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2010)
손자 '욱이 입에 밥 들어가는 것'이 제일 행복한 할머니 미자(윤정희)는 66세의 나이에도 순수함과 아름다움을 잃지 않은 사람이다. 미자는 시 한 편 쓰는 것이 소원이다. 접수 마감이 지난 김용탁 시인의 문학강좌를 간곡히 부탁해 듣게 된 후로 미자의 관심은 온통 시에 쏠려있다. 시상을 놓치지 않기 위해 틈틈이 메모하는 것도 잊지 않는다.
병원에서 희진이라는 아이의 자살 소식을 듣고, 희진의 자살과 종욱(이다윗)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안 미자의 마음에는 낯설고 격렬한 감정들이 차오른다. 미자는 희진이가 걸었던 길을 걸으며 시를 완성하게 된다.
한 편의 시에 대한 긴 해설과도 같은 이 영화는 시와 시인이 탄생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시의 출발은 '잘 보는 것'이다. 시인은 학생들에게 '사과를 진짜로 본 적이 있는지' 묻는다. 조명 아래에서 살펴도 보고, 향도 맡아보고, 한 입 베어 물어도 보고 즉, 온전히 느껴 본 적이 있는지 묻는다. 진짜로 보아야 느껴지는 것이 있고, 그것을 종이에 옮겨내면 그것이 바로 '시'다. 미자는 수업 이후로 일상의 모든 것을 진짜로 보려고 애쓴다. 사과를, 설거지통을, 꽃과 나무를, 손자 종욱이를 본다. 미자가 '꽃을 좋아하고 이상한 소리도 많이 한다'며 시인의 기질이 있다고 말하지만 시상은 도통 찾아오지 않는다.
미자는 아름다움을 찾아 시로 담으려 한다. 하지만 아름다움만으로 시를 완성할 수는 없다. 수강생들이 말하는 '내 인생의 아름다웠던 순간'에는 모두 슬픔이 담겨 있다. 다시는 볼 수 없는 사람과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처럼 아름다움과 괴로움은 함께 한다.
괴로움도 참 아름다워요
꽃이 아름다운 이유는 시들기 때문이다. 아름답게 떨어지는 백일홍이, 자신의 몸을 내던져 다음 생을 준비하는 살구가 아름다운 이유를 미자는 차츰 제대로 보게 된다. 미자의 노트에는 꽃의 시들음이 살구의 떨어짐이 차곡히 쌓여간다. 상실과 고통, 괴로움이 쌓여간다. 희진이의 길은 고통의 길이지만 미자는 그 길에서 언제나 아름다움과 사랑을 발견한다. 희진이의 죽음이 미자의 마음 한편에 심은 고통의 씨앗은 그렇게 시로 움트기 시작한다.
미자는 자신의 죄를 똑바로 보지 않는 종욱에게 마주할 기회를 준다. 그것이 미자의 사랑이다. 다른 아이들의 아버지가 아이의 장래와 인생을 위해 죄를 덮으려 할 때 미자는 종욱이가 제대로 보기를 바란다. 명과 암을 보게 된 미자가 희진에게 바친 시와 종욱에게 치르게 한 죗값은 윤리적 판단을 넘어서 미학적인 선택이 된다.
미자는 희진이의 죽음과 손자의 죄를 겪어내며 시인이 되었다. 영화는 한 편의 시가, 한 명의 시인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다. 그 과정은 슬픔과 괴로움 그리고 찬란한 아름다움으로 가득 차 있다.
희진은 순결을 상징하는 성인, 아네스의 이름으로 불린다. 아네스의 위령미사를 본 후로 미자는 자기도 모르는 새에 희진이의 길을 따라 걷는다. 학교의 과학 실습실과 몸을 던졌을 강가의 다리, 가족과 함께 살았던 집과 엄마가 일하는 밭을 미자의 시선으로 본다. 관객은 미자를 따라 걸으며 보이지 않는 희진의 영혼을 계속해서 떠올리며 애도하게 된다.
다리 위에서 떨어진 하얀 모자는 헌사하는 꽃처럼 떠내려가고, 미자의 노트에 떨어지는 빗방울은 기도문이 되어 희진의 고통을 어루만진다. 미자는 자신이 무엇을 쓰게 될지 모른 채 걸었지만 그러는 동안에도 시는 그의 안에서 움트고 있었다.
희진은 미자의 시 『아네스의 노래』를 통해 우리에게 말한다. 미자의 목소리가 한 번도 들은 적 없었던 희진의 목소리가 될 때 학교와 집을 거쳐 강으로 향하는 1인칭의 카메라에서 관객은 희진이의 모습을 선명히 보게 된다. 영화는 가해자의 '왜?'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다만 희진의 마지막을 정성 들여 애도하고 배웅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