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조곤조곤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요술램프 Nov 30. 2023

승자독식

  좋아하는 배우가 출연한 영화를 보기 위해 오랜만에 영화관에 가기로 했다. 팬데믹 이후에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꺼리다 보니 영화관은 3년 동안 고작 한 번 찾았을 뿐이다. 내가 보려는 영화는 촬영한 지 좀 됐으나 코로나가 장기화되면서 이제야 상영하게 된 터라 꽤 오래 기다렸던 영화다. 그런데 막상 영화를 예매하려니 제작비도 적고 규모가 작은 배급사에서 배포하는 영화라 그런지 상영 회수가 고작 하루에 한두 번 밖에 되지 않았다. 1위를 달리는 막대한 제작비를 쏟아부은 외국 영화가 상영관을 거의 다 선점하고 그 뒤를 이어 2, 3위의 영화가 차지하고 나니 경쟁에 뒤처진 영화는 상영관도 잡지 못하고 있었다. 모든 기회는 1인자가 다 차지하고 약자는 자신의 역량을 보여줄 기회조차 가져볼 수 없는 구조였다. 




  상영관 독점 문제가 하루 이틀 된 이야기는 아니다. 이미 오래전부터 영화관계자를 비롯해 많은 사람이 문제를 제기해 왔으나 그동안은 입소문 난 영화를 주로 보다 보니 체감하지 못했던 일이다. 그런데 막상 내가 보고 싶은 영화의 상영관이 몇 군데 없고, 상영관이 있어도 이른 시간대에만 배치되어 있다 보니 스크린 독과점 문제가 비로소 심각하게 다가왔다. 좋아하는 배우의 영화가 순위에서 밀려나 있다는 것도 아쉬웠지만 그보다도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영상물을 좋아하고 스토리를 사랑하는 관객의 한 사람으로서 좀 더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없다는 것이 아쉬웠다. 소자본의 독립 영화나 인기 없는 영화에도 똑같은 기회를 부여하지는 못하더라도 인기 있는 한 두 편의 영화가 체감상 7~80% 이상의 상영관을 독차지하는 것은 정상적인 상황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 같다. 이렇게 독점이 되는 상황에서 1, 2위가 아닌 영화들은 제대로 평가받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1등이 아니면 주목받지 못하는 것이 비단 영화판만은 아니다. 꼴찌가 없으면 1등도 있을 수 없다. 최고가 되지 못하더라도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금 부족하더라도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이 박수받을 수 있는 사회가 공정한 사회가 아닐까 싶다. 인기 없는 영화라 조조 상영밖에 하지 못하는 영화를 보기 위해 이른 아침에 영화관을 찾는 발걸음이 무겁다.      

     



  자유주의 경제학자 루드비히 폰 미제스가 말한 것처럼 시장경제는 마치 투표시스템과 비슷한데 상영관이 이렇게 독점이 되는 경우 다수의 영화들은 표를 받을 수 있는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자유방임 상태의 상영관 시장에서 시장경제원리가 잘 작동하지 못 한다고 볼 수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나를 채우는 시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