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바다로가자 Sep 29. 2022

03. 미분(微分)과 도함수(導函數)

말만 들어도 머리가 복잡해지는 느낌을 주는 단어. 미분과 적분.

그런데 이들을 고등학교 수학의 꽃이라고들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수학을 결정적으로 포기하게 만드는 분야 또한 바로 이 미적분이니, 고딩들에겐 머랄까.. 악의 꽃이라 해야하나 싶다.


이렇게 저렇게 꼬아놓은 미적분 문제를 제대로 풀기 위해서는 방정식, 부등식, 함수, 좌표, 삼각함수, 지수, 로그, 극한 등 그동안 중고등학교에서 배운 거의 모든 분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어려울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런 어려움 이전에 '미분'이라는 다소 어색하고 용어 자체가 주는 모호함이 일종의 '공포'를 주는 이유도 있다. 개념을 제대로 알고나면 계산과정 자체는 어렵지 않으나, 미분을 왜 하는지, 그리고 어디에 어떻게 이용되는지 제대로 배우지 못한다. 누구도 제대로 알려주지 않는것 같다.


< 미분을 발명한 뉴턴과 라이프니츠 >




미분 微分 Differential, Differentiation 또는 Derivative 

한자 뜻 그대로보면 '미세하게 나눈다'. 그럼 무엇을 미세하게 나누냐? 그래프에서 두 지점을 아주 잘게 나눈다는 것이다. 


그럼 그래프를 왜 잘게 나눌까? 두 지점간에 상태가 얼마나 변하는지 보기 위해서이다.


아래 그림처럼 두 점 P, Q를 이으면(그래프를 선으로 나누면) 두 점간의 상태가 얼마나 변했는지 알 수 있다. 기하학적으로 생각해보면 알다시피 이런 변화의 정도는 두 점을 잇는 직선의 기울기와 같다. 

 

< 미분의 개념 - 두 지점 간의 기울기 >


그런데 위 그림처럼 P-Q의 거리를 점점 가깝게해서, P에 거의 붙을 정도로 극적으로 가깝게해서(이게 바로 극한이다, lim) 두 점 간의 변화정도를 본다면 이는 거의 P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즉 한점에서의 변화정도와 비슷할 것이다. 그럼 왜 한 점에서의 변화정도를 구할까?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사람도 자연도 사회도 모두 변한다. 내가 가진 돈도, 사랑도, 친구와의 우정도, 날씨도, 주식시장도,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 속도도, 교통 상황도, 아이들의 키도, 내 몸무게도... 일년이년, 하루이틀, 일분일초 계속 변하고 있다. 밤하늘 별의 위치, 원자핵 안에 있는 전자의 위치도 시시각각 변한다. 


그러면 바로 지금 이 순간에 그것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야 할 때가 있다. 교통량이 늘어나고 있는지 줄어드는지, 날씨가 좋아지려는지 흐려지려는지, 이성친구가 날 더 좋아하고 있는 멀어지고 있는지.... 지금 이순간에 변화의 방향이 어떤지 알 수 있도록 해주는게 바로 미분이다.     


즉, 미분이란 그래프를 아주 미세하게 나누 어떤 한 점, 한 순간에서의 변화정도를 알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정도를 다른 말로하면 순간변화율이라 한다. 또한 이 순간변화율을 미분값, 미분계수라고도 한다. 


< 한 점에서의 미분 - 접선 >


영어로 미분은 differentiation, 차이, 다른 것. 즉 두 점 간의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얼마나 변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두 점, 두 순간의 차이, 변화.




그럼 도함수(導函數)는 무엇일까?

위와 같이 알아낸 한 점에서의 순간변화율 값들을 모두 연결하여 함수로 나타낸 것이다. 미분값들을 함수로 일반화시킨 것이다. 이렇게 미분값들을 함수로 나타내면, 모든 순간, 모든 점에서의 미분값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도함두를 나타낼때는 함수 형식인 f'(x)로 나타낸다.


일본은 우리와 같은 ‘미분(微分)’이란 용어를, 중국에서는 ‘도수(导数)’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