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I SOOOP Dec 09. 2024

부업사회

② 우리는 왜 N잡러가 되었나

1장 아르바이트의 탄생과 진화     

     

  1) 아르바이트의 어원과 역사적 배경     


아르바이트는 현대 사회에서 학생, 주부, 직장인 등 다양한 계층이 경제적 필요에 따라 수행하는 중요한 활동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되었습니다. 아르바이트라는 용어는 독일어 'Arbeit'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노동'이나 '일'을 의미합니다. 아르바이트의 개념은 제2차 세계대전 직후 독일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전쟁으로 인해 많은 대학생들이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면서 정부와 대학이 이들에게 부업을 소개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아르바이트가 단순한 일자리가 아닌, 생계와 자아실현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발전하는 기초가 되었습니다.     

한국에서 아르바이트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된 것은 1970년대부터입니다. 이 시기에는 경제 발전과 함께 대학생들이 학비를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초기 아르바이트는 주로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이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가정교사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서비스 산업의 발달과 여가 시간의 증가로 인해 아르바이트의 개념이 확장되었습니다. 이제는 단순히 생계를 위한 수단이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쌓고 경력을 개발하는 기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아르바이트의 어원과 역사적 배경은 단순히 노동의 의미를 넘어, 사회 구조와 경제 상황에 따라 변화해 왔습니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N잡러 문화가 확산되면서 아르바이트의 범위와 의미는 더욱 다양해졌습니다. 본업 외에 여러 직업을 병행하는 N잡러들은 아르바이트를 통해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고, 경제적 여유를 얻으며, 자아실현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N잡러의 증가에는 여러 사회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고물가와 고금리 시대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본업만으로는 충분한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워졌습니다. 이에 따라 부업을 통해 추가 소득을 창출하려는 경향이 강해졌습니다. 또한 평생직장 개념이 사라지면서 고용 안정성이 낮아진 환경에서도 N잡러가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디지털 플랫폼 산업의 발전 또한 N잡러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개인이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플랫폼들은 N잡러들이 다양한 활동을 시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아르바이트는 단순한 노동의 개념에서 벗어나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경제적 및 사회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자아실현과 경력 개발의 수단으로 자리 잡았으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변화하고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진출처 : Freepik]                                                                         

  

  2) 한국 사회에서의 아르바이트 발전 과정     


한국에서 아르바이트의 형태와 의미는 시대에 따라 크게 변화해 왔습니다. 초기 아르바이트는 학생들이 학비를 마련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요인에 의해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촉발되었습니다.     

1. 경제적 요인

가장 큰 변화의 원인은 경제적 환경의 변화입니다. 한국은 지난 몇 년간 지속적인 경제 불황과 고물가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본업만으로는 충분한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워졌습니다. 특히 청년층은 정규직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현실 속에서 아르바이트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아르바이트를 하는 청년층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고용 시장의 불안정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2. 고용 시장의 변화

한국 사회의 고용 시장은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정규직 일자리는 줄어드는 반면, 비정규직이나 아르바이트 형태의 일자리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인건비 절감을 위해 비정규직을 선호하게 되면서 발생한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안정적인 직업을 찾지 못하고 아르바이트를 선택하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프리터족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특정 직업 없이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3. 플랫폼 노동의 부상

디지털 플랫폼의 발전도 아르바이트 형태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배달 앱, 대리운전 앱 등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하면서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아르바이트 기회가 많아졌습니다. 이러한 플랫폼 노동은 전통적인 일자리와는 달리 유연한 근무 시간이 가능하여 많은 이들이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플랫폼 노동은 더욱 활성화되었습니다.     

4. 젊은 세대의 가치관 변화

MZ세대(밀레니얼 + Z세대)는 과거 세대와는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직업 선택에서 안정성보다는 개인의 삶의 질과 자아실현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따라서 아르바이트는 단순한 생계 수단이 아니라, 자신의 관심사와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아르바이트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쌓고 경력을 개발하려는 욕구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5. 법적 보호와 제도적 개선 필요성

그러나 한국에서 아르바이트생들은 여전히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최저임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많은 아르바이트생들이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초단시간 노동과 같은 불안정한 노동 형태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행 노동법 상에서 주당 15시간 이상의 노동을 해야만 노동자로 인정받기 때문에, 많은 아르바이트생들이 기본적인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 차원의 제도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아르바이트생들을 위한 사회보장제도 개선과 함께, 고용보험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이를 통해 아르바이트생들이 최소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한국에서 아르바이트는 단순한 노동 형태에서 벗어나 경제적 필요와 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문제점들이 존재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앞으로도 아르바이트 형태와 그 의미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계속해서 진화할 것이며, 이는 한국 사회 전반에 걸쳐 중요한 이슈로 남을 것입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