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niel Apr 14. 2024

아이디어, BM, 그리고 업의 본질 (2)


사업 아이디어와 BM, 그리고 업의 본질에 관련해서 내가 설명할 때 주로 드는 예시는 백종원 선생이 골목식당에 나와 보여주었던 '김밥집 멸치'에 대한 이야기다. 


김밥집에 새로운 메뉴를 하나 추가해주겠다며 멸치 김밥 이야기를 시작한 백선생은 일단 큰 멸치로 어묵을 위한 육수 국물을 만든다. 이 멸치와 육수 재료들을 다시 모아서 다른 음식에 활용할 수 있는 맛간장의 베이스로 사용하고, 다시 이 멸치와 육수를 이용해 달걀 장조림을 만들고, 마지막에는 남은 멸치를 볶고 추가 양념을 해서 멸치 김밥의 재료로 사용한다. 


그 전에는 그저 육수용으로만 사용되고 버려지던 재료를 맛간장, 장조림, 김밥 재료로 영혼까지 탈탈 털어 재활용하는 것. 


보통 우리가 떠올리는 사업 아이디어는 '멸치 김밥' 수준이 대부분이다. 떠올리기는 쉽지만, 막상 경쟁사보다 더 월등한 원가 구조나 차별성의 지속성 등에서 어려운 도전 과제. 


비즈니스 모델은 이 멸치 김밥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맛이나 조리 방법 등에 특화를 하고 비법 소스를 만드는 정도가 된다. 이걸로도 단골을 만들어낼 수 있겠지만 역시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계속 유지하는 것은 시간이 갈수록 어려워진다. 


업의 본질에 대한 고민이라는 건 결국 김밥은 맛도 중요하고 다른 곳에서 보기 쉽지 않은 차별화된 메뉴도 중요하지만 가성비를 따질 수 밖에 없는 저렴하고 빨리 먹고 싶어하는 식사라는 점이다. (외국인 관광객 대상 판매 또는 프리미엄 분식을 지향한다면 업의 본질이 다를 것이어서 다른 고민이 필요하겠지) 


흔하지는 않아도 다른 곳에서도 종종 볼 수 있는 멸치 김밥이지만 백선생이 현실화시켜낸 재활용의 정도라면 원가에서 상당한 이득을 가질 수 있다. 몇 백원의 원가도 중요한 김밥집에서 정말 중요한 힌트다. 이런 식의 아이디어들을 김밥 외에도 다른 메뉴에도 적용하거나 꼭 메뉴가 아니더라도 운영 측면에서 이를 적용할 방법 ('규모의 경제')을 계속 고민한다면 맛과 가격, 속도를 모두 따져야 하는 분식업에서 장기 지속 가능한 차별화 요소를 내재화할 수 있게 된다. 이 정도가 되면 이 김밥집의 BM은 단순한 '멸치 김밥집'이 아니라 '규모의 경제를 극대화한 운영 효율성을 갖춘 분식집'이 된다. 여기에 이런 개선 아이디어들이 계속해서 축적되고, 규모를 키울 수 있게 된다면 대형 체인 사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게 될게다. 단순 아이디어보다 백만배 차별성을, 지속 가능하게 갖춘 업체가 되는 것. 


내가 종종 아이디어나 BM보다 '운영'을 생각해보라고 하면 너무 '원가나 비용'만 강조하는 것처럼 들릴 수도 있겠지만, 업의 본질이 무엇이냐를 생각해보자는 이야기. 

매거진의 이전글 아이디어, BM 그리고 업의 본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