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niel Apr 08. 2019

머리 좋은 사람이 일을 빨리 배운다?

직장인의 학습역량에 대한 단상

학습역량 = 지능?


학습역량을 머리 좋은 것과 등가로 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1.

그래요. 머리 좋은 사람이 Business 환경에서 무언가를 빨리 습득하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사회생활 해보면 소위 SKY를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학습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을 많이 마주치게 됩니다. 학벌 좋아서 뽑아놨더니 일못인 그런 친구들 말입니다.


2.

학습역량은 대략 다음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1. 순간적으로 몰입할 수 있는 능력

2. 서로 연관되지 않은, 흩어진 자료들을 조합해 유용한 정보와 인사이트로 엮어내는 능력

3. 그동안 접해보지 못한, 새롭고 낯선 시각에 대한 개방성과 호기심

4. 지치지 않고 문제해결에 매달릴 수 있는 지구력


우리 주변의 학벌 좋은 일못들이 가지는 가장 큰 문제점은 아마 세 번째 요소인 '개방성과 호기심'이 아닐까 싶습니다.


3.

어떤 일을 배울 때,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S자, 혹은 계단식 성장 곡선을 그리게 됩니다. 학습 능력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S자 곡선을 그리지요. 


4.

무수히 반복되는 작은 S자를 겪어온 사람들이 학습 능력에서 상위에 올라갑니다. 하지만 다들 아시다시피 S자 곡선으로 이뤄지는 과정은 굉장히 지루하고 답답하고 재미없으며 성과도 잘 안나는 것 같지요.


5.

지능의 영향을 부정할 생각은 없습니다. 학습역량을 구성하는 것이 단지 지능 뿐만은 아니라는 말을 하고 싶은 것입니다. 똑똑한 사람들도 지속적으로 S자 커브를 그려나가며 노력하는 것 뿐입니다. 


6. 

하지만 지능도 경험이 쌓이면 쌓일수록 발전하는 것 같습니다. 학습역량도 마찬가지구요. 다만, 호기심과 개방성의 문을 닫는 순간 경험은 의미가 없어질 것이며 끝내 성장을 멈추게 될 것입니다. 앞서 고학벌 일못들의 문제로 언급드렸던 개방성과 호기심이 발전의 원동력이 된다는 말이지요. 


학습능력과 성장에는 머리보다는 개방성과 호기심, 여기에 더해 지구력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엉덩이가 무거운게 도움이 많이 됩니다.


1. 슬기로운 직장생활 페이스북에서 더욱 다양하고 현실적인 커리어 이야기를 보실 수 있습니다.
▶ https://www.facebook.com/suljikcareer/

2. 미매뉴얼에서는 내가 가진 성향에 대해 더욱 깊게 분석하고, 알맞은 조언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 https://www.facebook.com/memanual/

3. 슬직 운영사 패스파인더넷에서는 관련 강연, 커뮤니티에 대한 소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http://pathfindernet.co.kr/     
매거진의 이전글 일을 통한 성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