 기선이 대서양을 횡단하다.     

1857 벨칸토 오페라를 숭배하던 중 <돈 조반니>를 보고 모차르트에 빠져들다. 글린카가 사망하다.     

1859 법률학교를 졸업하고 법무부 공무원이 되다.

1860 여동생 알렉산드라가 레프 다비도프와 결혼해 우크라이나 카멘카로 내려가다. 그 뒤로 카멘카는 차이콥스키에게 소중한 안식처가 된다.

1861 동성애로 구설에 오르다. 첫 해외여행을 파리까지 다녀오다. 차르 알렉산드르 2세가 농노를 해방하다.

1862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 입학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바르샤바 사이에 철도가 개통되다.     

1864 선배 작곡가 알렉산드르 세로프와 교우하며, 초기작을 발표하다. 바이에른의 루트비히 2세가 즉위하다. 차이콥스키는 바그너를 후원하던 미남왕에게 깊은 연민을 갖는다.     

1866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떠나, 새로 문을 연 러시아 음악원 모스크바 지부에서 가르치기 시작하다. 남동철도가 개통되다.

1867 모스크바에서 베를리오즈를 만나다.

1868 교향곡 1번을 초연하다. 첫 오페라 <보예보다>를 완성하다. 블라디미르 실롭스키와 베를린과 파리를 여행하다. 데지레 아르토와 오가던 혼담이 깨지다.

1869 발라키레프의 권유로 환상 서곡 <로미오와 줄리엣>을 쓰다.

1870 보불전쟁에서 프랑스가 패하다. 슐리만이 트로이를 발굴하다.

1871 동생 알렉산드라의 아들 블라디미르 다비도프가 태어나다. 독일 제국이 선포되고, 다윈이 『인간의 계보』를 쓰다.

1872 비제가 <아를의 여인>을, 니체는 『비극의 탄생』을 쓰다.

1873 교향곡 2번과, 스타소프의 제안으로 쓴 <템페스트>를 초연하다.

1874 우크라이나 니지와 우소보에 머물며 오페라 <대장장이 바쿨라>를 쓰다.

1875 니콜라이 루빈시테인이 혹평한 피아노 협주곡 1번을 한스 폰 뷜로가 초연하다. 교향곡 3번을 초연하다.

1876 파리에서 비제의 <카르멘>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다. <백조의 호수>를 완성했지만, 들리브의 <실비아>가 더 나은 작품이라고 자평하다. 바그너의 <니벨룽의 반지> 초연을 보고 감상을 기고하다. 모데스트의 동성애 성향이 자신의 영향이라 생각하고 결혼을 결심한다. <대장장이 바쿨라>를 초연하다. 톨스토이와 만나다. 폰 메크 부인에게 첫 편지를 받다. 이해 말에 모스크바 음악원이 개최한 음악회에 레프 톨스토이가 참석했다. 현악 사중주 1번의 ‘안단테 칸타빌레’를 듣고 눈물을 흘렸다는 감상적인 이야기는 차이콥스키의 음악에 대한 최대의 찬사로 전한다. 그러나 당시 48세의 톨스토이는 『전쟁과 평화』를 완성했지만, 아직 『안나 카레니나』, 『부활』, 『이반 일리치의 죽음』, 『크로이처 소나타』 ,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등을 완성하기 전이었다. 음악회 뒤 톨스토이와 만난 차이콥스키는 그가 모차르트는 좋아하면서 베토벤은 혐오하는 것을 보고 당황했다. 톨스토이의 음악 이해 수준은 60년 전 요한 볼프강 괴테보다 결코 높지 못했다.

1877 바이올리니스트 요시프 코테크와 깊이 사귀다.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를 초연하다. 안토니나 밀류코바의 편지를 받고 그녀와 결혼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짧은 신혼생활 뒤 홀로 카멘카로 떠나면서 파경을 맞다. 폰 메크 부인이 연금을 약속하다. <로코코 주제에 붙인 변주곡>을 초연하다. 브람스가 전해 첫 교향곡에 이어 두 번째 교향곡을 발표하다.

1878 교향곡 4번과 <예브게니 오네긴>을 완성하다. 스위스를 여행하며 <바이올린 협주곡>을 구상하다. 교향곡 4번에 더해 <소중한 곳을 추억하며>와 모음곡 1번을 폰 메크 부인에게 헌정하다.

1879 모스크바에서 <예브게니 오네긴>을, 키예프에서 <성 요한 크리소스톰을 위한 전례>를 초연하다. 폰 메크 부인과 우연히 스치다. 오페라 <오를레앙의 처녀>를 완성하다.

1880 아버지가 사망하다. 하인 알료샤 소프로노프가 징집되다. <1812년 서곡>을 완성하고, <이탈리아 기상곡>을 초연하다. 모스크바 서커스가 개장하다. 도스토옙스키가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을 완성하다.

1881 <오를레앙의 처녀>를 초연하다. 차르 알렉산드르 2세가 암살되다. 니콜라이 루빈시테인이 파리에서 급서하다. 무소륵스키와 도스토옙스키가 사망하다. <현을 위한 세레나데>와 피아노 협주곡 2번, 바이올린 협주곡을 초연하다. 오펜바흐가 <호프만의 이야기>를 쓰다.

1882 바그너가 <파르지팔>을 완성하다. <철야기도>와 <1812년 서곡>, 피아노 트리오 ‘위대한 예술가(니콜라이 루빈스타인)를 추모하며’를 초연하다.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은 1812년 나폴레옹의 침공을 막아낸 것을 기념해 지었는데 완공이 지연되었다. 차이콥스키의 <1812년 서곡>은 건축 중인 건물 옆 천막에서 먼저 초연되었고, 대성당은 이듬해 완공되었다. 스탈린이 파괴한 대성당은 2000년에 새롭게 지금의 모습으로 재건되었다.

1883 차르 알렉산드르 3세의 대관식을 위한 <모스크바 칸타타>를 초연하다. 차이콥스키의 조카 안나 다비도바와 폰 메크 부인의 아들 니콜라이가 결혼하다. 바그너가 베네치아에서 죽다. 브람스가 세 번째 교향곡을 발표하다.

1884 오페라 <마제파>를 초연하다. 스위스 다보스에 요양 중인 요시프 코테크를 문병하다. 조선과 러시아가 수호통상 조약을 맺다.

1885 모음곡 3번을 초연하다. <대장장이 바쿨라>를 <체레비츠키>로 개작하다. 

1886 발라키레프의 권유로 쓴 <만프레트 교향곡>을 초연하다. 동생 아나톨리의 임지 트빌리시에서 <로미오와 줄리엣>의 수정판을 초연하다. 파리에서 포레, 들리브, 랄로와 교재하다.

1887 1월에 <체레비츠키>, 11월에 <차로데이카>를 초연하다. 모음곡 4번 ‘모차르티아나’를 완성하다. 보로딘이 죽다. 베르디가 <오텔로>를 쓰다. 에밀 베를리너가 원통형 레코드의 특허를 받다.

1888 차르의 종신 연금을 받게 되다. 차르가 보르키에서 열차 폭발 테러를 당하다. 프롤롭스코예로 이사하다. 젊은 구스타프 말러를 만나다. 교향곡 5번을 초연하다. 프라하에서 교향곡 5번과 <예브게니 오네긴>을 초연하다. 림스키코르사코프가 <셰헤라자데>를, 말러가 첫 교향곡을 발표하다.

1889 독일과 영국, 프랑스로 이어지는 유럽 연주 여행을 다니다. <잠자는 숲속의 미녀>를 완성하다.

1890 <잠자는 숲속의 미녀>를 초연하다. <피렌체의 추억>과 <스페이드의 여왕>을 초연하다. 림스키코르사코프가 보로딘의 <이고르 공>을 완성하다.

1891 극 부수음악 <햄릿>을 초연하다. 여동생 알렉산드라를 잃다. 미국 순회 연주를 가다. 

1892 함부르크에서 말러의 지휘로 <예브게니 오네긴>을 듣다. 마이다노보에서 클린의 마지막 집으로 이사하다. <욜란타>와 <호두까기 인형>을 초연하다. 가정교사 파니 뒤르바흐와 조우하다.

1893 베르디가 마지막 오페라 <팔스타프>를 완성하고, 드보르자크는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를 초연하다. 니콜라이 쿠즈네초프가 차이콥스키 초상화를 그리다.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생상스, 브루흐, 그리그와 함께 명예박사학위를 받다. 4중창곡 <밤>을 초연하다. 10월 28일 <비창 교향곡>을 지휘하다. 11월 1일 친구들과 식사하다. 11월 2일 복통을 일으키고 콜레라 진단을 받다. 11월 6일 새벽 3시 사망하다. 11월 8일 러시아 전역에서 장례 미사가 열리다. 11월 9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카잔 성당에서 장례식이 열리고, 알렉산드르 넵스키 수도원 티흐빈 묘지에 안장되다.

매거진의 이전글 차이콥스키 키워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