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준호 Jun 12. 2024

백지상태

2024년 6월의 음반 리뷰

CCS46624 바흐와 페르트의 바이올린 작품집

페르트는 복잡 다난한 20세기를 벗어나 ‘백지상태’(타불라 라사)에서 순수한 음향을 찾고자 노력했다. 1966년 작 <B-A-C-H에 대한 콜라주>는 당시 금기시 되었던 조성음악과 기존 악상의 인용을 통해 포스트모던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이후 페르트는 투명하고 반복적인 종소리(틴티나불리) 위에 소박한 선율을 얹는 작업 끝에 바흐의 대위법과 같은 양식을 완성했고 대표작이 두 대의 바이올린과 현악 앙상블, 피아노를 위한 1977년 작 <타불라 라사>이다. 스트라드(람스마의 바흐)의 화사함과 과르네리 델 제수(톰슨의 페르트)의 어두운 음색이 주는 대비가 이 음반의 또 다른 매력이다.

연주: 시모네 람스마 (바이올린), 칸디다 톰슨 (바이올린, 지휘), 암스테르담 신포니에타


ALPHA1032 바흐 & 텔레만: 승천 칸타타 

바흐는 텔레만이 사양한 라이프치히 성 토마스 교회 음악감독 자리에 그라우프너 다음 순위로 겨우  지명되었다. 그런 바흐가 승천절을 위해 쓴 칸타타는 네 개 남은 반면 텔레만의 곡은 서른 개가 넘는다. ‘빛의 소리’ 합창단을 이끄는 리오넬 뫼니에는 두 친구의 곡 가운데 호른을 두 대 쓴 화려하고 규모가 큰 세 곡을 골랐다. 1738년 <승천절 오라토리오>(<결혼 칸타타> 및 <B단조 미사>와 아리아를 공유)와 라이프치히 2년 차인 1725년 작 BWV 128 모두 승리의 환성이 가득한 피날레로 끝맺으며, 텔레만이 함부르크로 가기 전 프랑크푸르트에서 쓴 칸타타도 죽음을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으로 동경한다.

연주: 복스 루미니스 합창단, 프라이부르크 바로크 오케스트라, 리오넬 뫼니에 (지휘)


ALPHA1033 바버라 해니건 - 메시앙

해니건은 2015년 샤마유의 라벨 피아노 협주곡 연주를 처음 듣고, 최면적인 레가토에 감탄했다. 알파 대표가 마련한 소개 자리에서 두 사람은 언젠가 메시앙을 함께 연주하기로 의기투합했다. 2017년 멘토이자 친구인 라인베르트 데 레이우가 세상을 떠나고 2년 뒤에 해니건은 샤마유와 다시 만 레이우 집에서 리허설을 시작했다. <미를 위한 시>는 메시앙의 뮤즈이자 사별한 첫 아내 클레르 델보스에게 헌정한 곡이며, <땅과 하늘의 노래>는 두 사람의 아들 파스칼을 위한 곡이다. 해니건과 샤마유는 각각 테너 샤를 시와 바이올리니스트 빌데 프랑을 초대해 <숫자의 죽음>을  더했다. 

연주: 바버라 해니건 (소프라노), 베르트랑 샤마유 (피아노), 빌데 프랑 (바이올린), 샤를 시 (테너)


BZ2004 마스네: 오케스트라 반주 가곡집

프랑스 제약사를 창업한 브뤼 가문은 회사 매각 뒤 베네치아의 팔라체토 차네를 구입해 프랑스 낭만주의 음악 연구소를 열었다. 브뤼 차네 재단 설립 목적에 가장 부합할 앨범이 이 <마스네 오케스트라 가곡집>이다. 25 트랙 가운데 21곡이 처음 녹음되었을 만큼 철저히 잊혔던 마스네의 스케치북이 빛을 보았다. 선구적인 베를리오즈의 <여름밤>과 달리 연작도 아니고 길이가 짧은 데다가 프로그램이 없다는 것이 이 곡들이 출판조차 못 된 부당한 이유였다. 다섯 성악가는 상상할 수 있는 최상의 프랑스 앙상블이며, 에르베 니케는 각각의 존재감을 임계점 이상으로 끌어낸다.

연주: 니콜 카; 조디 데보스 (소프라노), 시릴 뒤부아 (테너), 베로니크 장 (메조소프라노), 에티엔 뒤퓌 (바리톤), 파리 체임버 오케스트라, 에르베 니케 (지휘)

그라모폰 에디터스 초이스, 디아파종 도르, 쇼크 드 클라시카

마스네를 위한 드림팀


BZ1053 마스네: 오페라 <아리안> (하드커버 BOOK+ 전곡 3CD)

차이콥스키 또래이면서, 드뷔시보다 오래 산 마스네, <마농>과 <베르테르>, <타이스> 정도만 알려졌던 그가 바그너의 무한선율을 프랑스 서정주의와 결합한 후기 오페라로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2007년 마스네 축제에서 <아리안>을 부활시킨 로랑 캉펠론이 십수 년만에 전곡반을 완성했다. 카튈 망데스의 대본은 몬테베르디 이래 이 신화에 주목한 많은 이들과는 다른 관점이다. 아리안은 미노타우로스를 죽인 영웅 테세우스를 놓고 동생 페드르와 경쟁관계. 결국 테세우스가 페드르를 선택하자 낙소스섬에 버려진 아리안은 사이렌의 유혹에 끌려 바다로 몸을 던진다. 

연주: 아미나 에드리스 (소프라노), 케이트 올드리치 (페드르), 뮌헨 라디오 오케스트라, 로랑 캉펠론 (지휘) 

클라시카 올해의 음반, ICMA 수상, 디아파종 데쿠베르트 


                    



매거진의 이전글 고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