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닥터대니얼 Apr 08. 2024

➋ 결핍(-)을 가르쳐야 결실(+)이 생긴다.

부유한 자녀로 키우는 경제교육 10계명 [2계명]

요즘 시대는 자녀의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풍족한 삶을 산다. 부모의 경제적인 형편과 관계 없다. 부모는 자녀에게만큼은 부족할 것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녀들은 부모들이 모두 풍족한 줄 안다. 자녀를 대상으로 한 어느 설문조사에서, 자녀의 입장에서 생각할 때, 그들의 부모가 실제 벌어들이는 소득보다 더 많이 벌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했다자녀는 가정경제의 형편을 알지 못한 채 자녀의 요구에 부모가 긍정적인 대답을 내놓지 않으면 금세 서운해하고심지어 화를 내는 등 오해가 쌓인다. ‘왜 부모님은 나에게 사줄 수 있으면서도 안 사주는 걸까?’그래서 일정 부분에서는 세부적이지는 않더라도 대략적인 범위에서 자녀와 가계 경제에 큰 수입과 지출 구조를 공유하는 것도 필요하다.  

   

[예시] 만일 8세의 딸이 모 회사의 ‘SNS 키즈 모델’을 할 기회가 생겨 돈을 벌었다고 하자. 그렇게 번 돈으로 본인이 사고 싶은 3가지 물건을 구매하려고 한다. 이 때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먼저 그 돈을 일정 비율로 나눠 저축과 기부를 하게 하고 남는 돈으로 소비를 하도록 유도한다. 이 남은 돈으로는 사고 싶었던 3가지 중 1가지만 살 수 있다.      


[부모역할] 먼저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 것에 감사하게 한다. 자녀가 잘 난 것만으로 기회가 주어진 것이 아니란 것을 가르친다. 사고 싶은 3가지는 필요한 것이라면 언젠가 채워진다는 믿음을 주고, 그 중 1가지를 골라 구매할 수 있는 것으로도 만족할 수 있도록 격려해준다.      

 

자녀가 원하는 것을 다 채워주는 것이 정말 자녀에 대한 사랑일까. 사랑하는 자녀에게 무엇보다 결핍을 가르쳐야 한다. 부모에게도 자제가 필요하다. 채워줄 수 있더라도 참아야 한다. 더해 주고 싶어도 그렇다. 결핍을 모르고 자라는 세대이지만 결핍을 가르쳐야만 자원의 소중함을 알아 감사라는 것을 일상화할 수 있다. 사막에 사는 사람이 비가 오는 것을 가장 많이 감사히 여기는 사람이다.


재정적 만족은 무엇이며 언제 얻을 수 있나. 표준국어대사전에‘만족’이란 ①모자람이 없이 충분하고 넉넉함을, ②마음에 흡족함을 의미한다. 위키백과에 만족은 욕구가 충족되었다는 상태나 느낌을 뜻한다고 한다. 이에 더해 자신이 처해진 상황을 받아들인 상태를 말하며자족이라고도 불린다고 한다. 객관적인 의미로 접근하기보다 주관적인 수용의 의미에 더욱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국의 소설가 T. 풀러는“만족은 연료를 더 넣는 데 있지 않고, 불을 좀 덜 때는 데 있다. 만족은 재산을 늘리는 데 있지 않고, 인간의 욕망을 줄이는 데 있다.”고 했다.

동양학에서의 만족(滿足)의 의미도 이와 유사하다. 노자는 “만족할 줄 알면 욕되지 않고, 그칠 줄 알면 위태롭지 않다.”라고 했다. 만족을 알아야만 명아주국도 고기보다 맛있고 베로 만든 옷도 털옷보다 따뜻하게 여겨진다고 채근담은 전하고 있다.


결국 재정적 만족은 현재 내가 가지지 않은 것보다 가진 것에 집중하여 마음으로 수용하고감사하는 태도를 가질 때 누릴 수 있다.


인디언 출신인 미국의 식물생태학자인 로빈 월 키머러는 인간과 자연의 호혜성을 강조하면서 돈이 주인 노릇하는 세상에 대한 가장 강력한 저항은 자족하는 마음과 감사이다라고 했다. 그래서 우리의 아이들이 감사하는 자족의 마음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자녀에게 결핍을 경험하게 하여야 한다.

어쩌면 자녀의 결핍의 문제는 부모의 결핍의 문제일 수 있다. 부모가 어릴 때 결핍이 많았던 기억 탓에 자신의 자녀에게는 결핍보다 풍족함을 경험하게 해주고 싶어 한다. 부모가 자녀에게 정말 중요한 채움을 주고 싶다면, 진정한 채움은 부족하고 비우는 데에서 나오는 겻임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결핍을 통해 긍정적이고 장기적인 채움의 유익에 좀 더 집중해보자.


부모와 자녀 모두 자족하는 마음으로 감사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결핍에 주목하지 않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비록 결핍되어 있는 상황은 존재하지만, 이미 가진 것에 마음을 집중하는 것이다. 그러면 결핍을 채우기 위해 훨씬 더 많은 것을 소비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가진 것에 집중하다보면 오히려 소비가 줄어드는 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작가의 이전글 ➊ 실패를 대하는 바람직한 태도를 가르쳐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