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thonomics
데스노믹스(Deathonomics)는 죽음을 경제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개념으로, 죽음이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때로는 그것이 경제적 유인으로 활용되는 상황을 설명한다. 이 개념은 단순히 죽음을 수치화하는 것을 넘어, 죽음을 경제적 이익 창출의 도구로 활용하려는 사회 구조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최근 러시아의 사례는 데스노믹스의 대표적인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자원입대하는 병사들에게는 러시아 평균 연봉의 3-5배에 달하는 임금을 지급하고 전사자에게는 2억이 넘는 위로금을 지불하고 있다. 러시아 정부가 전사자 가족에게 지급한 보상금은 현재까지 약 41조 원에 이르며, 의도여부를 떠나 이는 국가 경제를 부양하기 위한 방편으로 활용되고 있다.
실제로 이 보상금은 단기적으로 빈곤율을 낮추고 지역 주민들의 소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경제적으로 취약했던 시베리아 남부와 같은 지역에서는 전사자 보상금으로 인해 예금과 소비가 증가하고, 빈곤율은 역사상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처음에는 이러한 효과가 긍정적인 경제 지표로 보일 수 있지만, 생산성 없이 부풀려진 소득은 물가 상승을 자극하고, 경제 구조의 왜곡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보상금을 통해 늘어난 소비는 수요를 증가시키지만, 이를 뒷받침할 생산 기반이 충분하지 않다면 공급 부족이 발생하고, 이는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결국 단기적으로는 소비 증가와 지역 경제의 일시적 활력을 불러올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실질 구매력 감소와 경제 불안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모델의 가장 큰 문제는 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훼손한다는 점이다. 전쟁으로 인해 생산 가능 인구가 줄어드는 것은 노동 시장의 축소를 의미하며, 이는 국가 경제의 성장 가능성을 제한하게 된다. 젊은 인구가 전장에서 희생되면서 사회 전체적으로는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이는 연금, 의료비 등 사회적 부담을 증가시키는 결과는 가져온다. 동시에 국가 재정의 상당 부분이 전쟁 비용과 보상금 지급에 사용되면서, 교육, 인프라, 기술 개발 등 미래를 위한 투자 여력이 줄어들면서 이로 인해 러시아의 경제는 장기적으로 균형을 잃고, 성장보다는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진정한 경제 성장은 희생의 대가로 얻어진 이익이 아니라, 생산성을 기반으로 한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경제가 건강하게 성장하려면 산업의 다각화, 기술에 대한 투자, 그리고 교육의 강화를 포함한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변화가 필수적이라는 것은 우리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현재 러시아는 생명을 담보로 하는 단기적인 경제 성과를 보고 있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유지되는 경제는 필연적으로 한계에 봉착하게 된다. 그 순간, 사회와 경제 전반에 걸친 불안정은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경제는 궁극적으로 사람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 경제는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그들에게 더 나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존재한다. 경제 성장의 목표는 단순히 수치를 높이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고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데 있다. 죽음이 아니라 삶을 위한 경제, 전쟁이 아니라 평화를 중심으로 한 발전이야말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길이다. 죽음으로 부풀려진 경제의 거품은 언젠가 꺼질 수밖에 없으며, 그 잔해는 사회와 국가에 깊은 상처를 남긴다. 우리는 이러한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 생산성과 지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건강한 경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결국 중요한 것은 숫자가 아니라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