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이민 일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Chloe Park Dec 23. 2020

한국 사람은 없어요?

애리조나에 동양인이 없는 건가요, 우리 회사에 없는 건가요?

드디어 첫 출근 날이 왔다. 스카이프 인터뷰를 했을 때 언뜻 보기에 우리 팀에는 한국사람은 물론이고 일본이나 중국사람도 없어 보였다. 그래도 인터뷰 때 정신이 없어서 기억을 제대로 못하는 것일 수도 있고 회사엔 500여 명이, 적어도 내가 속한 빌딩엔 250명 정도가 있으니까 하여간 아시안 (이때에 내 머릿속에 ‘아시안’ 이란,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이 98%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 있겠지-하는 생각을 아주 잠시 했었다. 그런데 이게 웬걸, 정말 회사에 출근해보니 한국사람이나 중국사람, 일본 사람은 없어 보였다. 흑인도 드물었다. 여기 사실 백인만 고용하는 회사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왠지 모르게 -그럴 이유는 전혀 없지만- 주눅이 들려고 했던 기억이 난다. 사실 지금 와서 하는 얘기지만 그 당시 내가 얼마나 무지했던지, 그때만 생각하면 아직도 부끄러움에 낯에 열이 오른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우리 팀에만 해도 벌써 9개 이상의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이 있고 단순히 눈으로 보아서 백인, 흑인, 아시안이 있는 게 아니라 다문화 가정 아래 자란 혼혈인 사람들도 있다는 사실을 그때의 나는 그냥 무시해 버린 셈이었다. 어쩐지 같이 일하면서도 백인도 흑인도 아시안도 아닌 것 같은 오묘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팀원들이 있다 싶었는데, 얼마 후 그들의 출생의 비밀(?)을 알고서는 화들짝 놀란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단군 할아버지 아래 단일민족으로 이루어진 것에 자부심을 갖는 -아직도 이렇게 교육을 하는지는 모르겠다-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서 온 이 작은 인간이 바라본 세상의 시야는 과연 좁디좁은 것이었다.


미국에 온 지 3년 4개월여 만에 ‘진짜 미국’에 온 기분이었다. 뉴저지에 살 때에는 물론 주말마다 뉴욕에 놀러 가긴 했어도, 물론 남편이 백인이긴 해도, 버스 기사 분들 중 많은 분들이 이탈리안 이민자들이긴 했어도, 그래도 내가 살던 곳은 영어를 하기 싫으면 한마디도 안 해도 사는 데 전혀 지장이 없는 한인타운이었고, 한국인 내외분이 계시던 집에서 방을 빌려 살았고, 한국인 집주인 언니가 있는 집에 한국인 룸메이트들과 지냈고, 한국 그 어느 치킨집보다 한국 치킨을 잘하는 치킨집이 있었던 그런 곳이었다. 남편과 같이 순댓국 집이라도 갈 때면 ‘저 백인이 순댓국을 어떻게 먹나-‘ 하며 쳐다본 사람들도 한둘이 아니었다. 직장에서도 한국어로 많은 비중의 커뮤니케이션이 오갔고 사실 굳이 누구와 얘기를 할 거리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내가 미국에 온 건지, 아니면 한국의 어느 시골쯤에 온 건지 잘 분간을 하기 어려웠단 말이다. 그런데 지금 내가 온 이 곳은 한국사람은커녕 아시안도 보기 힘든 곳이라니. 이것은 사실 그 어떤 인종문제라기보다 언어문제로 사람을 기죽이는 것이었다.


이제  영어로 모든 의사소통을 정말 해야 하는구나.’


내가 미국에 와서 느끼건대, 영어는 말하는 사람마다의 악센트가 다 다르다. 그래서 아무리 토익이 몇 점이라 해도, 아무리 본인의 영어 실력에 자부심이 있어도 한국에서만 지냈던 토박이라면 미국에 왔을 때 당황을 금치 못할지도 모른다. 내가 그랬다. 나름 말의 속도가 빠르다던 ‘가십걸’도 계속 돌려보며 대부분의 내용을 캐치했던 내가 아니냔 말이다. 아무리 토익이 쓰잘 데 없는 영어 시험이라고 해도 그래도 900점대 이상을 받지 않았느냔 말이다. 그래도 남편이 미국인이고 한국말을 쥐톨만큼도 모르는데 영어로만 대화해도 그래도 의사소통에 지장이 없고 누구보다 서로를 잘 이해하고 결혼까지 하지 않았냔 말이다. 그런데 왜 미국에 와서 듣는 다른 사람들의 영어는 왜 안 들리냐고. 왜? 내가 한국에서 배워온 ‘악센트’라봤자 영국과 미국의 차이, 그 마저도 통달하지 못했었다. 물론 대부분의 의사소통은 가능하긴 했지만 그래도 꽤 많은 사람들이 가진 각각의 악센트에 일일이 적응하기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했다. 남편의 삼촌 할아버지 내외분의 악센트는 사실 아직도 이해하기 힘들다. 그분들은 뉴요커인데도 말이다! 그런데 새로 들어간 팀은 팀원이 열다섯 명 정도. 그 말은 열다섯 개의 다른 악센트가 있다는 뜻이었다.

문제는 듣는 데에만 있는 게 아니었다. 우리 회사는 Slack이라는, 회사 내 흔히 카카오톡 같은 것이 있는데, 팀 내 친한 여자들끼리 모인 ‘단톡 방’이 아주 관건이었다. 그들은 새로 온 나를 환영한다며 입사 후 며칠 만에 나를 그 채팅창에 초대해 주었다. 그 채팅창 안에는 나 포함 여덟 명이 있는데 그들의 말하는 속도를 따라가는 것은 아주 매우 확연히 불가능했다. 다들 타자를 어찌나 빨리 치는지. 영어 읽는 속도가 아직 느렸던 나에겐 일을 하면서 채팅을 동시에 확인하는 것이 영 무리였고 - 그렇다, 나는 멀티태스킹에도 취약하다- 그러다 보면 잠시 못 본 사이에 200개가 넘는 메시지들이 와 있었다. 그리고 그걸 다 좇아가겠다고 읽는 와중에도 새 메시지는 계속 줄줄이 와 앉았다.


이전까지는 영어로 뭔가를 말하거나 쓰려고 하면 머릿속에서 두세 번의 시뮬레이션을 하고, 메시지의 경우 다듬고 다시 읽고 또 읽고 남편의 자문도 가끔 구하고 나서야 Send 버튼을 눌렀었는데, 이젠 그러고 어쩌고의 시간은 허용되지 않았다. 내가 말하는 게 말이 되든 안되든 그냥 일단 내뱉어야 했고, 회의를 할 때도 무슨 내용인지 따라가기 바빴다. 정말이지 야생의 어디쯤, 정글의 한 복판에 떨구어진 기분이었다. 그래도 신이 났었다. 이런 게 내가 정말 원하던 ‘미국 생활’이 아니던가! 이렇게 부딪히며 살아남은/살아남을 극복기라니, 나중에 먼 훗날에 얼마나 스스로가 자랑스럽고 대견할까!


하지만 행복한 나날도 잠시, 저기 어디서 어떤 가면이 스멀스멀 아지랑이처럼 피어나 내게 소리 없이 요란하게 다가오고 있었다.

가면 증후군이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뉴저지에서 애리조나로 이사 가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