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펭소아 Jan 29. 2024

신종추원과 '서시'

1편 학이(學而) 제9장

  증자가 말했다. “끝까지 최선을 다하고, 머나먼 것을 추구하면 백성의 덕이 다시 두터워질 것이다.”  

   

  曾子曰: “愼終追遠, 民德歸厚矣.”

  증자왈    신종추원   민덕귀후의          



  ‘논어’가 그 출전이 된 신종(愼終)과 추원(追遠)은 각각 부모가 돌아가셨을 때 상례와 조상신에 대한 제사로 그 의미가 굳어졌습니다. 하지만 자여(증자)가 처음 사용할 때는 좀 더 문학적이면서도 포괄적 표현이었을 것입니다.  

    

  신종은 반드시 부모의 상례만 뜻하지 않습니다. ‘도덕경’ 제64장에는 “마무리 지을 때 처음처럼 하면 망치는 일이 없다(愼終如始 卽無敗事)”라는 구절이 나옵니다만 여기서 신종은 상례를 뜻하지 않습니다. 또 천자문에도 ‘끝까지 삼가면 참으로 아름답다’는 신종의령(愼終宜令)이라는 표현이 나오지만 역시 상례를 뜻하는 건 아닙니다. 반면 추원은 대개 조상을 추모한다는 뜻으로 새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상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재실(齋室)의 이름이 추원재(追遠齎) 또는 추원사(追遠祠)인 것도 그에 기원합니다.     


  자여는 효자의 대명사였습니다. 따라서 그가 말하는 신종에 부모가 돌아가셨을 때 상례, 추원에는 사대 조상까지 모시는 제사라는 뜻이 함의됐을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그 뜻을 포함시키면서도 폭넓은 해석 또한 가능합니다.      


  신종은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한다는 태도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도덕경’의 신종여시와 궤를 같이합니다. 또 추원은 시간적으로 태초, 공간적으로 본향을 그리워하는 노스탤지어의 심성으로 해석 가능합니다. 수구초심(首丘初心)과 공명하는 마음자세입니다. 다른 한편으론 현재의 당면 과제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먼 미래에 닥칠 위기상황을 대비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심모원려(深謀遠慮)에 해당하는 마음자세입니다.     


  누군가 삶을 마무리할 때까지 최선을 다하는 것은 다른 사람에게 귀감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현재에 발이 묶여 사는 사람보다 근원적인 것에 대한 향수를 지니고 살아가는 사람이 대단해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또 당장 손에 쥘 수 있는 것만 생각하는 사람보다 먼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을 따르게 됩니다. 그렇게 신종추원하는 사람이 지도자가 되면 백성은 승복하는 마음과 따르려는 마음이 생기니 백성의 덕이 더욱 두터워질 수밖에 업게 되는 것입니다.


  이처럼 이 장에 시적으로 함축된 내용은 사실 윤동주의 '서시'에 고스란히 녹아있습니다. 첫구절인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과 마지막 구절인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는 신종의 마음가짐과 고스란히 공명합니다. 또 '별을 노래하는 마음'은 저 멀리 떨어져 있는 것에 대한 그리움을 말하니 곧 추원의 심성을 노래한 것입니다. 신종과 추원의 만남이 민덕귀후(民德歸厚)로 귀결되는 것은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라는 구절에서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여기서 신종추원이 자여가 강조했던 충서(忠恕)에 상응하는 측면이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하는 신종은 곧 자기 자신에게 충실한 충(忠)에 공명합니다. 또 추원은 시간적으로 지금, 공간적으로 여기에만 집착하는 것에서 벗어나 근원적 시공간을 그리워하거나 먼 미래를 구상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지금, 여기의 나 자신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근원이 되는 조상과 먼 미래의 후손이라는 타인에 대해 열린 자세를 갖는 서(恕)와 연결됩니다. 

      

  신종추원은 이렇게 충서와 연결됩니다. 그렇기에 다시 수많은 타인을 품을 수 있는 마음의 그릇을 의미하는 덕의 확장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사양함으로써 원하는 바를 얻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