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을 보다가 뒤를 보다가 하는 버스 정류장
간혹 버스 정류장을 보면 승차대가 도로 방향이 아닌 인도 방향으로 설치된 곳이 있다. 평소 자주 마주하는 방향과 달라 뭔가 굉장히 어색하게 느껴진다. 심지어 제대로 설치가 된 건지 의문이 들기도 한다. 그래서 버스 정류장의 승차대 설치 기준에 대해 살짝 알아보았다.
정류소를 설계할 때에는 보행여건이 가장 중요하다. 주변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승차대를 설치하면 보행자와 이용승객 및 대기승객 간에 혼란이 발생해 누구든 불편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최소 1.5m 이상의 보행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정류소 승차대'를 설치한다.
정류소? 정류장? 승강장? 승차대? 정말 헷갈린다. 승하차 시 도로(본선) 외측 차로만을 이용하면 정류소, 도로(본선)에서 분리된 별도 공간이 있으면 정류장이라 한다. 승강장은 말 그대로 승하차를 하기 위한 대기장소이고, 승차대는 차양막, 표지판, 버스 정보 안내 단말기, 의자 등의 시설물을 말한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버스 승차대는 '보도 중간형 승차대'이다. 버스를 이용하려는 승객뿐만 아니라 버스 정류장을 지나는 보행자에게도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한 설치 방법이다. 그렇다 보니 정류소 면적이 넓어야 한다.
승차대의 형태는 광고판이 있는 'ㄱ' 형태 또는 광고판이 없는 '일자형' 중에 선택 설치 가능하다. 그리고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별도의 표지판은 설치하지 않는다.
'역상형 승차대'는 보도방향으로 승차대를 설치해 승하차를 위한 별도 공간의 확보, 대기승객의 안전 확보가 목적이다. 버스 정차 및 교통 약자의 정류소 이용 편의를 위해 별도의 표지판을 포함한 '일자형' 승차대가 설치된다.
'보도 후퇴형 승차대'는 아파트 주변, 학교 주변 등 담장이 있는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승차대 후면에 옹벽, 담장, 화단 등을 등지고 건물에서의 승객 접근이 없는 좁은 보도에 설치된다.
정류소 설계지침은 각 지차체마다 상이할 수 있다. 보통은 의자, 조명시설 등을 포함한 승하차 및 대기 승객의 편의와 안전을 우선 고려한다. 그리고 버스 운행 횟수, 승하차 인원(대기인원 포함)을 고려하여 승차대의 규모를 결정한다. 여기에 장애인 편의를 위한 점자 보도블록, 시각장애인 유도 음성기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또한 승객의 편의를 위해 '버스 도착 안내 정보 단말' 즉, 버스 알림 전광판이 일체형으로 설치되기도 한다.
2015년에 열린 '재미로 놀자' 축제 일정에 맞춰 만화의 거리 '재미로' 시작 지점인 '명동입구역'에 2015년 10월에 설치된 '꼬마버스 타요' 버스 승차대. 현재까지도 운영 중이다.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의 경우에는 다양한 버스 정류장 디자인을 경험할 수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해 관광하는 내국인, 외국인은 대중교통 환경, 편의 시설, 정류소 및 승차대, 안전운행 등으로 도시를 평가하고 기억하기 때문이다.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의 경우에는 투명한 2개의 유리 사이에 LED가 내장돼 있어 야간에는 불빛이 빛나는 영상 스크린(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구현 가능)으로 변한다. 현대카드가 전체적인 디자인을 맡아 작업을 진행했다. 그래서 승차대 상단에 보면 'Designed by HyundaiCard'라는 문구가 표시돼 있다.
Posted by 카룻
광고 및 제휴 문의는 '브런치 제안하기'로 문의하세요.
함께 보면 유익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