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찬우 May 19. 2020

<DVD>

나 혼자 본다


넷플릭스 말고


영화 <봄날은 간다>에서 등장한 "라면 먹고 갈래?"라는 대사가 한동안 열풍이었다. 남녀 사이의 썸을 끝내는 필살 주문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진담 반 농담 반으로 사용했다. 지금은 "netflix and chill"의 시대다. 의문투성이였던 OTT 서비스가 현 미디어 산업에 제법 성공적으로 정착했고 사람들은 이제 TV 만큼 넷플릭스를 즐겨본다.


반면 DVD 시장은 이제 죽은 것이나 다름없다. 스트리밍 서비스 시대에 누가 귀찮음을 무릅쓰고 대여점에 들려 DVD를 빌려가겠는가. 기껏해야 블루레이 DVD 정도가 수집가들의 구매 욕구를 간신히 만족한다. 하지만 분명 지금의 넷플릭스처럼 DVD가 유행했던 시절도 있었다.


레트로 디지털 감성이라고 해야 할까.


https://www.youtube.com/watch?v=ycwgZ5yH_5Q



슬프다, 그러나 편하다


[Verse 1]


Got a home
Money ain't a thing
A lazyass but all my bills paid
친하던 녀석들도 연락이 뜸해 그 이유
뭔지 알게 됐지 한참 뒤늦게



화자이자 창작자인 pH-1의 성공을 덤덤하게 표현하며 벌스를 시작한다. 슬픈 멜로디로 본인이 '돈을 번 것에 대한 일종의 자랑'을 시작으로 곡을 전개한다는 점이 흥미롭다. 대놓고 슬퍼하지 않으니 더 슬퍼지는 기분이다.


화자는 집에 있다. 그리고 돈 따위는 문제가 되지 않는 사람이다. 귀찮지만 모든 고지서의 값을 지불할 수 있을 정도의 능력이 있는 사람이니까. 성공은 질투를 부른다. 아마도 그래서 친하던 녀석들도 연락이 뜸해졌나 보다. 화자는 그 이유를 한참이나 뒤늦게야 알았지만.



I hate you
I hate him
And I hate her guts too
The rumors about me are true
I'm too honest for my own good
어머니가 보내주신 좋은 글
읽은 척 돌아서서 뱉어내는 soul food



이펙트가 입혀진 보이스가 더블링 하면서 난 네가 싫고, 그가 싫고, 그녀의 guts 또한 싫다고 말한다. 'guts'는 힙합 문화 안에서 정말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슬랭 중 하나이다. 여기서는 '비밀'이나 '파괴'로 해석하고자 한다. '화자에 대한 루머는 사실'이고 '본인의 이익을 위해 너무나 정직했다'는 다음 라인 때문에 그렇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루머'가 있었던 것일까. 바로 '이익을 위해 너무나 정직하게 취했던 행동'이다. 차후 드러나겠지만 이 정직했던 행동은 아마도 화자의 '귀찮음'으로 추측된다. 여자 친구에 대한 귀찮음.


화자는 어머니가 보내주신 좋은 글을 읽은 척하고 돌아서서 soul food를 뱉어낸다. soul food는 '인생 음식'정도로만 해석하자. 어머니가 보내주신 좋은 글을 soul food라고 비유하며 화자의 외로움의 영역 안에 일상적인 심상을 끌고 들어온다. 우리의 어머니들은 출처가 불분명한 좋은 글들을 우리들에게 전송하곤 한다. 이 또한 덤덤해서 오히려 더 슬프게 느껴지는 이별 후의 상황을 가정하게 된다.



I'm bad
난 혼자인 게 마땅해
여태 내 옆을 지켜낸
사랑 많던 네가 정말 대단해
부족했던 모습마저
You made me a better man
네가 없는 여기 지금 이 자리
한편으로 편하다 느끼는 나 역시 참 여전해



어쩌면 어머니 나름의 위로였을 수도 있는 soul food를 뱉어내고 나자 그는 생각한다. 나는 나쁜 사람이구나. 그러니 혼자인 게 마땅한 것이다. 여태 내 옆을 지켜낸 '네'가 대단한 것이다. 부족함마저 보듬어준 당신이 나를 더 나은 남자로 만들었지만 네가 없는 지금이 한편으로는 편하다 느끼는 화자 또한 여전하다.


마지막 라인이 바로 위에서 말한 'too honest'한 'rumor'다. 화자는 헤어졌지만, 그래서 아프지만 한편으로는 안도감을 느낀다. 그는 그것을 여전하다고 말한다. 사랑은 항상 이기적이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은 걸까.


필자가 pH-1을 좋아하는 이유다. 그는 힙합이란 바운더리 안에 흔하디 흔한 욕설 한마디를 허투루 쓰지 않는 '말을 예쁘게 하는 래퍼'다. 그래서 그의 음악은 대체로 따뜻한 질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의 가사 중 많은 부분들은 반대로 그의 시니컬함을 드러낸다. '이별을 한편으로 편하다고 느끼는 점' 또한 그렇다.



DVD


[Hook]


오랜만에 바깥에
바람 쐬러 나갔다가
DVD를 빌렸네
네가 좋아하던 장르에
보이는 대로 한두 개
집어 들은 채
터벅대며 돌아온 우리 집엔 나 혼자뿐
예고편이 흘러나올 동안 데워 팝콘
왼손에 쥔 아이폰에 열려있는 카톡
난 무언가 기다리고 있는 듯해 아직도



프리 훅 정도로 구분하면 되겠다. 바로 이전의 로케이션이 집이었다면, 이 프리 훅을 기점으로 화자는 바깥으로 나간다. 바람도 쐴 겸 DVD를 빌리러 간 것이다. '네'가 좋아하던 장르를 보이는 대로 한두 개 집어 들고 집으로 돌아와 팝콘을 데운다. TV에는 예고편이 흘러나오고 화자는 아직도 무언가를,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는 듯하다.



Now I'm sitting down
And staring at this DVD
You would love this movie
Playing on the TV screen
Too bad I'm all alone
Gotta do this on my own



이제 그는 멍하니 앉아서 DVD를 본다. 당신은 '아마도' 이 영화를 좋아할 것이다. '네'가 좋아했던 장르의 영화를 골라왔으니 말이다. 하지만 화자는 여전히 혼자다. 무언가를, 누군가를 기다리며 켜놓은 카톡과 왼손에 쥐어진 아이폰에는 아무런 미동도 없다.



슬픈데 웃기네


[Verse 2]


너는 참 바보 같아 네가
그리 깔보던 새끼들과 똑같아
잘난 것 하나 없으면서 쓸데없이
내밀던 어리석은 자존감
그밖에 넌 흠이 많아
알고 보면 네가 제일
혐오하고 있는 건 너 자신이잖아
But you act like you love yourself
But you act like you love yourself



목소리가 변조되며 진행되는 두 번째 벌스다. 위의 가사 모두가 변조된 목소리로 재생된다. 아마도 화자의 내면이 하고 싶은 말을 기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너(화자)는 참 바보 같은 사람이다. 네가 깔보던 새끼들과 똑같이 잘난 것 하나 없으면서 쓸데없이 내비치는 자존감 때문에 '그녀'를 잃었기 때문이다. 흠이 많은 화자는 본인 스스로에게 말한다. "사실 내가 혐오하는 건 나 자신이잖아. 근데 왜 나는 나를 사랑하는 척 연기(act)하고 있을까."



한참 영화를 보다 나도 몰래
튀어나온 웃음소리가 참 어색해
누가 듣진 않았는지 확인하고파서
혼자인 걸 알면서도
잠시 pause then play
I contemplate
마지막으로 활짝 웃은 지가 언제였는지
다시 날 찾아온 우울함에
재밌게 보던 티비를 완전히 꺼놨지



다시 본래의 pH-1의 목소리로 돌아오며 벌스를 마저 전개한다. '한참 영화를 보다~'로 시작하는 가사는 명백하게 의도한 프로덕션이다. 상황의 이동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첫마디의 가사 덕분에 그저 본인 스스로에게 질책의 말을 건넸다고 느껴진 바로 이전의 가사가 사실은 '멍하니 TV를 보며 빠진 상념'이었다는 구체적인 상황을 부여받은 것이다.


화자를 상념에서 빠져나오게 만든 것은 '나도 몰래 튀어나온 웃음소리'다. 그는 멍하니 DVD를 보다 자기도 모르게 웃긴 장면을 보고 웃음을 터트리게 된다. 아직도 이별로 아파하고 있는 화자는 그 상황이 참 어색하다. 내가 지금 웃었다고? 분명 혼자 있는 것을 알면서도 혹시나 누가 듣진 않았나 싶어 잠시 영화를 멈춘다.


이 곡의 클라이맥스라고 볼 수 있다. 이 또한 모든 청자들이 어렴풋이 이해하고 있는 감정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뜬금없는 반전을 익히 알고 있다. 헤어져도 배는 고프고, 웃음은 나는 것처럼 사실 이별이란 것은 지구력이 그리 뛰어난 감정은 아닐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별은 언제나 문득문득 거대한 파괴력을 가진다. 그래서 이별은 마라톤보다는 단거리 경주다.


화자는 묵상한다. 내가 마지막으로 웃은 게 언제였지? 아이러니하게도 그는 바로 방금 전에 한 번 웃음을 터뜨렸다. 이 어이없고 상황에 맞지 않는 웃음 때문에 화자는 본인을 돌아보게 된다. 그러다 곧장 이전의 우울함에 다시 잠식된다. 그러곤 재밌게 보던 TV를 완전히 꺼버린다. 그에겐 웃을 자격이 없기 때문이다.



돈이 있으면 뭐해


[Outro]


오랜만에 바깥에

바람 쐬러 나갔다가

DVD를 빌렸네

내가 생각했던 대로

혼자일 땐 모든 게

재미없어 보이네


I got too many dollars

I don't really know

Where I'm gonna spend it

I got too many problems

That you will never ever wanna deal with



동일한 프리 훅과 훅을 아웃트로로 사용하지만 가사가 약간 바뀐다. 화자는 '본인이 생각했던 대로' 혼자일 때는 모든 게 재미없어 보인다고 말한다. '외롭지만 편하다'라고 말했던 화자가 이제는 그것이 '재미없음'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혼자가 편한 것은 오래가지 못하지만 연애가 알려주는 함께의 재미는 제법 길기 때문일까.


화자는 많은 돈을 가지고 있지만, 도대체 이 많은 돈을 어디에 써야 할지를 모르겠다. 혼자 있으니 그런 것이다. 또한, 그는 '마찬가지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마도 '너'는 절대 이를 다루고(deal with) 싶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한다.


첫 벌스에서 등장했던 '돈'이 수미상관을 이루며 아웃트로에도 등장한다. 처음의 그는 '고지서를 문제없이 지불할 수 있는 돈'을 통해 덤덤하게 그의 부를 전시했으나 마지막의 그는 '매우 많은 돈'을 통해 그것의 부질없음을 나타낸다. 떠나간 사람과 사랑을 돈으로 딜(deal) 할 수는 없으니 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Sunny Side Up!>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