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군대를 위한 제언
도대체 미군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저렇게나 발전할 수 있었을까?
국방예산 차이 (17년도 기준 16.7배)
실전 경험 유무
모병제 / 징병제
Army Regulation 670-1 중 일부 :
미국 성조기 패치는 오른쪽 또는 왼쪽 어깨에 부착하되 별무늬가 항상 앞을 향하거나 성조기의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어야 한다. 이렇게 부착하면 군인이 앞으로 달려 나갈 때 성조기가 바람에 휘날리는 모습을 연상시킬 수 있다.
"관료제가 실용적이려면, 조직 내에서 각 개인은 어떤 역할을 해야할까?"
Ex.1
동맹국들의 경험과 대통령의 촉구에도 불구하고, 미 장성들은 부대들에게 비정규전을 준비시키지 않았다. 미 육군참모총장 George Decker 장군은 "뛰어난 장병이라면 누구나 게릴라전을 수행할 수 있다" 고 대통령에게 단언하였다. 케네디의 지침과는 반대로, 미 육군은 베트남에서의 분쟁을 정규전의 형태로 보았다. 1964년 말이 되어서야 합참의장인 Earle Wheeler 장군은 "베트남전의 근본적인 문제는 군에 있다"라고 단호하게 지적하였다. 그러나, 미 육군이 대통령의 촉구에 따라 미미한 편제 조정을 하는 동안에도 미 장성들은 적의 괴멸에 초점을 둔 전쟁 비전인 Andrew Krepinevich의 '육군 개념'에 집착하고 있었다.
Ex.2
… 이런 부정적인 전략에 가장 기여한 출판물은 Harry Summers 대령이 저술한 'On Strategy: A Critical Analysis of the Vietnam War'이다. 미 육군대학 교관인 Summers 대령은 베트남전이 패전 원인이 정규전에 충분히 집중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고 '육군이 듣고 싶어 하는 교훈'을 주장했다.
"나는 교리가 나머지 모든 것을 주도해야 한다고 믿는다 (I believe doctrine should drive everything else). - Donn A. Starry"
관료제란 지식으로 통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 막스 베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