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린와우 Oct 24. 2024

저녁밥상

술에 담긴 외로움, 품게 해주고 싶었던 인간다움.

기억이 존재하던 나이부터 술심부름을 다녔다. 어두운 밤 손에 지폐를 한 장 쥐고 아파트 입구 가게에서 소주 한 병을 사면 동전 몇 개가 거슬러졌고 잔돈은 늘 내 차지였다. 그래서였나? 술심부름은 하고 싶은 일이었고 칭찬도 받는 좋은 일이었다.

소주를 사들고 집에 들어서면 아빠는 TV앞 작은 밥상에 찬 몇 가지와 투명한 소주잔을 놓고 기다렸다. 국이나 찌개 때로는 나물 몇 가지만 있기도 했던 밥상엔 항시 밥대신 소주가 있었다. 우리와 같은 저녁찬에 밥이 없는 밥상, 소주가 밥인 밥상. "소주가 밥이야, 밥"이라는 아빠의 말을 당연하고도 순수하게 믿어서인지 초등학교 고학년이 될 때까지 나는 진심으로 세상의 모든 아빠들은 '밥' 대신 '소주'를 마신다 생각했다.

TV가 친구, 사이좋은 와이프라도 되는 것처럼 아빠는 그 시간을 좋아했다. 때론 웃고 덤덤하며 매일 반복되는 시간을 늘 가졌다. 어린 눈에 소주가 있는 밥상은 아빠의 즐거움으로 보였다.


대학에 들어가 처음으로 소주를 마시고 깜짝 놀랐던 날을 기억한다. 신입생이 되어 같은 과 4학년과 대면식을 하던 날 아빠의 밥상에 늘 올라있던 에메랄드 빛 소주를 처음으로 마셨다. 설탕을 폭포처럼 들이부어 녹인 듯한 맛, 너무 달아서 달다 못해 쓴 맛이 나던 소주. 그런 소주를 대학생활 내내, 20대 날들에 참 많이 마셨다. 친구가 좋았고 술자리가 주는 즐거움이 좋았다. 그러면서도 한 번씩 '아빠는 어떻게 매일밤 술을 마셨지? 그것도 혼자서...' 생각했다. 술이 아무리 좋아도 마시고 나면 힘든 것이고 주고받는 것이 없는 술은 재미가 없는데.


25살, 어느 늦은 밤 나에게 저녁밥상을 차렸다. 찬 몇 가지에 소주 한 병 그리고 TV. 아빠가 일으킨 금전적 사고로 언니와 둘이 작은방을 얻어 막 독립을 했던 시기였다. 언니는 사고 뒷수습에 바빴고 난 일상이 무너지지 않게 하기에 바빴다. 밥도 차려먹기 싫어서, 깊이 생각하면 힘들어서 술을 마시면 좀 잊을까 싶어 차려놓고 보니 어딘가 친숙한 모습이었다. 아빠와 같은 모습, 오묘했다. 한 잔 한 잔 술이 들어가면서 아빠가 느껴졌다. 즐거움이 있을 듯했는데 무덤덤했고 때로 가라앉았다. 하루의 고됨을 씻어내는 개운함보다 이마저도 없었으면 어쩌나 싶은, 끝자락에 서있는 외로움이 있었다.

'이거였구나... 매일 밤 아빠는 외로움을 담았구나.'


아빠가 69세가 되던 해 우리는 합가 했다. 2년여의 추적관찰 끝에 아빠는 '파킨슨' 확진을 받았고 남편은 함께 살자 제안했다. 나을 수 있는 병이 아니었고 정성으로 잘할 자신도 없었지만 한 가지 생각이 들었다.

'최소한의 인간다움'.

나눌 가족보다 떠 앉은 책임이 컸던 자리, 좋았던 날도 휘청이던 날도 홀로 흥이 나고 일으켰을 날 들, 그런 시간이 가져온 외로움. 그것을 단 몇 년 만이라도 잊게 하고 싶었다. 같이 둘러앉은 식탁에서 밥을 나눠 먹고 웃고 우는 아이들 소리와 살갑지 못해도 주고받는 이야기가 있는 북적 거림, '사람다운, 인간다운' 시간을 남겨 드리고 싶었다.

열 손가락 못 미치게 남아있는 시간 동안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그것이고 할 수 있는 전부였다.

아빠는 살 만했던 삶이었을까? 몇 해 동안 사람 사는 것 같았을까? '잘했다'라고 내세워 말하진 못하겠다. 그저 바라건대 함께한 7년의 세월 동안 수많았던 저녁밥상에 아빠의 외로움이 조금 옅어졌기를... 아빠도 따듯한 밥을 함께 먹으며 '가족'을 가졌다는 것을 가슴에 품었기를 바라본다.  


 












 



 












 

   

매거진의 이전글 아빠의 냄새.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