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코두 codu Oct 07. 2021

우리가 나눌 수 있는 최소한의 따뜻함

영화 <혼자 사는 사람들>(2021) 리뷰



무심한 개인주의자. 진아(공승연)를 한마디로 표현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24시간 텔레비전이 켜져 있는 집에서 나오면 곧바로 핸드폰으로 동영상을 틀고 이어폰을 꽂는다. 카드회사 콜센터 상담원인 진아는 일터에서도 헤드셋을 끼고 있다. 동영상을 보며 혼자 점심을 먹고, 업무 외에 누구와도 대화를 나누지 않는다. 유일한 가족인 아버지 진섭과의 통화도 용건만 묻는다. 이런 진아에게 신입사원 수진(정다은)을 가르치는 일은 기운이 배로 드는 불편한 업무다. 진아의 생활 방식이 낯설지 않은 이유는 우리 일상 속의 끊임없는 음성정보에 둘러싸여 사람에게 무심한 장면들과 겹치기 때문이다.



혼밥, 혼영 등 온갖 활동에 '혼자'라는 말을 붙이는 것도 이제는 무색해졌다. 혼자는 특별한 무엇이 아닌 자연스러운 모습이 됐다. 혼자 살아가는 1인 가구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고, 주변만 둘러보아도 혼자 사는 이들은 얼마든지 있다. 다만 그들의 생활이 어떤지 정말 알고 있는 사람은 얼마나 있을까.



영화 <혼자 사는 사람들> 속 독신생활자들의 생활 방식은 저마다 다르다. 지난달 아내와 사별한 진섭, 외로움에 발버둥 치고 있는 옆집 청년, 춘천에 가족과 친구들을 둔 채 서울로 올라온 수진, 결혼을 염두에 두고 있는 성훈. 같은 1인 가구지만 삶에 대한 태도도 삶을 지탱하는 힘도 모두 다르다.



삶을 지탱할 힘을 잃고 사라져 버린 옆집 청년은 히키코모리, 고독사와 같은 사회적 문제처럼 제시된다. 우리는 바로 옆집의 삶도 알지 못하는데 사회가 해결해 줄 수 있을까? 사회 속에서 고립되어 외로움을 견디고 있는 사람이 그만은 아니다. "인사라도 해주"기를 바랐으나 자기만의 장벽 안에 자신을 고립시키는 사람과는 연결될 수 없다. 옆집 남자가 만들어낸 커다란 진동은 진아에게 전달되었지만 진아는 놓았던 숟가락을 무심하게 다시 들어 올릴 뿐이다.



타인에게 무심하듯 스스로에게도 무심하다. 지독히도 효율적으로 체계화된 진아의 하루는 편의점 도시락을 데워 먹고 텔레비전 소리와 함께 잠드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먹는 것, 입는 것 모두 편리함과 효율성이 우선이다. "전 혼자가 편해요." 편의를 택하고 그가 버린 것은 무엇일까.



진아에게 편한 것은 실제 사람이 아니라 전화기 너머, 화면 너머의 사람들뿐이다. 우리는 타인과 거리를 두기 위해 '나를 건드리지 말아 달라'는 표시로 귀를 막는다. 그럼에도 우리는 타인의 존재를 너무나 온몸으로 느끼는 사람들인 것이다.  사실 진아에게 불편한 것은 사람 자체가 아니라 가까운 사람들의 이별과 상실이다. 아픈 엄마를 걱정하며 홈캠으로 살피는 진아의 원거리적 염려는 홀연히 집을 떠난 아빠 진섭에 대한 원망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진아가 느낀 커다란 진동과 악취는 타인의 존재감 그 자체다. 시답지 않은 말을 걸던 그 별것 아닌 옆집 남자의 존재를 온 감각으로 느낀 것이다. 우리는 어쩔 수 없이 타인이 영향력 아래에 놓일 만큼 좁아져 버린 사회에서 조금이라도 서로에게 무심해지기 위해 발버둥 치고 있다.



진아의 존재는 아슬아슬하게 유지되고 있다. 무엇이 그를 살게 하는지 의아할 정도로 삶의 이유를 찾아볼 수 없다. 진아의 일상은 메뉴얼대로 작동한다. 아내를 잃은 진섭은 교회에도 나가고 사람들과 교류하며 진아에게도 계속 연락을 시도한다. 진섭이 추구하는 삶에는 주변 사람들이, 그리고 진아가 있다. 하지만 상속 포기 각서까지 해치워 버리듯 도장을 찍은 진아에게 사람은 해결해야 할 문제에 가깝다. 자신을 지키면서 함께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혼자만의 시간과 공간은 저마다 다른 모양과 넓이를 가지고 있다.



혼자 사는 이들에게 필요한 건 어설픈 오지랖이 아니다. <혼자 사는 사람들>은 사회가 이 문제를 알아주고 해결해 주기를 바란다기보다 아파트 한 층 정도의 마음이 느슨하게 연결되기를 바란다. 그래서 감독이 '우리 이 정도는 하고 살아요' 혹은 '이 정도만 하고 살아요'라고 말하는 건 제대로 된 '인사'다. "인사라도 해주지"라는 옆집 청년의 말처럼 어쩌면 '안녕'을 묻는 한 마디가 말 그대로 사람을 살릴 수도 죽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진아는 수진에게 "제대로 된 작별인사"를 건넨다. 이것이 우리가 타인에게 건넬 수 있고, 받고 싶은 최소한의 따뜻함이다. 성훈이 죽은 이를 위해 올리는 제사 역시 제대로 된 작별인사다. 인사는 타인과의 첫 접촉이자 마지막 정리다. 인사를 통해 우리가 된 '너'와 '나'는 인사를 통해 다시 혼자가 될 수 있다. 어렵게 건네진 작별인사는 마침내 텔레비전의 전원이 꺼진 것처럼 낯선 고요와 평화의 세계로 진아를 이끈다.



혼자 잘 살기 위해서는 남들과 잘 지내야 한다. 잘 지낸다는 모호한 말 안에는 타인과 나의 적당한 거리감을 안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진아가 아빠에게 통보한 "이 정도"의 관계는 중요하다. 그것이 진아가 정한 당신과 연결되는 공간과 시간이다. "이 정도"면 우리는 잘 살 수 있다는 메시지다.

매거진의 이전글 불안과 혼란을 지나 어쩌면 희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