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anonymous
Dec 28. 2019
연말 휴가를 맞아 부산에 내려왔다.
친척들이 오랜만에 모여 반주를 했고,
분위기에 젖어 동네 노래방을 찾았다.
.
.
.
형은 과거를
나는 현재를
아버지는 세월을 표현했다.
.
.
.
집에 돌아와 TV를 틀었다.
'와이키키 브라더스' 가 방영 중이다.
이 영화를 접할 때면 늘 그랬듯
오묘한 기분이 든다.
'평범함' 을 최고의 미덕으로 여겨 온
한국 사회에서 순수의 감성을 지킨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
.
.
순간
비보잉을 하겠다고 생떼 쓰던
젊은 날이 생각났다.
그 날의 진정성과는 별개로
나는 여전히 그때처럼 '가슴 뛰는 것' 에 천착하고 있는가.
스스로 질문해본다.
.
.
.
선뜻 대답하기가 어렵다.
꿈과 현실의 괴리를
단순히 현실 직시 혹은 열정의 고갈과 같은
상투적인 표현으로 설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오히려 그보다는,
성장의 과정에서 정립되는
이념적 정체성과 실존에 대한 고민이
짙어지면서 '문제 아닌 문제' 가 비롯되곤 한다.
.
.
.
영화 속에서,
음악을 사랑했던 한 소년은
오로지 그것만을 바라볼 수 없는 나이가 되고.
호시절을 함께 했던 친구들은 '현실적으로' 변해버렸다.
그중 한명이 묻는다.
하고 싶은 걸 하는 넌 행복하니
대답 없이 술잔만 바라볼 뿐이다.
다행인 것은,
다소 빛바랬을지라도
밤무대를 전전하며 갖은 수모를 당하더라도
음악 속에 있을 때만큼은 엷은 미소를 띠게 된다는 것.
.
.
.
어쩌면 우리도
간간이 주어지는 그 순간들을 탐닉하기 위해
이 무거운 세상을 기꺼이 감내하는지도 모른다.