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수련 Jan 15. 2023

지젝의 이데올로기 이론과 헤겔의 의식 이론 #3

『뷰티플 마인드』를 통해 본 정신병증상에 대한 라캉의 분석

『뷰티플 마인드』를 통해 본 정신병증상에 대한 라캉의 분석 


라캉의 정신병증상에 대한 분석 과정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이론을 구현하기 위해 영화, 『뷰티플 마인드』(A Beautiful Mind)를 먼저 소개하고자 한다. 주인공 존 내쉬(John Nash)는 실존 인물이다. 그는 1994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1950년대 초 23세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으나 50년대 말 해임되었다. 그의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때문이다.    


 (1. 영화 속 인물-존 내쉬)                                         (2. 세 사람의 환영)


영화 내용 가운데 관련된 부분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존 내쉬(사진 1) 앞에 나타나는 세 사람의 환영(사진 2)이 있다. 존은 그들이 환영이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 그는 환영과 소통하고 그들이 지시하는 일을 행동으로 옮긴다. 시간이 지나면서 주위사람들이 그를 이상하게 생각했고 결국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된다. 자신의 증상을 자각하고 치료를 받으면서 학문연구에 열중한다. 그리고 노벨경제학상을 받는다. 시상식 축하파티가 끝나고 존은 건물 밖으로 나와 계단을 내려오면서 또 그 환영들을 보게 된다. 그러나 그는 그들이 환영임을 알고 그냥 지나간다.  

     

라캉의 정신분석이론은 이러한 정신병증상을 치유하는 데 적용된다. 치료의 첫 단계에서 분석가는 환자의 증상을 분석한다. 분석으로부터 원인을 찾아내고 환자가 그것을 언어화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렇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계속될 경우, 그 증상을 환상이라고 부른다. 환상은 분석에 저항한다. 즉 환상은 분석을 무효화한다. 이 지점을 실재(the Real)라고 한다. 환상에 대한 치료법은 환자가 환상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환상을 통과한다는 것은 첫째 환자가 환상과 거리를 두게 하는 것이다. 즉 존 내쉬가 했던 것처럼 환자가 환영이 환상임을 인식하고 그것을 무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환자에게 그 환영이 가면임을 알려주는 것이다. 셋째, 환상이 대타자(the name of Father) 자리를 차지하고 있음을 깨닫게 하는 것이다. 대타자 자리는 모든 기표(언어와 같은)들이 외부로 표출될 때 지나가는 정신적 통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자리는 정신 영역에서 숨통과 같은 기능을 한다. 그런데 이 자리를 망상이 지속적으로 차지하고 있으면, 결국 소통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치료가 효과를 내지 못하는 경우, 즉  환자가 환상을 객관적으로 대하지 못하는 경우,  라캉은 이것을 증환(sinthome)이라고 부른다. 증환에 대한 치료 방법은 그것을 소멸시키는 것이 아니다. 증환은 환자가 이 세상을 살아가는 유일한 버팀목이기 때문이다. 이것을 없애려고 하는 것은 환자의 삶을 지우는 것과 마찬가지다. 다시 말해 증환은 객관적으로, 또는 환자가 아닌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는 무의미하지만, 환자에게 그것은 환자 자신의 생명과 같은 것이므로 안고 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라캉은 환자에게서 떼어낼 수 없는 증환으로서의 증상을 향유(jouissance: enjoyment)라고 부른다. 향유 자체는 “잉여”(surpus) 또는 “찌꺼기”(residue)와 같지만, 쾌(pleasure), 불쾌(unpleasure), 공포, 혐오를 유발하거나 숭고감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증환으로서의 환영이 환자에게 말을 걸고 환자와 소통함으로써 환자에게 유의미한 존재로 붙어있는 경우, 그것은 향유가 깃든 기표적 형성물이 된다.      


다음 편에서는 환상, 실재, 향유 등의 용어를 언급하면서, 지젝이 말하는 이데올로기적 환상을 “타이타닉호의 침몰”과 2차 세계대전 전후 이탈리아를 지배한 파시스트(fascist) 베니토 무솔리니(Benito Mussolini)의 말(words)을 통해 들여다보고자 한다.      





작가의 이전글 지젝의 이데올로기 이론과 헤겔의 의식 이론 #2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