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씨네랩 May 09. 2024

코파 1971

코파 1971(Copa 71)

레이첼 램지, 제임스 얼스킨

France | 2023 | 90min | DCP | Color/B&W | Documentary | 전체관람가 | Asian Premiere


기록적인 관중들이 지켜본 가운데 치러진 1971년 여자 축구 월드컵. 월드컵에 참가한 선구자들이 모여 50년간 공개되지 않았던 기록을 바탕으로 특별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축구 종주국이나 다름없는 잉글랜드 축구협회는 여성 축구가 활발하던 와중인 1921년, “축구는 여성의 신체에 적합하지 않다”며 여성의 축구장 사용을 금지하였고 ‘누구에게나 찬란한’ 스포츠인 축구는 그로부터 50년 동안 남성의 전유물이 되었다.


<코파 1971>은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아니 세상이 우리에게 숨긴 역사의 한 페이지를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작품으로, TV 시리즈 [디스 이즈 풋볼](2019), 장편 <리버풀 FC: 엔드 오브 스톰>(2020) 등 다양한 스포츠 작품을 연출한 ‘레이첼 램지’, ‘제임스 얼스킨’ 감독 듀오의 신작이다.


© 전주국제영화제

1991년, 우리가 알고 있는 최초의 여자 축구 월드컵에서 시작하여 비밀스러운 1971년의 기록 속으로 돌파해 나가는 영화는, 영화 속 대사처럼 보는 내내 “왜 이걸 몰랐지?”라는 생각을 떨칠 수 없었다.


아르헨티나의 엘바, 영국의 캐롤, 이탈리아의 스키아보. 1971년 여자 축구 월드컵의 주역들을 한 명씩 소개하며 50년을 기다린 ‘영웅’들의 서사를 들려주는 다큐멘터리는 이들이 어떻게 축구를 시작하게 되었는지, 어떤 환경 속에서 어떤 핍박을 받으며 축구라는 꿈을 이어나갔는지를 들려준다.


1970년, 남자 축구 월드컵의 흥행으로 인하여 축구의 인기는 더욱 상승하고, 멕시코는 이 기세를 몰아 전략적으로 ‘여자 월드컵’을 개최하고자 했다. 당연하게도, 선수부터 협회 구성원까지 전원 ‘남성’으로 구성된 축구 업계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흥행을 예감한 멕시코는 자국 미디어 그룹을 등에 업고 월드컵 경기장보다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과달라하라 스타디움과 아즈테카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여는 작업에 들어간다.


© 전주국제영화제


티켓을 팔아 수익을 내는 것이 이들의 유일한 목적이었기에, 정작 참가한 선수들에 대한 보상은커녕, 선수의 인권까지 고려되지 않았지만, 인생 처음으로 환호와 열기 속에 잔디를 밟은 선수들은 경기를 뛸 수 있음에 감사함을 느낀다.


© 전주국제영화제


입이 떡 벌어지는 프리킥 장면부터 선방까지 압도적 퍼포먼스를 보여준 선수 개개인이 이 능력을 발판 삼아 축구로 성공한다거나, 이 월드컵으로 인하여 여자 축구의 역사가 바뀌었다거나 하는 스토리를 기대했다면 큰 오산이다.


레전드 여자 축구 선수 ‘알렉스 모건’조차 이 월드컵의 존재를 몰랐으니 말이다.


“You don’t know then, but you will”

우리가 몰랐던 것을 알게 하고, 더 나아가 관심을 두게 하는 것.


다큐멘터리의 목적을 훌륭히 달성한 <코파 1971>은 여자 축구를 거부한 ‘영국’에서 절찬 상영중이다.


© 전주국제영화제


그래서 1971년, 비공식 여자 축구 월드컵의 우승 국가는 어디였냐구요? 

X월 X일 극장에서 확인해 보세요! 

를 외칠 수 있는 날이 오길 바라며.

Adios.



월드시네마 - <코파 1971> - 전주국제영화제 상영스케쥴


2024.05.02(목) 10:00 | 메가박스 전주객사 1관 (109)

2024.05.04(토) 20:30 | CGV전주고사 5관 (364) *GV

2024.05.06(월) 16:30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538)



씨네랩 에디터 Cammie

작가의 이전글 염혜란, 박찬욱 감독 신작 검토 중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