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ewr Nov 04. 2022

영화의 중심에 농촌을 들이다

〈알카라스의 여름〉 리뷰

8★/10★


  거의 모든 영화의 배경은 도시다. 종종 농촌이 배경으로 나오기도 하지만 농사 그 자체에 주목하는 영화는 찾아보기 힘들다. 현대인의 대다수가 도시에 살고 이로 인해 농촌 문제가 중요하게 취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72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곰상을 수상한 카를라 시몬 감독의 두 번째 장편 〈알카라스의 여름〉은 농촌 문제를 영화의 중심에 들인다. 스페인 카탈루냐의 조그만 시골 마을 알카라스에는 3대째 복숭아 농사를 이어오고 있는 가족이 있다. 그러던 어느 날 평범하던 이들의 일상에 청천벽력이 떨어진다. 가족이 농사짓는 복숭아 농장은 원래 지역 지주의 소유로, 전쟁 때 목숨을 구해준 대가로 가족이 지주에게서 선물 받은 땅이다. 그런데 토지 증여가 구두로만 되었다는 게 문제의 발단이다. 윗세대에게는 굳이 서류로 만들어놓을 필요가 없었던 굳건한 약속이 오랫동안 서서히 희미해지면서 끝내 가족이 퇴거 통보를 받기에 이른 것이다.



  가족이 쫓겨나지 않고 살던 곳에 계속 머무를 수 있는 방법이 있기는 하다. 복숭아 농장을 갈아엎고 들어설 태양광 전지판을 관리하는 일을 맡는다면, 가족은 쫓겨나지 않아도 된다. 영화의 서사는 도시인들에게는 ‘합리적’으로 보일 이 결정을 단호히 거부하는 아버지의 결단에서부터 본격화된다. 아버지는 농부라는 직업에 무한한 자부심을 가진 사람이다. 그는 지금껏 복숭아 농사로 가족을 먹여 살렸고, 인근 농장의 동료들과 우정을 쌓았으며, 그를 탁월한 농민이게끔 하는 숙련도를 획득했다. 즉 복숭아 농사는 그에게 자부심의 원천이자 삶의 토대다.


  그의 아들도 마찬가지다. 서로 갈등하면서도 의지하는 아버지와 아들은 스트레스를 받을 때 혼자 농장에 나가 입을 꾹 닫고 일을 한다. 안정감을 찾고 마음을 정리하기 위해서다. 도시에서 생계를 위해 노동하는 사람 중 스트레스를 받을 때 자기 생업에 몰두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아버지와 아들은 도시인들과 달리 자신의 일에서 소외되지 않는다. 즉 그들은 노동으로 자기 자신을 실현한다. 이들에게 복숭아 농사를 더는 짓지 못하는 것이 단순한 생계 문제가 아니란 소리다(물론 생계 문제가 ‘단순’하지는 않다).



  그러나 아버지와 아들이 농사에 느끼는 전통적 자부심은 억압적 남성성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카를라 시몬 감독은 상처받고 훼손된 농촌 남성성을 섬세하게 보듬음과 동시에 이들의 상처가 또 다른 억압으로 발현되는 상황도 짚는다. 어머니는 마초적이고 농사밖에 모르는 남편의 곁을 늘 묵묵히 지키고, 딸은 사사건건 간섭하고 드는 아빠‧오빠의 통제와 자신의 욕망을 협상해내는 법을 배운다. 여기에 자신이 제대로 서류 계약을 하지 않아 자식에게 폐를 끼쳤다는 할아버지의 안쓰러운 자책, 어떻게든 먹고는 살아야 할 것 아니냐며 태양광 전지판 관리일을 받아들이자는 가족 구성원과 아버지의 갈등이 더해진다. 태양광 전지판 설치로 놀이터가 사라지고, 어른들의 갈등으로 함께 놀지 못하게 된 아이들도 답답한 건 마찬가지다.



  이 모든 게 태양광 전지판이 복숭아 농장을 대체한 결과다. 알카라스의 한 복숭아 농장을 토대 삼아 여러 갈래로 펼쳐지던 복수의 삶이 폭력적인 방식으로 중단을 강요받는 것이다. 복숭아 값을 현실화하라는 농민들의 집단 시위는 과연 태양광 전지판이 대변하는 도시의 합리성‧경제성을 극복하고 가족의 삶에 안전한 울타리가 되어줄 수 있을까? 전 세계의 영화 역량을 가늠하는 권위 있는 영화제 한가운데에 농촌 문제를 들여온 〈알카라스의 여름〉의 문제의식은 과연 제대로 응답받을 수 있을까? 인터넷에 ‘양곡관리법’을 검색하여 최근 기사를 살펴보자. 그리 녹록지만은 않아 보인다.



*영화 전문 웹진 〈씨네랩〉에 초청받은 시사회에 참석한 후 작성한 글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내게도 오빠가 있‘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