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code green square Mar 23. 2018

미세먼지 Q&A 팩트체크 2편

그냥 이거 보면 된다

미세먼지가 건강에 정말정말정말진짜 안 좋고, 

문제가 심각한데 너무 안이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굴뚝에 코 대고 있는 격인데도 말이죠. 

그래서 이를 보다못해 미세먼지 시리즈를 시작했습니다. 


by. 인류가 깨끗한 세상에서 삶을 온전이 즐길수 있게끔 노력하는 사람들


미세먼지 시리즈 부록 1편: 미세먼지 Q&A 팩트체크 1편 

소중한 사람이 알고, 생각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공유해주세요. 




2018년 3월 21일, 

봄 소식이 들리는가 싶더니, 

눈비가 내렸다. 

그래도 덕분에 공기가 깨끗했다. 


아니, 깨끗한가 싶더라니 하루도 안되어 

2018년 3월 22일, 
2018년 3월 22일 오후 9시 즈음 대기 상태



이렇게 바로 안 좋아졌다. 
청계천에 조깅하려 했는데,
내 의도완 상관 없이 기각 되었다. 




매년 해가 지날수록 미세먼지는 심각해지고, 그에 따라 사람들의 관심은 높아졌다. 

하지만 말하는 사람마다 말이 다르고, 헷갈리는 부분도 많다. 

그래서 온라인 상에선 갑론을박 말이 많다. 


도대체 누구의 말이 맞는 걸까? 

오늘, “사람들이 말하는 미세먼지”에서 논란이 된 몇가지를 

팩트체크 

해보고자 한다. 



이름하여 미세먼지 스페셜, 미세먼지 팩트체크편이다. 



오늘의 이야기는 저번 미세먼지 팩트체크 1탄에 이은 2탄, 국내편이다. 저번편에서는 중국과 관련해서 논란이 있었던 내용을 다뤘다면, 이번에는 국내에서의 이야기이다.


Q3. 

왜 한파 때 미세먼지가 덜할까?




A3. 

삼한사미 

이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3일은 춥고 4일은 미세먼지’

라는 뜻을 가진 이 단어는 요즘 지겹도록 찾아오는 미세먼지로 인해 생긴 신조어이다.



한파는 북쪽 시베리아에 강한 고기압, 동해 바다에는 저기압(이하, 서고동저) 의 겨울형 기압배치 하에 있을 때, 북서계절풍이 강하게 불어오면서 추운 날씨가 지속되는 현상이다. 


하지만 요즘 매해를 거듭할수록 한파가 더욱 극심해졌는데, 그 이유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북극의 얼음이 녹아 북극한기를 막아주는 ‘벽’의 역할을 했던 제트기류가 무너지면서 찬공기가 내려왔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북쪽의 대륙고기압이 발달하면 차갑고 강력한 북풍이 우리나라에 오면서 초강력 한파가 찾아오는 것이다.


초강력 한파 원인-연합뉴스 기사



미세먼지는 대기흐름에 민감하다. 

상황 1: 대기가 불안정하고 풍속이 강하면 미세먼지의 확산속도가 빨라진다. 그래서 정체되지 않고 날아간다. 

상황 2: 반대로 바람이 약하고 대기가 안정해지면 정체기류가 형성되어 미세먼지가 집중적으로 쌓이게 된다. 

따라서 바람이 강한 초강력 한파 때에는 미세먼지가 정체되지 못해 공기가 깨끗한 것이고, 

다시 한파가 지나면 미세먼지가 쌓여 탁한 공기가 되는 것이다.




Q4. 

과연 경유차가 미세먼지 주요원인 일까?



A4.

최근 미세먼지 저감정책으로 실시한 출퇴근시간 대중교통 요금면제와 노후 경유차 폐차 및 매연기준 강화. 이 정책에 대한 정부와 시민의 입장이 반대로 갈려 논쟁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정부 입장은 경유차가 국내 미세먼지 주요인이라는 것이고, 그에 대응하는 시민들의 입장은 미세먼지의 주원인은 중국이며 국내 경유차가 발생시키는 미세먼지 배출량이 미미하다는 것이다. 


과연 누구의 말이 맞는 걸까? 

먼저 중국이 원인 대부분이라는 의견에서는, 미세먼지 팩트체크 1탄에서 말한 것처럼 겨울, 봄시즌 경우 중국으로부터 온 미세먼지가 80% 차지한다. 하지만 여름철 경우, 남동풍으로 인해 국내 요인이 중국보다 더 많이 차지한다. 이는 이미 글 여러편을 통해 전달했었다. 


그렇다면 국내 원인요소에서 경유차가 상당한 부분을 차지할까?

위 사진은 2014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발표한 국내 미세먼지 원인통계이다. 이 자료를 따르면 가장 많은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요인은 제조업이다. 정부에서 시행한 정책이 해당하는 자동차는 11.9% 차지한다.  이렇게 보면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하다 느낄 것이며, 자동차 전체가 11%이면 애당초 비중이 낮은 경유차는 더더욱 미미하다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2013년 환경부에서 실시한 전국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조사결과에 따르면 자동차 미세먼지는 대부분 경유차에서 나온다. 각 차종이 차지하는 미세먼지 비중은 화물차가 69.4%, RV차량 22.1%, 승합차 4.9%, 버스 2.2%였다. 버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차량이 디젤엔진이 주를 이루는 차종이다.


 또한 배출량에서 봤을 때, 1차 미세먼지 배출량에선 경유와 LPG, 휘발류의 차이는 미미했지만 2차 미세먼지를 발생시키는 질소산화물은 경유가 LPG보다 20배 넘게 배출했다. 게다가 비도로 이동원에서도 경유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이점까지 합쳐진다면 무시할 수 없는 수치이다. 




-3월 7일 중국과 한국의 미세먼지 AQI를 나타낸 위성사진.


이번 이야기를 마지막으로 미세먼지 파헤치기와 스페셜이 끝이 난다. 하지만 여러분의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과 주위는 끊기면 안 될 것이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미세먼지를 안이하게 생각하여 신경쓰지 않고 생활하는 것은 굴뚝에 코를 박고 사는 것과 똑같다. 





나에게 소중한 사람들에게 전하기 위해 미세먼지 시리즈를 시작했다. 


주변에 소중한 사람, 지켜주고 싶은 사람, 여러분에게 의미가 있는 사람. 이런 사람들을 지키고 싶지 않은가? 

나 역시 그렇다. 

그런데 내 소중한 사람들은 미세먼지에 대해 너무 안이하게 생각하고, 무시하고 살았다. 

내 소중한 사람들이 아프지 않길 바랬다. 

미세먼지에 대해 잘 모른다면 그로 인한 피해를 고스란히 받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미세먼지의 피해가 어떻게 되고, 미세먼지는 어디서, 어떻게 생성되는지 알고 있다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관심과 주위가 스스로를 지키는 훌륭한 방패가 될 것이다. 그리고 스스로를 지킴과 동시에 주변 사람들도 아낄 수 있다.



다시 한 번 질문하며 이 미세먼지 시리즈를 끝마치려 한다. 

주변에 소중한 사람, 지켜주고 싶은 사람, 여러분에게 의미가 있는 사람. 이런 사람들을 지키고 싶지 않은가? 


그렇다면 스스로만 알고 있는 걸 넘어서 여러분 각자가 생각하는 소중한 사람들에게 이 글을 전하길 바란다.




다른 미세먼지 시리즈 글 보러 가기

1. 미세먼지 피해: 미세먼지가 얼마나 우리 몸에 해로운가? 
https://brunch.co.kr/@supxget/12

2. 미세먼지 원인: 미세먼지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https://brunch.co.kr/@supxget/13

3. 중국 미세먼지 현황: 말로만 듣던 대륙의 미세먼지 스케일
https://brunch.co.kr/@supxget/14

4. 중국 미세먼지가 심각한 이유: 우리나라로 날아오는 중국은 왜? 
https://brunch.co.kr/@supxget/15

5. 말 많은 한국 미세먼지 원인: 중국에서? 한국에서? 중국편
https://brunch.co.kr/@supxget/16

6. 말 많은 한국 미세먼지 원인: 중국에서? 한국에서? 한국편
https://brunch.co.kr/@supxget/17

7. 미세먼지 Q&A with 팩트체크 1편
https://brunch.co.kr/@supxget/18

8. 미세먼지 Q&A with 팩트체크 2편
https://brunch.co.kr/@supxget/19


세계의 다양한 녹색 기업/스타트업들을 만날 수 있는 다른 방법.

*G.E.T.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LeadersofGreenSociety/

매거진의 이전글 미세먼지 Q&A 팩트체크 1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