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ewr May 11. 2023

찰스 3세가 배워야 할 여왕의 고뇌

〈더 퀸〉 리뷰

6★/10★


  〈더 퀸〉은 2022년 개봉한 〈스펜서〉와 함께 보면 좋을 영화다. 〈스펜서〉가 영국 왕실의 전통과 권위, 가족들의 냉대로 고통받던 왕세자비 다이애나 스펜서에게 초점을 맞췄다면, 〈더 퀸〉은 다이애나 스펜서가 그토록 탈주하고 싶어 하던 왕실의 상징 엘리자베스 2세에게 초점을 맞춘다.


  1997년, 엘리자베스는 여러모로 커다란 변화에 직면한 상태다. 먼저 국내 정치다. 토니 블레어가 대표인 노동당이 18년 만에 집권했다. 그가 추후 실제로 펼친 정책과 행보는 별개로 하더라도, 토니 블레어는 분명 변화를 요구하는 국민 염원의 극적인 표출이었다. 그리고 새로움을 향한 욕망은 늘 오래된 것의 폐지 요구와 함께 부상한다. 국민 네 명 중 한 명이 군주제에 반대한다는 여론조사가 보여주듯이 말이다. 토니 블레어는 그저 엘리자베스 2세가 여왕으로 재임하던 중 선출된 수많은 총리 중 한 명일 뿐이었지만, 그의 당선을 둘러싼 대내외적 상황은 엘리자베스 2세가 압박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며느리이자 왕실의 ‘골칫거리’였던 다이애나의 부고가 도착한 것은 바로 이때다. 찰스 왕세자와 이혼한 후 활발히 자선 활동을 벌이며 이집트 재벌과 연애 중이던 그녀는 끈질기게 따라붙는 파파라치 때문에 교통사고를 당했고, 그대로 숨을 거뒀다. 왕실이 고상함, 비밀스러움의 이미지였다면, 다이애나는 다정함, 활력, 봉사활동 등을 상징하며 전 세계적으로 큰 사랑을 받았다. 때문에 다이애나의 죽음이 영국 국민에게 준 충격의 크기는 어마어마했다. 토니 블레어의 집권에 이어 영국 왕실이 실의에 빠진 국민을 보듬어야 하는 연이은 도전을 마주한 것이다. 왕실이 상징하던 고루함을 향한 대중의 막연한 불만이 구체적 분노로 촉발되기 위한 모든 여건이 완벽하게 마련된 셈이다.


  영국 왕실은 다이애나가 찰스와 이혼했다는 이유로 별다른 조의를 표하지도 않고, 마땅한 예우를 다하지도 않았다. 반면 왕실과 다이애나가 서로를 불편해했다는 사실을 잘 아는 영국인들은 근위대의 교대식이 어려울 만큼 많은 꽃다발을 버킹엄궁 앞에 쌓아 다이애나를 추모했다. 언론은 왕실의 무대응을 두고 날 선 비판을 연일 쏟아냈고, 총리 역시 공손하지만 단호한 태도로 여왕이 국민의 슬픔을 달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제 모든 건 엘리자베스의 몫이다. 전통의 엄격한 적용을 고수하여 왕실의 권위를 유지할 것인가, 왕실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는 국민적 열망에 맞춰 다이애나를 추모할 것인가.



  주지하다시피, 엘리자베스 2세는 후자를 택했다. 그리고 〈더 퀸〉은 여왕의 생각이 바뀌는 과정을 충실히 좇으며 그녀 내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보인다. 왕실 일부 구성원들의 강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엘리자베스가 다이애나 추모사를 발표한 데에는 전통과 변화 열망을 조화하여 왕실의 역할을 이어가겠다는 그녀의 결연한 다짐이 담겼다. 입헌군주제에 대한 정치적 입장은 차치하더라도, 국가의 상징적 구심점 역할을 한 엘리자베스 2세가 어떻게 왕실의 품위와 국민의 존경을 동시에 지켜나가고자 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면 영화를 충분히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스펜서〉의 다이애나가 한 여성으로서 오롯이 거듭나 자기 세계를 펼치고자 했듯, 〈더 퀸〉의 엘리자베스 역시 온 힘을 다해 자신이 옳다고 믿는 것을 지켰다. 적어도 이 두 영화에서만큼은 두 여성의 고군분투가 먼저고, 그것이 야기한 정치적 효과에 대한 언급은 나중이다.



*이 영화는 시리즈온, 티빙, 웨이브에서 다시 볼 수 있습니다(글 작성일 기준).

매거진의 이전글 웰메이드 퀴어 로맨스, 상상력의 임계에 도달했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