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준란 Apr 30. 2018

 한 편의 서정시같은 <화양연화>

팟캐스트 <차이나는 무비> 의 한중일 횡단토크쇼! 





사랑을 노래하는 한 편의 서정시


 안녕하세요! 오늘은 ‘꽃다운 시절’ 또는 ‘다시 돌아오지 않는 순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왕가위 감독의 또 다른 대표작, <화양연화>에 대해 이야기 해 보려 합니다. 홍콩에서 유행했던 동명의 노래도 있다고 하는데요. 가수 이승환도 몇 년 전 같은 제목의 노래를 발표하기도 했었는데… 다들 들어 보셨나요?  


저는 화양연화의 명테마곡으로 시작할게요. <In The Mood For Love>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IgU9aNpb9k&list=PL1On_TeroSfsJWWqDfluK1s-yZjJLwn5v       

                                                                                                                                                                                 

<화양연화>는 왕가위의 다른 작품들에 비해 슬로우 모션 기법이 많이 적용된 영화입니다. 등장인물들이 반복적으로 엇갈려 스치는 장면도 많고요. 그래서인지 ‘답답하다’라는 감상평도 간혹 보이는데요. 이러한 ‘저속’촬영은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있는 순간에 느끼는 '시간이 멈췄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형상화한 것은 아닐까요?  

 


신여성은 이러한 느린 이미지들이 문학적 묘사에 가깝다고 말했는데요. 등장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자세하게 들여다보고 느낌을 공유할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이라는군요. 이런 방식의 영상 촬영은 굉장히 감성적이고 내밀한 개인의 면면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출연진 모두는 왕가위의 <화양연화>가 ‘시에 가까운 영화’라고 평하기도 했습니다. ‘시에 가까운 영화’라니,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을 이야기하는 것일까요? 꿈꾸미는 첫 번째로 이미지가 환기하는 효과를 들었습니다. <화양연화>는 어떤 서사의 전개나 사건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구현 자체에 중점을 두는데 이러한 이미지들은 시적인 묘사를 가능하게 한다고 합니다.

두 번째로는 사운드의 선정을 들었습니다. 왕가위는 사운드를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감독이라고 하는데요. 냇 킹콜의 키사스 키사스 키사스가 흘러나오는 장면을 생각해보면 왕가위 감독이 사운드의 선정과 배치에 탁월한 감각이 있다는 걸 알 수 있겠죠? 때로 이런 배경음악이 환기하는 장면의 임팩트는 너무 강렬해서 마치 시의 한 구절처럼 계속 머리에 맴돌기도 합니다.                                                   


신여성은 양조위가 캄보디아에서 땅속의 구멍에 대고 소리를 지른 후 진흙으로 구멍을 봉인하는 장면에서 이은규 시인의 <속눈썹의 효능>이라는 시가 떠올랐다고 합니다. ‘때로 헤어진 줄 모르고 헤어지는 것들이 있다’는 구절 때문이었다고 하는데요. 헤어지기는 싫지만 헤어질 수밖에 없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억은 떠나지 않는 것. 슬픔에 받쳐 악을 쓰던 양조위의 모습은 '헤어졌지만 헤어진 줄 모르는 남자'의 모습이 아니었을까요?                                                  


왕가위 감독의 <화양연화>의 영어 제목은 <In The Mood For Love> 입니다. 사랑에 관한 ‘무드’라니… 오은 시인의 시집 <우리는 분위기를 사랑해>나 평론가 신형철의 <느낌의 공동체>라는 책 제목도 있듯 분위기나 느낌 그러니까 ‘무드'가 우리에게 얼마나 강렬한 경험을 선사하는지 그리고 관계를 형성하고 묶어주는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는 제목입니다.                                                  


이상으로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듯 <화양연화>에는 천천히 하지만 강하게 마음에 와 박히는 느린 장면들이 유독 많습니다. 그래서 이번 팟캐스트에서는 인물과 대사에 대한 이야깃거리가 매우 풍부했는데요. 사랑에 관한 보다 깊고 내밀한(?) 이야기들은 팟캐스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나의 꽃다운 시절은 이미 지나갔을 수도 아직 오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모든 순간은 다시 돌아오지 않으니 어쩌면 모든 순간이 화양연화인 것은 아닐까요?                                                  

                                                                                                                     마지막으로 냇킹콜의 <Quizas, quizas, quizas>입니다. 양조위와 장만옥의 어쩔 수 없는 감정선을  표현한 노래죠.

https://www.youtube.com/watch?v=2NMmgKPiAhw


중국 영화를 만나는 색다른 시선, 영화 속에 숨겨진 중국의 매력과 마력에 빠지는 시간. 지금까지 <차이나는 무비>였습니다.                     

                                                                                                                                                                                                                                                                                                                                                                                                                                                                                                                                                                                                                                        

ㅣ팟캐스트ㅣ
 더 자세한 내용을 들으시려면 다음의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www.podbbang.com/ch/13254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