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카루 Aug 16. 2022

글쓰기를 배우는 선수와 가르치는 코치의 차이

 손흥민은 현재 세계에서 주목받는, 명실상부 최고의 축구 선수다. 그의 실력에 대해서야 말해 무엇하랴. 그렇다면 손흥민 선수는 훗날 최고의 코치, 혹은 감독이 될 수 있을까? 자, 이 부분은 물음표다. 그럴 실력이 없다고 단정 짓는 것이 아니다. 단지 아직은 모를 일이라는 거다. 현직 모든 감독과 코치들이 현역에서 최고였던 건 아니니까.


내가 잘하는 것과, 남이 잘하게끔 만드는(돕는) 일은 별개의 재능이다.


 글쓰기도 그렇다. 본인이 글을 잘 쓰는 것과, 남들도 글을 잘 쓰게 만드는 건 별개의 재능에 속한다. 이렇다 할 커리큘럼이나 솔루션도 없이 현직 작가네, 전직 기자 출신 입네 하며 글쓰기를 가르치는 강사들이 많다. 물론 본인들은 글을 잘 쓴다. 글밥 먹고 살 정도니 당연하다. 그런데, 가르쳐본 경험이 아직은 많지 않고, 또 애초에 '글쓰기에 왕도는 없다'라고 여기니 대부분 그저 많이 읽고, 많이 써보라는 식의 조언에서 못 벗어난다.

 많이 읽고, 많이 써봐야 글이 느는 건 사실이다. 다만, 글쓰기에 대한 무의식적 긴장을 다 내려놓고 난 다음에.


 애초에 사람들이 글쓰기를 왜 어려워하는지부터 살펴야 한다. 글을 왜 배우고 싶어 하는지, 그 목적도 시작부터 다잡아줘야 한다. '왜(why)'에서부터 막히는데 어떻게 선수(수강생)의 실력이 늘겠나. 그러니 만날 제자리고, 수강생들은 본인의 재능 없음을 탓하며 영원히 글과 멀어지고 만다. 안타까운 일이다.


나는 진짜 열심히 해봤는데도 안 되더라.


 이런 경험을 가진 분을 다시 글쓰기에 끌어들이기란 매우 어렵다. 해봤으니까. 열심히 해도 안 되니까. 이들이 훈련 방법에 문제가 있었음을 깨닫기는 어렵다.

 글? 재능 없어도 잘 쓸 수 있다. 왜 안 된다고 생각하나. 글은 재능이 없어도 얼마든지 빚어낼 수 있다. 혹시 내가 시도했던 방법에 문제가 있진 않았을까 생각해 볼 일이다.

 2002년 한국은 사상 초유, 월드컵 4강이라는 신화를 이뤄냈다. 히딩크 감독의 역할이 컸음을 누구도 부정하지 못할 것이다. 이렇듯 선수들의 역량은 감독하기에 달려 있다.

 그리고 이 점도 기억했으면 좋겠다. 히딩크가 박지성보다 발이 빨라서 감독이 된 건 아님을.

매거진의 이전글 4차산업혁명시대의 글쓰기 전략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