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 여아 경제교육 시도하다.
올해 한국나이로 6세, 만으로 4세인 저희 아이는
돈이 어디선가 계속 나오는 줄 아는 것 같습니다.
마트나 백화점에 볼일을 보러 가면 아이는 이미 제 옆에 없습니다.
자기 쇼핑하느라 바빠서 저를 쫓아오지 않고 뭐를 사면 좋을지 생각하며 돌아다니고 기뻐합니다.
사주지 않겠다고 얘기하면 세상 억울한 표정으로 다음에 오면 이 장난감은 없어질 것이다, 나는 이것이 필요하다 등 저를 설득하기 시작하다 울음을 터트립니다.
이럴 때마다 제가 뭘 잘못하며 아이를 키웠나 고민하게 됩니다.
아이들은 부족하게 키우라고 했는데 아이를 풍족하게 키운 건 아닌가.. 하지만 요즘 같은 시대에 이 정도는 다 하고 지내는 건 아닌가.. 여러 마음이 듭니다.
다른 아이들은 어떤지 주변 친구들에게 물어봤더니 쇼핑에 진심인 아이는 저희 아이밖에 없는 것 같아서 경제교육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경제교육을 하기 위해 제일 먼저 칭찬스티커 제도를 도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아이가 싫어하는 기본 생활습관들을 몇 개 모아놓고 그 일을 수행할 때 스티커 하나씩, 스티커를 다 모은 날은 100원씩 주기로 했습니다.
아이는 스티커를 받기 위해 최선을 다했고 일주일에 거의 700원을 꼬박 받아갔습니다.
그렇게 받은 돈은 저금통에 넣어서 관리했는데 저금통 동전은 얼마가 들어있는지 확인이 잘 안 되고, 아이가 가지고 다니면서 쓰기에 불편하기도 했으며, 제가 귀찮아서 스티커 몇 번 안 주다가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스티커로 용돈주기를 성공하려면 용돈 기입장을 잘 사용하는 것, 저처럼 귀찮아하지 않는 태도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도서관에서 경제 관련 책을 빌려 꾸준히 읽혀주었습니다.
요즘 책에는 돈에 대한 개념뿐만 아니라 유통과정, 투자, 주식 등의 개념도 쉽게 잘 풀이되어 있어서 아이에게 알려주기 좋았습니다.
아이와 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돈을 절약해야 된다는 것, 필요하지 않은 것은 사지 않아야 하는 이유, 돈을 모아서 큰 것을 살 수 있다는 것 등을 가르칠 수 있었습니다.
용돈을 주는 패턴을 바꿔보았습니다.
일주일에 한 번 천 원, 천 원은 받으면 바로 지갑에 넣고 주말마다 지갑을 가지고 다니면서 사고 싶은걸 직접 사게 합니다.
아이가 사고 싶은 건 용돈에서만 살 수 있음을 알려주고 다 쓰면 아무것도 살 수 없다는 것도 말해주었습니다.
하지만 지난주에 6000원짜리 쓸모없는 장난감을 산다고 해서 경험을 주고 싶어 허락했는데, 6000원을 쓰고도 지갑에 돈이 조금 남아 있어 쓸모없는 걸 사고 돈이 줄어들어 아깝다는 것을 잘 가르치지 못했습니다.
다음 내용을 보시려면 아래를 클릭해 주세요.
6세 여아 경제교육 방법 - 소비를 좋아하는 아이 (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