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Nak Feb 10. 2022

우리가 회사의 부속품인 이유 - 1

돈을 번다는 것은 무엇일까?

필자는 오랫동안 생각해왔다. 돈을 번다는 것은 무엇일까?


우리는 대부분 회사라는 조직 내에서 근로 활동을 하며 돈을 번다. 개인의 능력을 이용하여 스스로 부가가치를 창출하기보다는, 회사라는 조직에 의존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돈을 버는 주체를 2가지로 나누어 보도록 하자.

주식회사

개인


1. 주식회사


  주식회사(株式會社, Corporation)는 사원, 즉 주주의 권리·의무에 관해서 세분화된 비율적 단위라고도 할 주식을 발행해서 각 주주는 그가 갖는 주식의 인수가액(引受價額)을 한도로 출자의무를 지는 회사이다.주식회사는 사단성(社團性)과 법인성(法人性)이 뚜렷한 회사로서 주식으로 세분화된 일정한 자본을 가진 회사이다. 각 주주는 회사의 채무에 대해서 직접의 책임은 없으므로 주주의 개성은 문제가 아니며 회사의 신용의 대상은 회사의 자본뿐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주식회사는 물적 회사라고 불린다. -위키백과


우리가 일하는 대부분의 회사는 법인회사이며 기업이다. 이 기업을 경영하기 위한 4요소를 꼽자면 다음과 같다.


1) 경영목적 - 이윤추구가 목적인 기업의 경영 목적

2) 인적자원 - 목적 수립 후 달성에 필요한 자원

3) 자본 - 경영을 하기 위한 물적 자본

4) 전략 - 사람과 자본을 엮어내어 경영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


회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적자원은 개인의 자아실현이 아닌 기업의 이윤추구를 위한 중요한 자원 중 하나이다. 개인과 상충관계가 발생하는 부분은 바로 개인과 회사의 목적이 항상 일치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또한 개인은 수익을 올리기 위한 투입 자원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니지 못하기 때문에, 기업 내에서 개인의 역량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아래 그림을 살펴보면 화살표 안의 동그라미가 개인이다. 각 개인은 매출을 올리기 위한 기업의 인적 자원 중 하나이기 때문에 화살표 밖으로 벗어나올 수 없다.


그림 1-1(개인의 역량 범위)


그렇다면 CEO의 역할은 무엇일까?


CEO는 인적 자원 화살표의 기울기를 결정한다.

CEO가 회사에서 가장 중요한 이유는 화살표의 기울기가 똑바로 향한다면, 회사는 탄탄한 자본을 바탕으로 더욱더 좋은 인적 자원을 화살표 안으로 채워넣는다.


인적 자원의 선순환을 통해 회사의 크기, 매출의 크기 그리고 화살표의 크기를 모두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림 1-2(CEO의 중요성)


기업 내 개인이 완생할 수 없는 이유
개인은 화살표 밖으로 빠져나올 수 없는 존재다.



위 그림에서 살펴보듯이 한 개인은 화살표 밖으로 절대 빠져나올 수 없는 존재다.


회사가 커지고, 매출이 커지고, 화살표의 크기가 커질수록 화살표는 더 많은 개인으로 꽉 차기 때문에 개인의 크기는 언제나 제한된다.


회사에서 우리가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없는 이유는 바로 우리는 화살표 안에서 제한적 기능을 수행하는 제한적 기능의 존재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화살표 내에서 화살표를 움직이는 존재이지, 화살표의 방향을 결정하거나 화살표 전체를 대변할 수 없는 존재이다.


그렇다면 대기업/중소기업내 개인의 책임과 권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대기업


대기업의 경우 화살표의 넓이가 커졌으나, 넓어진 크기에 비례하여 화살표 안을 채우는 구성원의 숫자가 많아진 것을 볼 수 있다.


즉, 개인의 책임과 권한에는 언제나 한계가 존재한다.


대기업은 화살표 내의 공백을 최대한 메꾸면서 시스템적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개인의 책임과 권한은 그에 비례하여 축소된다. 그로 인해 개인의 역량을 발휘하기 더 힘들 수 있으며, 매우 경쟁적인 환경에 속한다.


대신 화살표 범위가 넓고 매출이 화살표의 범위보다 넓다. 왜냐하면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총 볼륨이 커진더. 그리하여 임금이라는 볼륨 역시 커질 가능성이 높다.(아래 그림에서는 회사와 매출의 크기는 위와 동일하게 표시하였다. 그림 특성상 회사와 매출의 크기를 넓혀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림 1-3. 대기업 권한 및 책임


2) 중소기업/스타트업


그림 1-4. 중소/스타트업 권한 및 책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개인의 권한과 책임이 크다. 화살표 내 개인의 크기가 대기업 그림에서 보는 것보다 훨씬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물론 큰 사람은 크지만, 작은 사람은 작다)


이렇듯 개인의 권한과 책임이 크기 때문에 본인이 욕심만 가진다면 대기업보다는 훨씬 더 큰 권한과 책임을 갖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화살표 빈 공간이 대기업보다 훨씬 큰 만큼 자신과 관련되지 않은 일을 해야할 가능성이 매우 크며, 개인의 역량이 천차만별인 경우가 많다.


즉 화살표 기울기를 움직일 수 있는 개인의 숫자가 적기 때문에, 본인의 능력을 통해 화살표 기울기를 움직일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는 이야기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도 화살표 내 범위를 벗어날 수는 없다.


대기업에서 볼 수 있는 화살표 내 동그라미는 매우 체계적인 형태를 띄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스타트업의 경우 균일하지 않으며 전혀 체계적인 느낌을 받을 수 없다.


이 점에서 볼 수 있듯이 대기업은 체계라는 시스템 내에서 화살표를 움직이며, 중소기업/스타트업은 개인의 역량에 훨씬 더 의존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


위에서 살펴 봤듯이 회사 내에서는 개인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돈을 스스로 벌 수는 없다. 개인은 인적 자원이라는 기업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그 한계를 뛰어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회사 내에서 본인의 역량을 키운다거나 스스로 브랜드를 키워 돈을 직접 버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하다.


그렇다면 개인이 돈을 벌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사실 필자도 지금 개인으로서 돈을 벌기 위해서 노력중이다. 솔직히 아직 돈을 못 벌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으로서 돈을 벌 수 있는 추상적인 개념은 세울 수 있다.


다음 화에서는 개인이 돈을 벌 수 있는 도표를 살펴보며 돈을 벌기 위한 방법을 찾아보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매거진의 이전글 회사는 도서관이다 - 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