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영화 읽다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도제작소 Jun 29. 2021

허구와 현실의 소멸하는 경계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의 <올리브 나무 사이로>

한 편의 영화를 감상할 때 영화 그 자체의 내적인 요소에 집중할 때도 있지만 그 영화의 바깥쪽이 궁금한 영화가 있다. 전자가 영화 속 내용과 상황에 몰입하고 감정 이입을 통해 감상하는 영화라면, 후자는 그 영화가 만들어지던 현장 상황이 궁금한 영화라고 하겠다.


영화가 상영되는 스크린 보다는 그 영화가 촬영되었을 때 카메라의 뒤편이 궁금한 것으로, 영화의 내용적인 측면에서 해석을 하기보다는 제작 현장을 통해 완성된 내용을 바라보고 싶은 영화다. 감독은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저런 영화를 만들었을까라는 의문의 시작으로 그러했기에 저런 결과를 만들어 냈구나라는 식이다. 


지그재그의 길을 오가며, 영화는 배우들의 계속되는 실수를 반복하고 반복하면서 어떻게든 마지막을 향해 조금씩 조금씩 전진해 나간다. 바로 세 편의 영화 기저에 깔렸던 반복되는 것 같지만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전진하며 진보하는 삶의 긍정성이다. 

이란 감독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영화들이 대표적인 경우다. 비전문 배우를 기용하거나, 인공세트를 쓰지 않고 현장에서 촬영하는 방식과 인공조명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광만으로 촬영하는 방식을 통해 많은 작품들을 남겼다. 이란 영화 스타일,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의 영화 스타일을 위의 제작방식으로 구축해 놓은 것이다. 

국내에 처음 소개되었던 영화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87년)를 시작으로 <그리고 삶은 계속된다>(91년), <올리브 나무 사이로>(94년)는 감독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영화의 내용적인 측면과 영화 현장, 촬영 방식 등에서 다양하게 얽히고 엮이며 ‘코케 3부작(영화가 촬영되었던 지명 이름)’ 또는 ‘지그재그 3부작(영화 속 등장하는 마을의 구불구불한 길들에서 차용)’으로 불린다. 가장 먼저 제작된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는 코케에 사는 어린 주인공이 친구의 숙제장을 돌려주기 위해 옆 마을로 친구의 집을 찾아 나서는 이야기다. 


이후 1990년 이란 북부에 규모 7.3의 강진이 발생해 수만 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대참사가 일어나게 된다. 이 지진으로 인해 영화 촬영지 였던 코케 또한 지진 피해를 크게 입게 되는데, 감독은 아들과 함께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에 출연했던 두 소년의 행방을 찾아 나선다. 


코케로 향하는 대부분의 길들은 사라져버렸고, 그곳으로 향하는 모든 도로들은 차들로 꽉막혀 있다. 길을 찾아 인근 마을을 돌면서 그곳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영화에 출연했던 사람들을 만나기도 한다. 하루 아침에 살던 집이 사라지고, 미로처럼 얽혀 있던 골목과 길들이 사라졌으며, 가족들이 죽었어도 다시 새로운 삶을 꾸려 나가는 이들의 모습을 그리고 있는 영화가 <그리고 삶은 계속된다>이다. 


3부작 마지막 영화 <올리브 나무 사이로>도 같은 장소에서 같은 스타일로 영화를 제작했다. 영화는 영화제작을 위해 현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배우를 캐스팅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의 영화 제작 현장이 어떠했다는 것을 허구와 실재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다양한 장치들을 통해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영화다. 


영화 안과 밖의 경계가 흐려지고, 어디까지가 허구이고 어디까지가 실제 상황인지 모호해진다. 영화 속에서 어떤 내용의 영화를 만드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감독이 어떻게 영화를 만들었다는 것만은 확실히 보여주고 있다. 

세 편의 영화는 각각의 분명한 이야기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영화의 내용 속에서 동일한 기억을 지닌 이들이 등장하고, 각각의 영화에 등장하고 사라진다. 촬영장 역시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 되었다. 영화는 분명히 허구의 드라마를 다루고 있지만 그들은 그 허구의 현장에 실제로 영화의 내용처럼 살아가고 있다. 바로 이 지점에서 감독의 영화는 허구와 실제의 경계를 허물고 카메라 앞과 뒤의 상황들이 혼재되고 뒤섞이면서 영화를 감상하는 이들이 묘하게 몰입되는 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지그재그의 길을 오가며, 영화는 배우들의 계속되는 실수를 반복하고 반복하면서 어떻게든 마지막을 향해 조금씩 조금씩 전진해 나간다. 바로 세 편의 영화 기저에 깔렸던 반복되는 것 같지만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전진하며 진보하는 삶의 긍정성이다. 

사라져가는 경계에 놓인 카메라는 개입하지 않는다. 분명히 감독의 계산된 연출에 의해 촬영되었을 영화겠지만, 영화 속에서 감독은 자신의 흔적들까지 지워 나간다. 이를 위해 카메라는 그들 앞에 등장한 낯선 물건이 아니라 늘 그자리에 놓여 있었던 소품처럼 자리잡는다. 


영화 <올리브 나무 사이로>는 반복과 변주를 통해 완성된 영화다. 기존의 영화였던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와 <그래도 삶은 계속된다>가 반복된다. 픽션의 영화는 논픽션의 상황과 겹쳐지며 다양한 변주로 진행된다. 완전하고 확실한 허구의 구조를 가진 영화보다는 자유롭게 넘나드는 실재 상황들을 끌어 들이며 영화는 가장 독특한 사랑고백과 재미를 선사하는 마지막 장면을 게으른(?) 카메라를 통해 확인할 것이다. 우스우면서도 묵직한 장면이 두고 두고 오래 남는다. 

매거진의 이전글 누구나의 사랑이 되는 순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