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치성, 스타트업의 합리성 (6)
기하급수 성장을 한 스타트업은 필연적으로 시장을 넘어선 사회적 영향력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우버 창업자 트레비스 캘러닉이 여러 스캔들로 물러난 것처럼, 비록 기업 자체가 존립 위기를 겪지 않는다고 해도 시장이 아닌 사회의 평가를 받게 된다.
스타트업은 창업 단계에서 이미 미션 진술문(mission statement)을 비롯해 기하급수 성장의 MTP를 통해 사회 혁신 목표를 수립한다. 사실 사회 혁신은 구글이나 네이버와 같은 거대 IT기업이 아닌 스타트업이 우수한 인재를 모을 수 있는 명분이 된다는 점에서도 실리적 가치도 갖는다.
스타트업의 사회 혁신은 소셜 벤처의 모델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구현된다. 소셜 벤처의 사회혁신은 여섯 단계를 거친다. 첫째, 해결되지 않은 사회적 니즈를 토대로 문제를 제기한다. 둘째, 사회 경험과 통찰력을 기초로 혁신 아이디어를 제안한다. 셋째,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현장에서 문제점을 찾고 수정하고 사회적 동의를 얻는다. 넷째, 프로토타입을 유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재정적 기반을 찾는다. 다섯째, 관련 협력 주체를 찾아 모델을 일반화한다. 여섯째, 체계 변화를 달성한다 [1] [2].
출처: Murray, Calire-Grice, & Mulgan(2010)
[1] Murray, R., Caulier-Grice, J.,& Mulgan, G.(2010). The open book of social innovation. London:National endowment for science, technology and the art.
[2] 김진수·이창영·김재호·서경준·박재홍(2016). <소셜벤처 창업하기>. 서울: 청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