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Opellie Jun 16. 2017

전문성의 개념확장

전문성의 확장(Horizontal transition)과 심화(Vetic

어찌보면 개똥철학일 수도 있지만, 어찌 보면 새로운 관점과 새로운 시도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며 이런 저런 생각들을 정리하여 글로 남깁니다.


전문성을 소재로 몇 개의 글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방향성에 대한 변함은 없지만 그 모습의 구체성에 대한 고민은 사실 여전히 진행중에 있습니다. 관련하여 자료들을 찾아보면서 생각을 정리하면서 간단한 모델을 하나 그려봤습니다. 어찌 보면 이전에 직급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그렸던 직급모델과도 그 맥을 같이 하는 듯도 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HR에서 중요한 개념은 개인과 조직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모습을 그리는 것입니다. 이 관점에서 개인의 전문성은 기업이 바라는 '직무의 수행'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측면에서 개인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전문성을 전문성의 확장과 심화의 두 관점으로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개념정리를 위한 자료를 찾아보다가 몇몇 자료를 봅니다. 그리고 얼마 전 읽었던 '무엇이 성과를 이끄는가' 라는 책의 내용과 연결지어 전문성에 대해 조금 더 설명을 해보려 합니다.


우리는 대부분 자신의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길 희망합니다. 하지만 그 전문가가 어떤 모습인가?에 대해 우리는 늘 고민을 합니다. 출발점부터 생각해보면 우리의 시작점은 초보자novice에서 시작합니다. 기존의 직급체계에 관한 사고모형을 빌면 이 단계는 주로 배우는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일정 기간 지식과 기술, 경험을 확보하고 나면 독립적인 수행이 가능한 수준으로써의 Intermediate 단계로 이어집니다. 이 단계까지는 거의 대부분의 분야에서 유사한 형태가 될 듯 합니다. 물론 분야에 따라 배우는 시간의 상이함이 존재하긴 하겠지요. 그리고 이제 우리의 고민이 시작됩니다. 사실 우리는 전문가라는 단어를 이야기할 때 대부분 직무의 심화로서의 전문가를 이야기하게 됩니다. 물론 이는 중요하고 필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직무의 심화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한계가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환경의 불안정성이 증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Gegenfurtner의 아티클의 말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문성의 심화(vertical transitions)는 초보자에서 전문가로의 이동을 의미한다. 이는 주로 개인적인 지식 및 기술의 습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전문성은 일정한 법칙이나 규율이 세팅되어 있는 과업이나 상황에서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지식이나 스킬)의 차이점을 확인하는 관점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Vertical transitions relate to the development from novice to expert withina single domain. The focus is on individual skill acquisition. We argue that such a perspective is useful for analys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routine tasks or in situaations where rules are set.

본 의견에 따르면 안정적인 환경이 세팅된 경우 전문성의 심화는 적합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학제간연구interdisciplinary의 경우 이러한 안정성이 극히 낮아지게 될 겁니다. 여기에서 안정적 환경이란 해당 학문 분야에서의 나름 경험을 통해 정립된 체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관점의 전문성이 필요하게 되며 이를 전문성의 확장horizontal transition이라고 이야기해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확장된 전문성은 불안정한 환경에서 그 환경의 맥락을 이해함으로써 일종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작업을 함께 수행합니다.


이제 우리는 우리가 추구하는 전문성을 크게 두 경로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환경의 불안정성과 직무/개인의 불안정성에 대한 특성의 두 가지 축으로 나눠 이들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은 모형으로 그려볼 수 있을 듯합니다.

경영환경 및 직무/개인특성을 기준으로 바라본 전문성의 개념 by opellie

경영환경이라는 외부환경의 VUCA의 증가는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현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직무별 / 개인별 특성을 고려해본다면 직무의 성격에 따라 또한 개개인의 성향에 따라 보다 적합한 직무 및 직무에 대한 전문성의 커리어를 만들어볼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합니다.


*VUCA(무엇이 성과를 이끄는가. Neel Doshi, Lindsay McGregor, 2017)
Volatility 변동성 / Uncertainty 불확실성 / Complexity 복잡성 / Ambiguity 모호성


*참고 연구자료 Transitions of Expertise , Gegenfurtner Andreas, 2013


감사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도전하는 것은 왜 어려운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