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한별 Jan 24. 2016

구글 웹로그 분석

도서 정보

구글 웹로그 분석


평가 및 감상


추천 대상 : 구글 애널리틱스에 대해 1도 모르는 사람

추천 정도 : ★ ★ ★ (보통)

감상 : 구글 애널리틱스의 진짜 진짜 초심자가 볼만한 책. 고급 분석 기술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시간 낭비다. 그래도 아주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으니 한 번 읽어보고 실행해볼만한 건 바로 실행해보면 성과는 있을 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초심자를 위한 책이라는 것을 알았다면 안 읽었을 것이다.. 추천 정도도 추천하지 않음으로 하락할 듯. 중간중간 생략된 발췌가 많은데 정말 적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 생략한 것이다. 정말 정말 초심자라면 이 책을 읽고 아비나쉬 카우쉭의 웹데이터 분석을 읽으면 될 것 같다.




발췌


chapter 1. 구글 웹로그 분석으로 성과를 올리는 사이트를 만들자

01 액세스 분석이란 무엇인가


02 구글 웹로그 분석이란 무엇인가

액세스 분석 도구 : 서버 로그형, 패킷 캡쳐형, 웹 비콘형(구글 웹로그)

웹 비콘형 액세스 분석 도구 : 분석하고 싶은 페이지에 지정된 코드만 넣으면 바로 이용 가능. 도입이 간편하며 서버나 네트워크의 설정과 변경도 필요 없음. 

추적 코드(Tracking code)라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서버 내의 모든 페이지의 HTML 코드 내에 삽입해야 사용 가능


03 액세스 분석의 장점 1 : 사용자의 평가를 알 수 있다

사이트의 액세스 반응으로 부터 알아낸다

- 이탈률(반문자가 사이트 내를 보지 않은 채 다른 사이트로 떠나버리는 비율)과 세션상 페이지수(방문자가 한번 방문 시에 사이트 안에서 본 페이지 수)

- 사이트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좀 더 직접적으로 알기 쉽게 반영한 것

- 이탈률에서 사이트에 관한 평가를 알아낸다

- 세션당 페이지수를 통해 사이트에 대한 관심도를 알아낸다


04 액세스분석의 장점 2 : 중요한 키워드를 알 수 있다

왜 키워드가 중요한가

- 키워드는 사이트를 찾는 사용자와 검색된 사이트를 연결시켜주는 핵심적인 역할

사이트쪽에서도 키워드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

- 검색되는 사이트도 어떤 키워드로 사용자에게 발견되고 싶은지 염두에 두고 사이트를 만들 필요가 있다

키워드를 이해하면 보이는 대책은 두가지다

- 어떤 욕구(키워드)가 있는 사용자가 찾아왔는지, 각 사용자가 사이트에서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일목요연해짐

- 반응이 나쁜 키워드는 사이트를 욕구에 부응할 수 있게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줌


05 액세스 분석의 장점 3 : 다른 사이트와의 연관성을 알 수 있다

검색 엔진을 통하지 않은 방문에 주목하자

- etc  소셜미디어, viral

소셜 미디어를 통한 액세스가 왜 중요할까

- 많은 사람이 몽는 유명인의 계정에 한 번 노출되면 단숨에 많은 액세스가 집중됨

정보 확산에 주목하자


06 액세스 분석의 장점 4 : SEO에 도움이 된다

왜 SEO가 중요할까

- 검색엔진을 이용해서 정보를 찾는 사용자는 보통 검색결과에서 1페이지~3페이지 정도밖에 확인하지 않음

SEO는 초보자에게도 즐겁다

SEO에도 키워드는 빼놓을 수 없다


07 구글 웹로그 분석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

생략


08 구글 웹로그 분석의 사용 요령

가설과 검증은 구글 웹로그 분석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지름길이다

- “정보를 모으고 검증하여 개선에 활용한다”(웹로그 분석의 핵심)

- 우선 현재 상황을 제대로 파악한 후 결과가 나온 원인에 대해 가설을 세우는 습관을 들이는 것


최종 목표는 사이트에서 성과를 내는 것이다


키워드 결정 = 목표 계층 결정이다

- 어떤 키워드로 검색하는 사용자를 모으고 싶은가


액세스 분석 전에 키워드를 정하자

- 어느 키워드로 검색한 사람을 어느 페이지에 모으고 싶은지만이라도 상상해두자

- 검색 결과에 표시되는 경쟁사의 사이트의 제목이나 설명문을 유심히 보고 참고


chapter 2. 구글 웹로그 분석을 사이트에 설치하자

01 구글 웹로그 분석을 설치한다

1) 구글 웹로그 분석의 추적 코드를 발행한다

2) 분석하고 싶은 웹페이지에 추적 코드를 삽입한다

3) 소스 및 설치를 확인한다.

4) 관리자의 접근은 제외한다

5) 구글 웹마스터 도구와 연계한다

6) 구글 웹로그 분석으로 분석을 시작한다


추적 코드를 홈페이지에 삽입한다

- 추적 코드는 HTML 코드 안에 있는 </head> 태그 바로 앞에 붙여 넣는다

- 소스 코드를 추가한 후, 크롬에서는 페이지 소스보기로 확인할 수 있다

- 소스 코드를 확인 한 후 서버에 업로드한다


추적 코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의 대책

- 추적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02 구글 웹로그 분석의 메뉴를 파악한다

p.52 -57


03 기본 화면과 기본 조작을 확인한다

잠재고객 개요를 확인한다

-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정보가 집약된 화면


04 액세스와 세션

세션이란 ‘액세스’를 말한다


05 액세스 분석의 기본 측정 항목 표시

기본 측정 항목을 마스터하자

- 세션, 이탈률, 세션당 페이지수 가 중요하다

- 세션 : 액세스 자체

- 이탈률 : 액세스 했지만 바로 다른 사이트로 가버린 방문자의 비율

- 세션당 페이지 수 : 한 세션 당 몇 페이지나 보았는가


06 세그먼트로 세션 범위를 축소한다

세션과 세그먼트의 관계를 이해한다

- 세그먼트 : 지정한 조건으로 세션을 필터링한다


07 측정기준으로 세션을 분류하고 집계한다

측정기준이란 무엇인가

- 측정 기준 (Dimension) : 측정 항목을 집계하는 기준

- 측정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집계된 결과는 테이블(표) 형식으로 정리됨

- 측정 기준은 두 가지로 설정되며, 첫번째를 기본 측정 기준, 추가되는 기준을 두번째 측정 기준이라 부름


08 측정기준의 결과를 다시 분류하고 집계한다

두번째 측정기준이란 무엇인가

- 두번째 측정 기준을 사용하여 기본 측정 기준의 결과를 다시 분류하고 집계한다


기본 측정 기준과의 조합이 중요하다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는 두번째 측정 기준 활용 방법

- 두번째 측정 기준의 장점은 옵션을 목록으로 표시해줌


09 다양한 조건으로 테이블을 보는 법

기본 테이블의 예

- 데이터를 검증하고 싶다면 우선 보고서 화면 왼쪽 메뉴에서 확인하고 싶은 항목을 골라내는 작업부터 시작해야 함


복수의 세그먼트가 표시되었을 때


두번째 측정기준이 지정되었을 때


테이블에 표시되는 링크에 주목하자


조건을 조합하여 액세스를 분석한다

- 측정 기준이나 세그먼트를 지정하여 측정항목을 대조한 결과값을 읽어내는 작업을 통해 액세스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사이트 개선에 사용


10 분석 작업 전에 필요한 설정

브라우저에 애드온을 설치해서 자신의 액세스를 제외한다

- tools.google.com/dlpage/gaoptout/ 에서 다운로드


구글 웹로그 분석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한다


11 구글 웹마스터 도구와 연계한다

사이트의 문제점을 구글이 가르쳐 준다

- 구글 웹마스터 도구 : 사이트의 문제점이나 개선할 점을 구글이 알려주는 무료 서비스


12 구글 애드워즈와 연계한다

광고에 연동한 사이트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 광고가 클릭된 횟수는 물론이고 광고 노출 횟수나 사이트의 전환에 관한 데이터를 구글 웹로그 분석에서 확인할 수 있음


13 액세스 분석 목표를 설정한다

사이트에서 성과를 올리기 위한 필수 설정

- 판매량과 판매액을 설정하여 목표로 삼는 것은 사이트 개선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 그보다는 구매 직전에 보게 되는 상품 설명 페이지나 신청 방법 설평 체이지 등을 목표로 설정하는 편이 사용자의 반응을 보기 쉽고 구매직전까지 온 사용자의 등을 어떻게 떠밀면 좋을지 검토할 수 있다

- 페이지 조회수나 페이지에서 머무는 시간으로 달성하고 싶은 목표 수치를 설정하면, 사이트가 점점 나아지는 과정을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어 사이트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됨


사이트에서의 행동 자체를 목표로 설정한다

- 사이트 내에서 사용자가 머무는 시간이나 페이지 조회수 등을 목표로 설정하는 편이 사이트 개선에 도움이 된다


chapter 3. 트래픽을 분석해서 액세스 증가를 노린다

01 기본 측정 항목을 확인해서 사이트를 개선한다

방문한 사용자의 평가를 알고 싶다

- 이탈률과 세션당 페이지수로 확인한다


02 이탈률을 확인하고 개선한다

이탈률의 허용범위란 무엇인가

- 리스팅이나 기타 광고를 통해 유입된 경우에 이탈률이 조금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

-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자연 검색(SEO)만으로 액세스를 모으는 경우에는 45~55%, 광고를 이용하는 경우는 55~65%로 이탈률 목표를 정해보면 된다


이탈률을 개선하는 세 가지 방법

- 사용자가 바로 나가버리는 원인은 주로 다음의 세 가지 이유

개선 1 : 사이트의 콘텐츠와 맞지 않는 사용자만 모인다 -> 사이트의 키워드를 다시 고른다

개선 2: 사용자가 찾는 정보가 정말 없었다 -> 사이트와 콘텐츠를 충실하게 한다

개선 3 : 첫인상이 나빴다 -> 사이트 디자인을 개선한다


사이트의 키워드를 다시 고른다

- 검색 엔진에 키워드를 잘못 게시했을 가능성이 있다. 적절한 SEO가 시행되지 않았다는 말


첫인상을 개선한다

- 퍼스트 뷰가 잘못된 인상을 줄 시 이탈률이 높아진다

- 방문자는 3초 이내에 자신에게 필요한 사이트인지 아닌지 판단한다

- 경쟁 사이트와 다른 점을 분명하게 강조한다


** 이탈률이 높아야 하는 경우는 Q&A나 제품 설명서처럼 사용자의 고민을 해결하려고 준비한 사이트이다


03 세션당 페이지수를 확인하고 개선한다

세션당 페이지수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 이 수치가 크면 방문한 사용자가 흥미를 느끼고 있다는 것


세션당 페이지수를 조사하는 방법은 이탈률을 조사하는 방법과 같다


세션당 페이지수 개선이란 무엇인가

- 세션당 페이지수는 사용 편의성(Usability)에 크게 좌우되는 측정항목이다


방문자를 유도하는 장치를 정비한다

- 헤더 부분에 GNB를 준비하면 방문자가 정보를 찾기 쉬워진다


세션당 페이지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아이디어

- 다음 페이지 예고를 본문 페이지의 마지막에 넣는다


관련 페이지 링크를 만들어둔다


빵 부스러기 목록을 만든다

- 링크를 이용해 사이트의 최하위 계층부터 톱 페이지에 이르는 트리 구조를 차례로 표시한 것


04 평균 세션 시간을 개선한다

평균 세션 시간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 세션당 페이지 수와 마찬가지로 평균 세션 시간도 긴 편이 바람직


세션 시간(머문 시간)은 어떻게 개선하는가

개선 1: 사이트의 내용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다

-> 텍스트와 이미지로 이해하기 쉽게 전달한다

개선 2 : 텍스트와 이미지만으로는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다

-> 동영상을 사용하여 전달하고 싶은 내용을 설명한다


05 전환율을 확인하고 개선한다

전환율(구매전환율)은 중요한 확인 포인트다


전환율은 ‘목표’ 설정이 중요하다

- 전환율을 높이는 것은 액세스 수를 늘리는 것 이상으로 중요

- 우선 전환율을 높이고 나서 방문자를 늘리는 것이 현명한 접근 방법


광고를 사용할 경우, 전환율은 꼭 확인해야 한다

전환율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개선 1 : 방문한 사용자에게 필요한 상품이나 서비스가 아니었다

-> 콘텐츠가 대상 사용자와 맞는가?

사용자가 방문하기 위해서 사용한 키워드가 최초로 본 페이지와 일치한ㄴ지가 중요

개선 2 : 상품이나 서비스가 유익했지만 사이트의 이미지가 나빴다

-> 활기한 느낌을 연출한다

개선 3 : 상품에 대한 신뢰감을 줄 수 없었다

-> 고객의 소리를 싣는다

개선 4 : 사품이나 서비스 구매를 뒷받침 하지 못했다

-> 한정성을 내세운다


06 모바일 사용자의 비율을 확인한다

모바일 단말기의 접속 비율을 확인한다

단말기별 이탈률을 화인한다

스마트폰으로 표시를 확인한다

- FireMobileSimulator for Google Chrome : 스마트폰에서의 화면을 확인하는 방법


Chapter 4. 키워드를 분석하여 구매전환율을 높이자

01 검색 키워드를 확인한다

사용자가 사이트를 방문한 이유를 확인한다

- 사용자가 무엇을 찾아 사이트에 왔는가?

- 검색 키워드를 확인하면 사용자의 고민이나 욕구를 알 수 있다


SEO에 도움을 준다

구매전환율을 높이는 ‘보물 키워드’를 발견한다

- 키워드를 알면 해당 키워드를 중심으로 SEO 대책을 세우거나 사이트를 구성하면 되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 키워드마다 전환율, 목표 완료 수, 목표 금액을 설정했다면 획득할 수 있는 합계(전환 수 x 각 목표에 할당한 값)를 확인할 수 있음


02 액세스된 키워드를 확인한다

키워드 확인은 ‘자연 키워드’를 사용한다

not provided란 무엇인가

- 구글에 로그인 되어 있어 검색이 암호화된 상태(SSL)로 그 상태에서 이루어진 검색 키워드는 액세스 분석 도구로 읽어올 수 없는 것이 원인

- 구글 웹로그 분석을 구글 애드워즈와 연계하여 이용하는 방법이 있음 p.139

특정 페이지에 어떤 키워드로 액세스를 했는지 확인한다

- 사이트 내의 각 페이지가 어떤 키워드로 액세스됐는지 확인해보자

구글 애드워즈로 not provide의 키워드를 확인해보자

- 구글 애드워즈에 로그인하여 화면 상단에 있는 ‘도구’를 클릭하여 ‘Google 웹로그 분석’을 선택하면 같은 계정에서 이용되는 Google 웹로그 분석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연계해줌


사이트의 핵심 키워드가 액세스를 유발하는가

- 핵심 키워드에서 액세스가 발생하는지 꼭 확인 필요

- 사이트 키워드가 부적절한 때는 아마 액세스가 일어나도 순식간에 이탈할 것

- 사용자가 질문할 키워드를 입력해서 표시된 결과에 여러분의 사이트가 없다면, 이는 키워드가 잘못되었음을 의미

- 검색 결과로 표시는 됐지만 검색 결과 페이지의 상위에 표시되지 않다면 SEO를 통해 조금이라도 상위에 표시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03 보물 키워드를 확인한다

보물 키워드란 무엇인가

- 보물 키워드란 계약 성공으로 연결되면서도 또한 경쟁이 적은 키워드를 말함

not set이 표시되는 이유

- 검색 결과 이외의 페이지에 표시된 광고를 클릭했거나 다른 포털의 프로모션 광고를 통해 액세스한 경우 표시됨


전환으로 이어진 키워드의 검색 순위를 확인한다

- 전환으로 이어진 키워드를 검색할 때는 크롬 시크릿 모드를 이용한다


04 보물 키워드를 증식시킨다

유사 속성 사용자를 포착한다

- 검색어는 보통 ‘명사+욕구’로 이루어짐


chapter 5. 소스를 분석하여 구매전환율을 높이자

01 검색엔진 외의 경로를 확인한다

소스란 무엇인가

- 여러분의 사이트를 방문하기 직전에 사용자가 액세스한 사이트


미디어의 효과를 측정한다

- 채널 보고서와 소셜 보고서를 검토하면 어느 미디어가 액세스 증가와 전환에 기여하는지 파악 

- 또한 시간대를 함께 확인하면 게시물을 언제 올려야 효과적인지 그 시간대도 알 수 있음


인터넷 내의 게시물을 확인할 수 있다

- 외부 사이트의 링크를 거쳐 들어온 액세스를 확인하면 소문의 내용을 파악할 수도 있다


02 소스를 확인한다

소스를 확인하려면 ‘획득’ 카테고리를 이용한다

- 개요, 채널 화면이 중요

- 개요 : 소스의 측정항목이 되는 채널, 소스/미디어, 소스를 큰 틀에서 확인 가능

- 채널 : 자연 검색 경유, 리스팅 광고 경유, 소셜 미디어, 외부 사이트로부터의 참조 등 액세스를 종류별로 확인


소스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 브라우저에 직접 URL을 입력하여 찾아오거나 이메일에 기재된 URL로 접속했을 때 등

- 메일 매거진의 링크 등 자신이 게재 URL을 컨트롤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어떤 링크를 클릭했는지 알 수 있게 고유 매개변수를 붙여 효과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대응


소스에 치우침은 없는가

- 여러 채널에서 골고루 방문하는 것이 이상적

- 자기 사이트의 내용 일부를 소스 매체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는 데 주력


03 우량 소스를 확인한다

목표 페이지를 본 사용자가 방문한 사이트를 조사한다

소셜 미디어의 액세스가 집중되는 시간대를 찾는다

- 페이스북 등 획득 카테고리의 소셜 미디어에서 일정한 액세스가 들어오는 경우에는 액세스가 많은 시간대를 파악해두자


우량 소스 사이트의 속성에 맞춘 콘텐츠를 검토한다

- 콘텐츠에 변화(비슷한 내용이 아님)를 줄 수 있으면 좀 더 링크되기 쉬운 페이지가 될 가능성이 있다. 링크해준 사이트의 특성을 파악하면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떠오름


외부에서 링크되기 쉬운 콘텐츠는 특징이 있다

비교나 통합 기사, 노하우 페이지, 자료 모음 사이트,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


chpater 6. SEO 개선/효과를 측정해보자

01 구글 웹로그 분석이 SEO에 도움이 되는 이유

SEO는 검색결과를 상위에 노출하여 액세스를 늘리는 수단이다

- 사이트가 상위에 노출되면 기회가 늘어난다. 검색 순위는 클릭수의 영향을 받는다

구글 웹로그를 통해 SEO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 방문자 수와 전환 수를 사이트 전체 페이지, 대상 페이지별로 각각 확인하면 직접적인 효과는 물론이고 간접적인 효과도 파악할 수 있다

SEO 대책과 리스팅 광고의 차이는 무엇인가

- 검색 엔진에 입력한 검색어와 페이지 내에 있는 키워드를 대조하여 판단 되므로, 목표 사용자가 입력할 것으로 예상되는 키워드와 그에 어울리는 콘텐츠(내용)가 페이지에 적혀 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때문에 SEO를 시행할 경우에는 계획한 키워드가 페이지 안에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목표 키워드를 페이지 안에 집어넣는 작업


02 방문을 늘리고 싶은 키워드를 확인한다

사이트의 방문을 늘리려면 인기 있는 키워드의 선택이 중요하다

- 전환이 발생한 키워드를 뽑아본다

- 전환이 발생한 키워드의 연관 키워드를 뽑아본다


검색 사이트에서 제안한 키워드에서 찾는다

- 인기 검색어가 표시되며, 표시된 목록에서 검색 키워드를 고르는 사용자가 많으므로 이는 유력한 키워드 후보가 된다


검색 사이트의 관련 검색어에서 찾는다

-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을 하면 ‘관련 검색’ 등에 연관된 키워드가 표시된다. 이 영역에도 많이 검색된 키워드가 표시됨


스마트폰에서도 제안된 검색어를 확인하자

- 스마트폰에서도 확인해두자 검색 결과가 다르므로


도구를 사용해 키워드를 수집한다

- 구글 애드워즈 키워드 플래터 활용

- 키워드 플래너로 조사한 키워드는 실제로 검색해보자. 그리고 그때 상위에 표시되는 사이트가 경쟁 사이트가 되므로, 경쟁 사이트를 확인하는 것도 잊지 말자

- good keyword나 google 트랜드도 키워드 조사 도구로 이용 가능


 goodkeyword를 사용하여 키워드 수집

- 단독 키워드 입력 시 그 키워드와 관련된 복합 키워드를 수집해줌


유투브에서 검색 키워드를 발견한다


03 수집한 키워드를 SEO 내부 대책에 활용한다

SEO 내부 대책이란 무엇인가

- SEO 내부 대책이란 사이트를 조정하여 원하는 키워드로 검색결과의 상위 노출을 노리는 내부 최적화 대책이다

- 1페이지 1키워드로 상위 표시를 노리는 것이 최근 SEO의 흐름이다

- 수집한 키워드(복합 키워드) 별로 페이지가 필요하고, 결국 자산 증가법과 자산 유지법에 다른 페이지를 준비해야 한다 사용자마다 원하는 답이 다르므로 페이지를 나누는 것이 당연


타이틀 태그에 검색되고 싶은 키워드를 포함한다

- 태그에 들어가는 글자 수는 한글 기준으로 32자 이내로 하자

- 그 이상을 넘어가면 … 처리 됨

- 타이틀 태그에 포함되는 키워드는 한 종류로 두번까지 한다


페이지의 보충 정보를 담는 메타 태그를 설정한다

- <meta name=“description” content=“이부분에 페이지 개요 서술”/>

- 스티펫은 타이틀처럼 검색결과에 영향을 준다

- 글자수는 60-100자 정도로 준비한다


페이지의 콘텐츠도 충실해야 한다

- 500~1000자 정도 필요

- 주제를 좁혀서 글을 써야 검색 엔진에서 평가하기 쉽다

- 3~4% 정도로 키워드를 출현시키는 것이 좋다


04 수집한 키워드를 SEO 외부 대책에 활용한다

SEO 외부 대책이란 무엇인가

- 어떻게 다른 사이트에서 내 사이트를 링크하게 하는가


위성 사이트를 활용하자

- 홍보할 사이트와 유사한 카테고리의 작은 사이트를 여러 개 만들어 그 사이트에 SEO를 하고 싶은 키워드로 링크한다

- 위성 사이트의 질도 관리해야 한다

- 위성 사이트를 거치면 사용자는 유익한 소개라고 생각한다


앵커 텍스트란 무엇인가

- 링크가 설정된 문자열

- 앵커 텍스트에 상위에 노출하고 싶은 키워드를 노출하면 SEO 효과가 올라간다 


05 SEO 효과를 구글 웹로그 분석으로 검증한다

대상 키워드의 액세스 수로 SEO 효과를 검증한다

- SEO 시행 전후로 이탈률 등 확인하여 키워드와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과 사이트 사이에서 불일치가 없었는지 검증


chapter 7. 구글 웹로그 분석을 더욱 편리하게 활용하자

01 내 대시보드를 설정하여 확인 작업 시간을 단축한다

내 대쉬보드가 도움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구글 웹로그 분석 화면에 표시되는 위젯이라 불리는 복수의 그래프를 한 화면에서 구성

- 단 세그먼트로 필터링한 그래프나 두번째 측정 기준으로 사용자화한 테이블은 표시할 수 없으며 미리 지정된 측정 항목과 조합한 테이블과 그래프가 표시됨

- 바로가기를 사용할 정도는 아니지만 항상 확인하고 싶은 기본적인 정보를 모아서 표시

- 측정 항목과 측정 기준을 조합한 자세한 분석은 바로가기를 이용하고 간단한 정보 목록은 내 대시보드로 관리하는 것이 사용법의 핵심


위젯을 사용자화 한다

- 내 대시보드에 저장한 위젯은 측정항목과 측정 기준의 조합으로 사용자화할 수 있다


위젯의 정보를 한꺼번에 변경한다

- 내 대시보드에서 위젯의 정보를 모아서 한꺼번에 변경할 수 있다


04 지역별 사용자 수를 파악한다

지역 비지니스라면 이 측정 항목은 반드시 확인하자

- 지역별로 할당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가져온다. 이것만으로 지역을 완전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느 지역의 사용자가 찾아오는지 확인한다


05 이메일 홍보 효과를 측정한다

고유 매개변수를 삽입해 효과를 측정한다

- 맞춤 캠페인을 설정하여 소스 트래픽에 관한 정보를 더 많이 수집한다

- 맞춤 캠페인을 설정하려면 구글의 ‘URL 작성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06 급격한 액세스 변동을 확인하자

지능형 이벤트를 활용한다

- 음성으로 알려주는 게 아니라서 화면을 확인하지 않는 한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07 이벤트 추적으로 특정 부분의 클릭 수를 파악한다

이벤트 추적으로 할 수 있는 일

외부 사이트로 가는 링크를 클릭하거나 페이지 이동을 하지 않는 PDF 다운로드, 동영상 재생 등은 이동 후의 URL을 가져올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행동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벤트 추적 설정과 확인 방법

- ex. <a href=“sample01.pdf” onclick=“ga(‘send', ‘event’,’pdf’, ‘download’, ‘pdf-type-1’,1);”>링크 내용</a>

08 보여주고 싶은 페이지로 유도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사용자 흐름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 사용자의 이동을 흐름도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

- 노드와 경로로 구성

- 노드란 페이지와 디렉터리로 나타내고, 경로는 노드에서 노드로 가는 경로를 나타낸다. 노드와 경로에 크기는 트래픽의 양과 연동되므로 사용자의 이동을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


인페이지 웹로그 분석으로 사용자의 이용 상황을 확인

- 인페이지 웹로그 분석에서는 페이지 내에 같은 링크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기본적으로는 복수의 링크에 같은 수치가 표시된다. 하지만 향상된 링크 기여 사용을 설정하면 정보를 따로따로 확인할 수 있다


09 계속 찾아오게 한다

재방문하는 고객 확보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1:5의 법칙 : 신규 고객에게 드는 판매 비용은 기존 고객의 5배

- 5:25의 법칙 : 고객 이탈률 5% 줄이면 이익이 25% 이상 개선됨


신규 방문과 재방문 비율을 본다

- 게재빈도 및 방문 빈도 보고서에서 재방문 횟수와 각 사용자의 페이지뷰 수를 확인

- 재방문 수가 많으면 단골을 획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 재방문 횟수가 적으면 고객 대상 선정 실패나 사이트 자체에 문제가 있음


재방문을 늘리는 아이디어는 무엇인가

- 망라성 : 그 사이트만 보면 OO에 관한 정보는 확실하게 알 수 있다

- 계속성 : 정기적으로 새로운 정보가 업데이트 된다는 계속성


사용자가 기뻐할 콘텐츠를 준비한다

- 뉴스나 정보 채널로부터 힌트를 얻어 콘텐츠를 만든다, 또한 질문 사이트나 게시판, 블로그 등 일반 사용자의 고민이나 놀라움에 귀를 기울이는 것도 중요


매거진의 이전글 About Face 3.0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