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민환 Sep 18. 2020

20개의 장점

장점을 키우면 특별한 사람이 되고, 단점을 없애면 평범한 사람이 된다

아이가 울상이 되어 앉아 있어 물어보니, 할 일을 다 못해서 원하는 것(게임)을 할 수 없어서란다.

엄마와 그러기로 약속을 한 것이다.

무엇을 못했냐고 물어보니, 학교 과제 중에 '본인의 장점 20개 적기'를 못했다는 것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15개 이상은 생각이 안 난다고 한다.


나는 평소에 아이에 대해 생각하고 있던 장점 몇 가지를 알려주고, 본인이 장점인지 아닌지 잘 모르겠다며 이야기하는 것들도 몇 개 장점이 될 수 있다고 이야기해줬다.

아빠의 도움으로 과제는 의외로 빨리 마칠 수 있었고, 아이는 원하는 게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불현듯 '내 장점을 20개까지 쓸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면서 오래전 기억이 떠올랐다.




내가 고등학교 때, 서울시에 있는 각 학교  반장들만 모아서 진행한 수련회가 있었는데, 그때 운 좋게도 마침 반장을 하고 있어서 참여하게 되었다.(서울시나 교육청 같은 곳에서 주관했던 것으로 기억된다.)


여러 학교 학생들을 섞어서 몇 명씩 조를 편성한 다음, 때로는 전체 학생들이 강당이나 야외에서, 또는 각 조별로 숙소에 모여서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을 진행했다. 일종의 리더십 교육이었던 것 같다.

국악기도 배우고, 수련원 뒷산에서 2명씩 짝을 지어 번갈아가며 시각장애와 언어장애 체험도 하고, 심리테스트, 여러 가지 인성교육 등을 받았다.

그중 기억에 남는 것 중 하나가 수련 기간 초기에 같은 조원들에게 자기소개와 함께 본인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이었다.


어느 날 한 담당 선생님이 조별 숙소에 들어오셔서 종이를 한 장씩 나눠주시더니 장점 10개, 단점 3개씩 적으라고 하셨다.

적은 장점과 단점에 대해 돌아가며 발표를 끝내고 나서 선생님은 말씀을 이어가셨다.


"왜 장점은 10개를 적고 단점은 3개만 적으라고 했을 것 같아요?"

...

"단점보다는 본인의 장점에 더 집중하는 편이 더 바람직하기 때문이에요."




우리는 입시를 거치면서 잘하는 과목을 더 잘하기 위해 공부하기보다는, 성적이 낮은 과목을 더 열심히 공부해서 평균을 높여야 한다고 배웠다. 

입시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이러한 평균을 강요받는다.

제안을 잘 하지만 수행은 잘 못 기획자가 있고, 실제 프로젝트를 잘 하지만 제안은 잘 못하는 기획자가 있으면, 회사는 은근히 각각 부족한 부분들을 노력해서 채우기를 바란다.


'장점을 키우면 특별한 사람이 되고, 단점을 없애면 평범한 사람이 된다.'는 말이 있다.

나도 후배나 부하직원들, 또는 나 스스로에게 부족한 점을 채워나가는 노력을 바라왔으나, 이 말에 공감하기 시작하면서 생각을 바꿨다.

못하는 것을 잘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보다는 잘하는 것을 더 잘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훨씬 수월하고 성과도 좋다.

내가 잘 못하는 것은 다른 잘하는 사람의 도움을 받으면 되고, 내가 잘하는 일로 협업을 하면 된다.




생각난 김에 내 장점에 대해 적어보기로 했다.


공감능력이 뛰어나다.
전날 늦게까지 술을 마셔도 아침에 쉽게 일어난다.
산을 잘 탄다.
윈도, 맥, 리눅스 등 다양한 OS를 능숙하게 다룬다.
다른 사람들을 잘 배려한다.
험담보다는 칭찬에 능숙하다.
돈이나 많은 시간이 필요한(허비하는) 취미생활을 하지 않는다.
본능적으로 밥할 때 물을 잘 맞춘다.
호기심이 많으며 무엇이든 배우려고 노력한다.
...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 뿐만 아니라 어른에게도 20개의 장점을 적는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닌 것 같다.

매거진의 이전글 내가 쓴 글들을 보니 내가 보인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