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속의 심리학
작년에 수능을 준비하던 딸이 한창 불안해 할 때 이런 조언을 한 적이 있다.
“ 너무 걱정하지마! 그냥 아는 것은 쓰고, 모르는 것은 찍고, 헷갈리면 먼저 골랐던 것이 답이고, 종료 5분 전에 답안지 고치지 말고...”
누구나 알고있는 뻔 한 이야기였는데 그중에서 두 개의 정답중에서 헷갈리면 먼저 골랐던 것이 답이다 라는 말은 꽤 오랜기간 객관식 시험에 대해 내가 가지고 있던 신념중의 하나였다.
비슷한 이야기를 들은적도 있었고, 고등학교 1학년 때인가 직접적으로 체험했던 것이라 그 신념은 강력한 믿음이 뒷받침 되어 주었다.
고1 중간고사 국어시험으로 기억을 한다.
공부도 덜 되었고, 문제도 꽤 어렵게 출제되어 그날따라 명확하게 답을 적은 것 보다 대충 직관적인 느낌으로 찍은 답이 꽤 있었고 특히 두 개중 하나가 답인 것 같은데.. 하면서 긴가민가 헷갈리는게 여러개 있었다.
5분을 남기고 시험지에 표기된 답을 OMR 답안지에 옮기기 시작했다.
왜 그런지 모르겠지만 이 과정에서 나는 두 개중 하나가 답인 것 같은 알쏭달쏭 했던 문제 5개를 모두 처음 찍었던 것에서 다른 것으로 바꾸어 마킹을 했다.
그날 시험이 끝나고 정답이 공개되었는데 놀랍게도 모두 처음 내가 생각했던 답이 정답이었고 마지막에 바꾼 답은 오답이었다.
그 날 얼마나 화가 나고 후회가 되던지 하도 억울해서 담날 시험공부도 제대로 못했었다.
그 사건을 계기로 아마 나는 이전까지 어렴풋한 법칙으로 생각했던
“ 답이 확실하게 잘 못 적은 것이다. 라고 생각하면 고치지만, 둘 중 하나 인 것 같다는 식으로 아리송할 때는 무조건 처음 선택 했던 것이 답이다. ”
라는 이야기를 불변의 진리처럼 확신하기 시작했고, 이후 내가 치렀던 모든 객관식 시험에서 이 원칙을 유지했으며 30년이 지난 지금 까지도 생각하면서 딸에게도 진리처럼 전달했다.
그러나...
이 30년 넘게 유지했던 내 생각이 엄청난 착각이고 진실이 아니라고 깨우치게 된 것은 얼마 전 읽은 한 논문 때문이었다.
저스틴 크루거, 데일 밀러 두명의 심리학자는 일리노이 대학의 학생 1,561명을 대상으로 객관식 시험을 치르게 한다. 그리고 그들이 시험 도중 답을 수정하게 되면 그것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했다.
1,561명의 학생중 1,231명이 1개 이상의 답을 바꾸었다. 이중 54%는 답변 변경으로 인하여 점수가 높아졌고, 19%는 답변 변경으로 점수가 떨어졌다.
결론적으로 처음에 작성한 정답을 수정한 경우 점수가 올라갔다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 시험에 참여했던 학생들의 생각은 전혀 달랐다.
참여한 학생들중 일부에게 시험에서 답변을 변경할 경우 이것이 기록될 것이라고 알려주었고, 그럴 경우 그 비율은 어떨 것 같은가 예측해 달라고 하자, 답변 변경으로 혜택을 입을 경우의 비율은 33%, 답변 변경으로 피해를 볼 경우의 비율은 38% 라고 예측했다.
즉 답변변경의 혜택은 과소평가하고, 피해는 과대평가한 것이다.
또한 학생들은 설문에서 두 개의 헷갈리는 답이 있었는데, 첫 번째는 답을 바꿔서 틀렸고, 두 번째는 답을 유지해서 틀렸다는 상황을 가정할 때 언제가 더 후회스럽고, 바보스럽다고 느껴지는가를 물었는데 대부분 학생들은 첫 번째가 후회스럽다고 답했다.
이는 학생들이 가진 생각은 내가 오랜기간 가지고 있었던 생각과 동일했다.
그렇다면 왜 이런 결과가 얻어지는 것일까?
첫째는 후회에 따른 차이이다.
즉 답을 바꾸어서 오답이 된 경우는 후회가 매우 커서 기억에 오래 남고, 답을 바꾸어 정답이 된 경우는 평소 자신의 실력이라고 생각하여 기억이 강렬하지 않는다.
둘째는 손실회피 경향이다. 우리는 동일한 금액을 얻을 때 이득 보다 잃을 때의 손실을 더 크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처음에 답을 정한 것을 바꾼다는 것은 혹시나 예상되는 손실로 여겨지고, 새롭게 답을 제안 하는 것은 앞으로 예상되는 이득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이 두가지 중 전자가 더 크게 느껴져서 가급적 손실 회피를 위해 원래의 답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논문을 본 이후 나는 두가지 생각을 했다.
하나는 내가 심리학에서 가장 크게 느끼는 매력을 다시 한 번 확인한 쾌감이었다.
아담 그랜트는 우리가 가진 많은 믿음 대부분이 문화적 공리(Cultrual truism)라고 하면서 문화적 공리란 널리 공유되는 것이지만 의심받은 적이 거의 없는, 조금만 들여다 보면 진리가 아님을 너무 쉽게 알 수 있는 것들이라고 비판한다.
심리학은 이처럼 문화적 공리라고 여기는 많은 것들을 과학적 근거와 실험을 통해 여지없이 깨트려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던 생각이 잘못 되었음을 확인시켜준다. 이것이 내가 심리학을 좋아하는 이유이고 나는 이것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두 번째 단순 경험에 대한 근거없는 확신을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고등학교 시절 시험을 통해 얻은 경험을 무려 30년간 확신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것을 딸에게도 이야기 해주었다. 그런데 이러한 잘못된 지식은 정말 조심해야 하고, 정확한 과학적 근거를 따지는 습관을 가져야 겠다.
답을 고치지 않아서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딸은 작년에 대학을 떨어지고 지금 재수중이다.
딸아~ 부디 올해는 혹시 잘못된 답이라고 의심이 들었을 때 과감하에 새로운 답으로 고치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