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르덴 형제 감독의 <토리와 로키타>(2023)
이 리뷰는 씨네랩의 초청을 받아 시사회 관람 후 작성되었습니다.
언제나 자신을 증명해야 하는 삶은 얼마나 고달픈가. 토리(파블로 실스)는 도로를 위험하게 건넜다는 이유로 경찰에게 주의를 듣는다. 여기까지는 어린이를 염려하는 경찰의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 문제는 그다음이다. 경찰관은 토리와 로키타(졸리 음분두)에게 신분증을 요구한다. 아이들은 위축된 상태로 신분을 증명하기 위한 카드와 종이를 내보인다. 아프리카에서 함께 배를 타고 건너와 벨기에에 정착하려 하는 11살 토리와 16살 로키타에게 이것은 익숙한 일상이다. 자신이 이 땅에 머물러도 괜찮은 존재라는 것을 증명해야만 하는 이들에게 체류증은 중대한 문제다. 토리는 아동학대 피해자라는 것이 인정되어 체류증을 받을 수 있었던 반면, 로키타는 토리와 가족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어려워 체류증 발급 인터뷰에 번번이 실패한다. 두 사람은 가족 그 이상의 관계지만 타인의 인정을 받아야 자격이 인정된다.
로키타는 가짜 체류증이라도 얻기 위해 마약을 재배하는 폐쇄된 창고에서 일하게 된다. 이 나라에 머무를 수 있는 자격을 얻는 것은 불법적인 루트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로키타는 체류증을 얻기 위해서 마약을 키우고 팔며 성추행과 성폭행과 같은 온갖 무례함을 견뎌내야 하는 것이다. 이 일의 자격조건은 ‘얼마나 처리하기 쉬운가’에 달려있고, 사라져도 누구도 찾지 않을 로키타는 이 일에 적합한 인재였다. 로키타의 쓸모는 빛이 들지 않는 곳에서만 빛을 발한다.
체류증을 받지 못해 절망하는 로키타에게 “우리는 환영 못 받잖아”라고 토리는 말한다. 아이들은 환영받지 못하는 자신들의 처지를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그 사실을 잘 아는 토리의 살아남는 방법은 ‘숨기’다. 눈에 띄지 않는 것만이 목숨을 부지할 수 있는 길이다. 김현경 작가의 책 <사람, 장소, 환대>에서는 환대를 이렇게 정의한다. “타자에게 자리를 주는 행위, 혹은 사회 안에 있는 그의 자리를 인정하는 행위”. 환영받지 못하는 자들에게 허락된 자리는 없다.
이탈리아 사람에게 배웠다는 노래의 가사처럼 토리와 로키타는 고양이에게 먹히는 생쥐의 신세다. 끊임없이 누군가에게 먹히는 먹이사슬의 가사처럼 끊어낼 수 없는 불행의 고리가 아이들을 잡아먹는다. 로키타가 궂은일을 견디며 얻은 돈은 밀입국 브로커와 엄마에게 고스란히 돌아간다. 로키타를 착취하는 것은 유럽 땅의 사람뿐만이 아니다. 교회에서 나왔다는 흑인 밀입국 브로커도 아프리카 땅에 있는 엄마도 로키타를 착취하는 사람들이다.
어느 땅 위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로키타의 잔인한 현실 속 유일한 안식처는 토리다. 석 달 동안 토리와 떨어져 있어야 하는 점이 가장 큰 문제인 대마초 키우기를 로키타는 독한 마음으로 견뎌낸다. 체류증을 얻어 가사도우미로 일하며 토리와 함께 살고 싶다는 꿈 때문이다. 때때로 공황발작을 일으키는 로키타에게 텔레비전보다 토리의 사진이 심신안정에 도움이 된다. 두 사람은 피를 나눈 가족보다 서로를 아낀다. 누구도 돌봐주지 않고 친절을 기대하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서로에게 다정한 누군가가 있다는 것은 살아갈 희망 그 자체가 된다.
누구나 무조건적인 환대를 받으며 태어나는 것은 아니다. 환대가 그가 있을 공간을 인정해 주는 것이라면 햇빛 한점 없는 마약 재배 창고와 마약 거래가 이루어지는 뒷골목은 환대의 저편에 자리한 공간이다. 영화는 이들에게 공간을 허락하라고 외치지 않는다. 인물들의 행동을 한 박자 뒤늦게 따라가는 카메라는 현실을 그저 바라볼 뿐이다. 이들의 삶을 관조하며 다르덴 형제는 환대의 공간을 만들었다. 로키타의 얼굴을 중심에 가득 채운 화면 구성은 감독이 마련한 환대의 공간이며 적어도 영화 안에서 토리와 로키타는 그 세상의 중심이 된다.
영화는 우리에게 어떤 태도를 강요하지는 않지만 어떤 태도가 필요한지는 분명하다. 토리는 밖에 나올 수 없는 로키타를 대신해 은행에 송금을 하려 한다. 미성년자라 송금을 할 수 없는 토리는 은행에 있는 어른들에게 대신 송금해 줄 것을 부탁한다. 한 남자는 “대가로 무엇을 해줄 것이냐”라고 묻는다. 토리는 지체 없이 다른 어른을 찾는다. 이번 어른은 그저 호의로 토리를 도와준다. 우리에게는 두 가지 선택지가 있다. 도움이 필요한 이에게 대가를 바라고 이용할 것인지, 대가 없는 친절을 베풀 것인지.
영화를 보는 내내 토리와 로키타를 걱정하고 염려했지만, 영화 밖에서도 같은 마음으로 바라볼 수 있을까. 누군가의 절망을 기회로 삼지 않고 대가 없이 따뜻한 손길을 내밀 수 있을까. 로키타를 궁지로 몰고 방아쇠를 당기게 만든 힘은 한 사람의 악의에 기인한 것이 아니다. 작은 외면과 무례 그리고 욕심이 모여 방아쇠를 당겼다. 소리 없이 죽어간 수많은 로키타들을 위해, 앞으로 살아갈 수많은 토리들을 위해 작은 친절과 환대의 노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