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초생 Nov 05. 2019

외향인도 내향인도 괜찮(았)다

다섯 번째 편지


외향인 같이 보여야 안심이 됐다.



'나는 어떤 성향입니까?'

내게 답하는 다섯 번째 편지



5일 차 주제. '성향'




외향의 기록



초, 중학생 때,    

장기자랑 때 판소리를 부르고 친구들과 춤을 춰보았다.


대학생 때,    

연극 동아리에서 공연 한 번을 올리고는 연극 교양 수업에서 또 한 번 연극을 했다.

전과한 뒤 촬영한다고 돌아다니며 사람을 만났다.

해외 프로젝트에 신청해 활동적인 외국인과 활동적으로 작업해봤다.


직장인일 때,    

항공사 지상직 일할 땐 항상 사람과 함께였고 많이 웃었다.


학생과 수업할 때,    

모든 에너지가 학생들한테 나갔다. 으레 그래야 하는 일 앞에서 뭔가 잘못돼가고 있단 걸 뒤늦게 알았다. 시간이 흐르고서야 멈출 수 있었다.







동굴, 술



항공사 지상직도, 수업하는 일도 외향형이 사람에게 에너지를 덜 뺏기는 것 같았다. 내가 밖으로 쓸 수 있는 에너지 총량은 주변과 확연히 차이 났다. 많은 사람을 대하면 금방 지쳤고, 직장에선 말 안 하고 좀 쉬고 있으면 고상한 척한다느니 우스갯소릴 들었다. 나쁜 의도라기보다는 그냥 서로 외계인 보듯 했다. 외향적인 사람이 주로 모이는 집단에 내가 속해있었으니 이질감이 컸다.


그냥 그뿐이었는데,


그때는 ‘뭐, 난 내향적인걸!’이란 생각을 할 수가 없었다. 나를 부정적인 뉘앙스로 보는 시선을 그대로 받아들였다. 열심히 외향인처럼 살았고, 그래야 내가 거기 존재해도 되는 것으로 생각했다. 집에 와서는 동굴에 처박히듯 세상을 차단하고 술을 자주 마셨다. 취하면 모든 게 뭉개져 기분이 나았다. 술을 마시면 유쾌해진다는 말도 들었다. 노력하니까 외향인처럼 살아지긴 했다.





인생은 사건이 아닌 해석 중심



꾸역꾸역 산 과거를

부정적으로 비춘 감이 있지만

지금 글을 쓰며 드는 생각은

'그것도 괜찮았다’는 것이다.



인생은 사건 자체가 아닌 해석으로 사는 것이란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나한테 다른 옵션은 없었다고 판단했을 땐 외향인으로 애쓴 과거가 억울하고 미웠다. 분명 그랬다. 하지만 외향적으로 살아보지 않았다면, 위에 줄줄이 열거한 경험은 지금 내 게 아니었을 거다.


한 해 한 해 지나며 행동하는 게 점점 더 어려워진다고 생각했다. 그래서인지 지금은 저 서툰 움직임이 왜 이렇게 예뻐 보일까.


예전엔 외향인의 가면을 쓰는 게 최선이었지만 이제는 아니다. 어떻게 존재할지 선택할 수 있는 나로 인식하고 나니, '나 외향인 때도 나쁘지 않았어'란 생각이 가능해진다.


결국, 내향이든 외향이든 그에 따른 강약 점이 있고, 필요에 따라 가면을 쓰고 벗는 건 유능하게 볼 일이지 가면 자체가 나쁜 건 아니었다. 그렇지만 분명 어떤 성향에 가까운 우리가 좀 더 편하게 느낄 일과 자리가 있을 테니, 나를 아는 건 아직도 중요하다 생각한다.


나 아니어서 얻을 수 있었던 경험들, 지금은 다른 사람의 인생을 체험한 듯 멀게 느껴진다.

지금의 나는 내향인을 자처하고 있다. 내향인일 시기가 필요해서랄까.


 



사람들과 겉도는 대화 뒤 공허한 느낌이 들기도



정적인 곳에서 몸이 간질거리기도


엄마랑 항공사 퇴사 전 다녀온 하와이


누구보다도 혼자 하는 여행이 편하고 좋았던 나지만, 엄마와 함께한 여행이 돌아보니 정말 행복했다 느끼는 나.


마지막 심리 종합검사 결과를 보니 3년 전보다 내향성은 높아졌더라. 당연한 결과다. 난 내향형 인간으로 사는 게 확실히 편하다. 그치만 외향인으로 사는 것도 꽤 괜찮았다.







나를 찾는 여행 중,

내일은 여섯 번째 편지를 씁니다.


https://brunch.co.kr/@chograss/162


매거진의 이전글 그냥 B급으로 살 것 같은 유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